논문 상세보기

관악산 등산로 이용에 따른 영향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Use Impact on the Trail in Gwanak Mountai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269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본 연구는 등산 이용에 따른 등산로 영향 관계의 이해를 통해 등산 이용에 의해 발생되는 영향지표를 설정하고, 실제 현장에서 각 지표의 영향수준을 평가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문헌조사에 의해 생태적 영향 지표 3가지, 물리적 영향 지표 4가지, 사회적 영향 지표 5가지를 각각 이용영향 지표로 도출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관악산 등산로를 대상으로 관측조사와 설문조사를 통해 각각의 영향수준을 측정하였다. 등산활동에 의한 생태적 영향으로 등산로 주변 식생교란은 나타났으나 귀화 및 외래식물에 의한 산림식생의 교란은 상대적으로 심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등산로 노면의 경화, 노폭 확대 등 등산로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영향의 정도는 비교적 심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사회적 영향 지표의 측정 결과, 관악산 등산로를 찾는 등산객들은 높은 혼잡과 조우 수준을 예상하고 방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로 인해 실제 현장에서 혼잡도 수준을 높게 느꼈음에도 불구, 전반적인 만족도 수준은 비교적 긍정적인 수준으로 나타났다. 관악산 등산로는 입지적 특성상 대도심권 생활권 등산로 유형으로 지속적이고 집중적인 이용특성으로 인해 등산로의 생태적, 물리적 환경에 대한 영향의 정도가 가중되고 있다. 사회적 영향은 현재까지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등산로 주변환경의 물리적, 생태적 환경이 악화된다면 이용객의 이용 만족도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이용경험의 질적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등산로 훼손지 복원과 같은 물리적, 생태적 환경의 개선과 더불어 등산문화 개선을 위한 관리노력 또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rail use impact indicators, and evaluate the degree of use impact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ausality among the impacts on the spot. Theoretical reviews developed three indicators in terms of three ecological impacts, four physical impacts, and five sociological impacts, respectively. With this indicators, observation and questionnaire survey were employed on Gwanak Mountain Trail to measure the levels of impacts forementioned. As for the ecological impact, Some loss of ground cover vegetation was reveled near the trail due to trail use, however the level of disturbance by the naturalized and exotic plants was insignificant. Physical impacts such as soil hardness, enlargement of trail width were found intensified. The result of measuring sociological impacts showed visitors had expected higher level of crowding and encounters before their visit, therefore overall satisfaction level was positive, despite higher awareness level of actual crowding. Intensified continuing use of the trail is aggravating ecological and physical impacts on Gwanak Mountain trail, because of its location in a metropolitan area. Sociological impacts seem favorable at present, however if ecological and physical impacts were deteriorated, sociological impacts would also be affected. To maintain the quality level of use experience, managerial efforts to improve climbing culture as well as ecological and physical environment such as restoration of damaged areas are needed.

저자
  • 유기준 | Yoo, Ki-J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