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식생구조 관리를 위한 한국 미황사 사찰림의 식생구조 및 종다양성 분석 연구 KCI 등재

Study of Analysis of Vegetation Structure and Species Diversity for Vegetation Management on Shrine Forest of Miwhang-sa, Korea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272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지구온난화에 따른 한반도 식생구조의 변화에 맞추어 미황사 사찰림의 현 식생구조분석과 종다양성을 고려한 사찰림의 식생학적 구조분석과 적합한 식생구조 선정 및 관리를 위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식물사회학적 식생구조분석, 식생단위와 환경변수와의 상관관계, 생활형구조분석, 종다양성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현 사찰림은 식물사회학적 식생구조 분석결과 졸참나무-굴참나무 군락, 붉가시나무군락, 팽나무군락의 식생단위로 구분되었으며, 환경변수 Ca, Mg, P 의 기준에 따라서 팽나무군락과 나머지 군락들(졸참나무-굴참나무군락과 붉가시나무군락)의 두 영역으로 분포하였다. 또한 환경변수 유기물(OM), Ni, Zn 에 따라서 졸참나무-굴참나무군락과 붉가시나무군락의 분포와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졸참나무-굴참나무 군락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붉가시나무군락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형 R1-2 식물인 조릿대가 관목층 이하에서 우점하고 있으며, 저층부의 종의 단순화를 이루고 있다. 종다양성은 졸참나무-굴참나무 군락이 붉가시나무 군락에 비하여 더 높게 나타났으며, 상록활엽수림으로 이루어진 남은사에 비해서 본 미황사 사찰림의 종다양성이 높게 나타났다. 식물사회학적 분석결과를 통한 식생군락, 조릿대에 의한 저층부 이하의 종의 단순화, 종다양성 및 종균재도를 고려한 미황사 사찰림의 장기적 식생관리가 필요하다 사료된다.

We carried out a study for ecological management and ideal vegetation structure selection on the shrine forest of 'Miwhang-sa' considering the species diversity and the vegetation structure analysis associated with global warming. We carried out the analyses of phytosociological vegetation structure, correlation between vegetation units and environmental variables, life form, species diversity, and species evenness. This study identified the vegetation units as 3 communities. The identified vegetation units are as follows: Quercus acuta community(DQ), Quercus serrata-Quercus variabilis community(QQ) and Celtis sinensis community(CS). According to the basis on the environmental variables; Ca, Mg and P, Celtis sinensis community and other communities were classified. Quecus serrata-Quercus variabilis comm. and Quercus acuta comm.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basis on the environmental variables; organic matter(OM), Ni and Zn. Sasa borealis as life form R1-2, dominated the herb layer and will dominate the herb and shrub layers. Species simplification is formed on herb layer and will be formed on shrub layer. The species diversity of Quercus serrata-Quercus variabilis community is higher than the one of Quercus acuta community, and the species diversity of shrine forest around Miwhang-sa was higher than the shrine forest around Nameun-sa wher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dominate. It is essential that the long-term vegetation management considering the vegetation units by phytosociological analysis, the species simplification problem of low layers by S. borealis and the species diversity and evenness in the shrine forest, Miwhang-sa.

저자
  • 이성제 | Lee, Sung-Je
  • 오오노 케이이치 | Ohno, Keiichi
  • 안영희 | Ahn, Young-H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