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제주지역에서의 맹꽁이(Kaloula borealis) 산란지 분포 KCI 등재

Distribution of Spawning Sites of Kaolula borealis in Jeju Islan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275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맹꽁이(Kaloula borealis)의 산란지 보호하기 위하여 제주도 전 지역에 분포하는 습지를 대상으로 2007년부터 2010년까지 5월에서 8월 사이에 조사하였다. 비가 오는 날 밤부터 다음날 낮 동안 울음소리를 통해 습지의 위치를 파악하였으며, 알과 유생의 유무로 산란지를 판단하였다. 연구결과 맹꽁이들이 산란지로 이용하는 습지는 83개의 지역으로 나타났으며, 영구습지를 산란지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고도별로는 150m이하가 전체의 81.9%였고, 산란지의 수심은 일반적으로 50cm를 넘지 않는 얕은 장소에 산란하고 있었다. 지역별 산란장소는 제주시 지역이 54개소로 서귀포시지역 29개소보다 많았는데 이는 서귀포시 지역이 과수원이 많아 습지가 더 많이 훼손된 결과로 판단된다. 성산읍인 경우는 갈대습지가 넓게 분포하고 있어 다른 지역보다 산란지가 많이 보존되어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개발에 앞서 산란지를 보호하고 서식장소를 제공하여 맹꽁이의 개체군을 보존하고, 이미 심각하게 손상되었거나 파괴된 산란지를 복원하게 하여 급격히 감소되어가는 개체군을 유지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This study researched the spawning sites of Kaloula borealis in a large number of wetlands in Jeju Island between May and August from 2007 to 2010. Based on the surveys, we discovered the locations of their habitats by investigating their calls from a rainy night to the next day and where their spawning sites were by ascertaining the existence of their eggs and tadpoles. According to the results, 83 wetlands were used as spawning sites across Jeju Island. A large number of wetlands were found to be permanent wetlands for Kaloula borealis. In addition, 81.9% of the wetlands in Jeju Island were found to be at an altitude of 150m or lower, and they spawned in shallow water not more than 50cm in depth. By region, 54 wetlands were in Jeju-island 29 wetlands were in Seogwipo-si. One of the reasons that Seogwipo-si has less wetlands than Jeju-si is that there are more orchards in Seogwipo-si than Jeju-si; accordingly, wetlands in Seogwipo-si were found to be more destroyed by farming. In the case of Seongsan-eup, a reedy marsh stretches out widely so that spawning sites were well preserved compared to other regions. This research will provide useful data for sustaining the population of Kaloula borealis by protecting their spawning sites from development, by offering habitats, and restoring spawning sites, which have become severely damaged and destroyed.

저자
  • 고상범 | Ko, Sang-Beom
  • 고영민 | Ko, Young-Min
  • 오홍식 | Oh, Hong-Shi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