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울릉도 미역고사리(Polypodium vulgare L.) 자생지의 입지환경특성 KCI 등재

Habitat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Polypodium vulgare L. in Ulleung-do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275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본 연구는 희귀식물로 지정되어 있는 울릉도 미역고사리의 자생지 환경을 조사하여 보전 및 복원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조사결과 미역고사리의 자생지는 해발고도 410~748m 범위와 경사 12~80˚의 암석지에 주로 생육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생분석결과 4개 지역의 10개 방형구내에서 조사된 관속식물은 총 66분류군이었다. 자생지 상층수목 중 교목층의 중요치는 고로쇠나무(49.52%)가 아교목층은 당마가목(28.99%)이 가장 높았으며, 관목층은 바위수국(51.99%), 섬쥐똥나무(8.82%), 너도밤나무(7.25%)가 높은 값을 보였다. 초본층은 미역고사리가 23.23%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큰두루미꽃(9.65%), 파리풀(9.23%), 관중(8.40%), 산꼬리사초(6.75%), 섬바디(5.42%) 등이 높은 값을 보여 이 종류들이 친화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종다양도는 1.18로 산출되었으며, 우점도와 균등도는 각각 0.11와 0.84로 확인되었다. 토양분석 결과 토성은 사양토로 나타났으며, 포장용수량은 30.42%, 유기물함량은 17.95%, pH는 4.70으로 측정되었다. 환경특성과 식생 및 토양분석 결과에 기초한 상관분석에서는 종다양도와 종풍부도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종다양도와 우점도 그리고 미역고사리의 피도와 종풍부도는 부의상관관계를 형성하였다.

The habitats characteristics of Polypodium vulgare L. in Ulleung-do were investigated to compile basic data fo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Natural habitats were located at altitudes of 410~748m with inclinations of 12~80˚. Sixty six vascular plants were identified from 10 quadrats in 4 habitats. Dominant species among the woody plants, based on importance value, were Acer pictum subsp. mono(49.52%) in the tree (T1) layer, Sorbus amurensis(28.99%) in the subtree (T2) and Schizophragma hydrangeoides(51.99%), Ligustrum foliosum(8.82%), Fagus engleriana(7.25%) in the shrub (S) layer. Importance value for members of the herb (H) layer were as follows: Polypodium vulgare 23.23%; Maianthemum dilatatum 9.65%; Phryma leptostachya var. asiatica 9.23%; Dryopteris crassirhizoma 8.40%; Carex shimidzensis 6.75% and Dystaenia takesimana 5.42%. The importance value of the last five species were high, so they were at affinity with Polypodium vulgare in their habitats. Species diversity was 1.18, and dominance and evenness were found to be 0.11 and 0.84, respectively. The soil types were sandy loam. Average field capacity was 30.42%, and the organic matter and pH were 17.95%, and 4.70. Correlation coefficients based on environmental factors, vegetation and soil analysis were showed tha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pecies diversity and species richness, whereas between species diversity and dominance, coverage of Polypodium vulgare and species richness were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저자
  • 천경식 | Cheon, Kyeong-Sik
  • 한준수 | Han, Jun-Soo
  • 김경아 | Kim, Kyung-Ah
  • 옥길환 | Ok, Kil-Hwan
  • 유기억 | Yoo, Ki-Ou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