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관악산 생태경관보전지역 내 회양목 분포 특성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Buxus koreana in Kwanaksan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276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서울시 관악산 생태경관보전지역의 식물군락구조를 분석하고, 지정사유인 회양목 분포지를 대상으로 지형특성과 토양특성 분석을 통해 이 지역 회양목 분포의 특성을 밝히고자 100m2 조사구 22개를 설치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 분석 결과 리기다소나무군락(I), 리기다소나무-회양목군락(II), 신갈나무군락(III), 상수리나무-졸참나무군락(IV)으로 분리되었다. 회양목의 분포 특성을 분석한 결과 수분과 양분조건이 양호한 계곡부에 많이 분포하였으며, 토성분석 결과 점토 성분이 낮게 나타나 배수조건도 회양목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사가 급하고 암석 비율이 높은 지형에 입지하는 특징을 보였다. 토양분석 결과 회양목이 분포하는 토양의 평균 pH는 4.79로 회양목 분포하지 않는 식생의 평균 pH 4.41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Ca2+와 Mg2+ 등 치환성양이온의 값은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치환성양이온 함량에 비하여 매우 낮은 값을 보여 회양목이 척박한 토양에서도 잘 자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vegetation community structure and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Buxus koreana through analysis of the topography and soil characteristics in Kwanaksan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To do this twenty two plots as 100m2 each were set up and investigated. As a result, the vegetation communities were classified in four groups; Pinus rigida community (I), P. rigida - B. koreana community(II), Quercus mongolica community(III), Quercus acutissima - Quercus serrata community(IV).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in topography appeared that B. koreana distributed more in valley where soil water and nutrition conditions are good. The drainage condition also influenced the distribution, because the ratio of clay was low in the result of soil texture analysis. B. koreana was distributed in high-pitched slope and the high rock ratio area. According to the soil analysis, the mean soil pH of B. koreana distributed groups(pH 4.79) was higher than that of non-B. koreana distributed groups(pH 4.41). It appeared that B. koreana had tolerance to the barren soil, so the value of exchangeable cations such as Ca2+ and Mg2+were showed lower than that of the average of Korean forest soil.

저자
  • 이호영 | Lee, Ho-Young
  • 오충현 | Oh, Choong-Hyeon
  • 이상진 | Lee, Sang-J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