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가막살나무속 5 수종의 초식에 대한 방어전략 KCI 등재

Defense Strategies against Herbivory of Five Species of the Genus Viburnu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278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목본식물의 초식에 대한 방어 전략을 알아보고자 가막살나무속 5수종의 잎에 대하여 형태적 특성, domatia 구조와 수, 초식곤충과 응애 서식 여부 등을 관찰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원주시, 평창군, 태백시, 태안군, 봉화군, 산청군 및 진주시에 생육 중인 나무에서 엽시료를 채취하여 2009년 5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관찰, 조사하였다. 포식응애와의 상리공생을 위한 domatia에 있어서는 아왜나무는 쌈지형, 분꽃나무는 호주머니형이었고, 산분꽃나무, 가막살나무 및 산가막살나무는 털북숭이형 domatia를 발달시키고 있었다. 엽당 domatia 평균 갯수는 산분꽃나무에서 24.0개/엽으로 가장 많았고, 분꽃나무에서 4.9개/엽으로 가장 적었다. 엽 표면의 털은 아왜나무를 제외한 가막살나무속 4수종의 엽신과 엽맥의 성모와 강모가 가장 많았으며, 분꽃나무, 산분꽃나무 및 가막살나무에서는 잎 생장이 완성될 때까지 잎의 표면에서도 성모가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엽연부의 엽맥 끝에 넥타를 분비하는 화외밀선(EFN)은 가막살나무 5 수종에서 모두 관찰되었다. 가막살나무, 산가막살나무에서는 잎 뒷면 선점(pellucid dot)이 분포하는 것이 좋은 방어전략이라 판단된다. 가막살나무의 선점에서 넥타를 먹는 포식응애들이 다수 관찰되었다. 엽당 응애의 개체수는 수종간 고도의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엽당 응애 개체수 평균은 산분꽃나무가 8.1마리로 가장 많았으며, 아왜나무가 2.6마리로 가장 적었다. 이러한 결과는 온대 활엽수종은 생존을 위하여 초식에 대한 다양한 방어전략을 발달시키면서 생육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지속가능한 산림생태계를 위한 수목의 초식에 대한 방어전략에 대한 많은 연구가 요청된다고 사료된다.

To explore on the defense strategies against hervivory of five Viburnum specie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leaf, leaf domatia structure and the number, herbivores insects and mites on the leaves, collected from the trees growing in Wonju-si, Pyeungchang-gun, Taebaek-si, Taean-gun, Bonghwa-gun, Sancheung-gun and Jinju-si were investigated from May 2009 to October 2011. Domatia of V. carlesii reveals pocket type, these of V. burejaeticum, V. dilatatum and V. wrightii reveal tuft type, and that of V. odoratissimum var. awabuki reveals pouch type. Domatia number per leaf proves the highest figures, 24.0/leaf for V. burejaeticum, and the lowest, 4.9/leaf for V. carlesii. Leaf surface trichomes of four Viburnum species except for V. odoratissimum var. awabuki are mainly stellate and hispid on the leaf-blade and veins, and dense stellate trichomes on the upper leaf surface of V. carlesii, V. burejaeticum, and V. dilatatum are observed till late growing season. Extrafloral nectaries(EFN) on the terminal veins of five Viburnum species are observed. Pellucid dots on the lower leaf surface of V. dilatatum and V. wrightii might be a good defense strategies against herbivores. We observe many predatory mites eating nectar on large pellucid dots of V. dilatatum. Predatory mites number per leaf proved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ree species, and mean of mites number was highest values 8.1/leaf for V. burejaeticum, and the lowest 2.6/leaf for V. odoratissimum var. awabuki.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emperate broadleave trees develop various defense strategies against herbivores for survival. The more studies on the defense strategies against herbivores of tree species might be needed for sustainable forest ecosystem.

저자
  • 김갑태 | Kim, Gab-Tae
  • 김회진 | Kim, Hoi-J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