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함양상림 식생의 생태적 특성 변화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Vegetation in Hamyangsangri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280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본 연구는 천연기념물 제154호인 함양상림 및 주변지역의 보다 효율적인 보존 관리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대상지의 현재 생태계 특성을 파악하고 과거 연구 자료와의 비교를 통한 생태계 변화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생태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대상지의 토지이용 및 현존식생, 식물군집구조,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과거 연구자료와 비교하여 생태계변화 경향을 파악하였다. 조사 분석결과 연구대상지의 토지이용 및 현존식생 유형은 수림지, 조성녹지, 광장 및 오픈스페이스, 나지 및 포장지, 수면, 시설물, 경작지, 기타 등 8개 유형으로 대분류 되었으며 세부 특성에 따라 총 38개 유형으로 세분되었고 이 중 수림지를 구성하는 식생군락은 총 15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현존식생 변화를 살펴보면 2003년과 2010년 모두 졸참나무-개서어나무군락(2003년 48.3%, 2010년 48.1%)이 가장 넓었으며 졸참나무군락(22.0% → 7.9%)이 크게 감소하였고, 개서어나무-졸참나무군락(11.6% → 23.2%), 졸참나무-느티나무군락(2.2% → 7.9%)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림지 주변의 경작지가 조성녹지지역으로 변화하였으며 수면, 나지 및 포장지 등이 증가하였고 수림지 내부의 훼손지가 복원되면서 시가화지역의 면적은 감소하였다. 대표적인 6개 유형의 식생군락에 대한 식물군집구조 변화를 파악한 결과 주로 아교목층을 형성하던 수목의 교목층 편입과 아교목성상 수목의 세력 확장 및 신규 출현, 관목층의 발달로 인한 관목층 출현 개체수의 급격한 증가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또한 전체적으로 졸참나무의 세력이 감소하였으며 개서어나무 및 느티나무의 세력이 확장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2003년 이후 이루어진 주변 정비사업 및 수림지 내부 출입제한 등의 관리에 따른 건전성 회복 및 식생천이의 결과로 판단되었고 이러한 변화는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향후 교목층은 개서어나무, 느티나무가, 아교목층은 개서어나무, 느티나무, 나도밤나무, 사람주나무, 쪽동백나무, 당단풍나무 등이 우점하는 군락으로 변화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data for the basic research to found the effectiv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lan for the Hamyangsangrim designated as Natural Monument No. 154 and surround areas by analyzing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landuse and actual vegetation, plant community structure, soil chemical property and also to identify the tendency of the ecosystem changes through comparison with past studies. According to analysis the results, the landuse and actual vegetation of survey site was classified as 8 types which were forest, artificial greenspace, plaza and open-space, bare ground and the pavement, water bodies, facilities, agricultural land and etc.. It was also categorized as 38 types according to detailed characteristic. 15 kinds of forest vegetation community types comprising silva were classified among them. The changes of actual vegetation showed little variation that the Quercus serrata-Carpinus tschonoskii forest was the most widely distributed in 2003(forest area ratio is 48.3%) and 2010(forest area ratio is 48.1%), whereas, the Quercus serrata forest declined a more dramatic from 11.6% to 23.2%. The Quercus serrata-Carpinus tschonoskii forest increased sharply(11.6% → 23.2%) and also the Quercus serrata-Zelkova serrata forest increased steadily(2.2% → 7.9%). The agricultural land around forest was transformed into artificial green zone. Moreover, water bodies, bare ground and the pavement of areas have increased. In addition, the urbanized area has decreased because the damaged areas inside forest have been restored to the woodland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ypical 6 types vegetation communities change, the middle layer trees grew up to the canopy layer trees and was formed the canopy layer structure. The middle layer trees expanded their forces widely. Also new species appeared. And the shrub individuals also more dramatically increased due to the growth of shrubs. The force of Quercus serrata declined as well. However the force of Carpinus tschonoskii and Zelkova serrata expanded and increased in the forest. It must be the result of the ecological vegetation succession and environmentally soundly health recovery by influence of the projects of forest surrounding environment improvement and limitation of access to forest have managed and maintained since 2003. Those sorts of changes seems to be going to develop continuously. In the future Carpinus tschonoskii and Zelkova serrata will not be only codominant in the canopy layer but also Carpinus Tschonoskii, Zelkova serrata, Meliosma myriantha, Sapium japonicum. Styrax obassia and Acer pseudo-sieboldianum will be codominant in the middle layer. As a result, the forest's codominance species are going to be changed such like that.

저자
  • 김동욱 | Kim, Dong-Wook
  • 이승주 | Lee, Seung-Joo
  • 이수동 | Lee, Soo-Dong
  • 김지석 | Kim, Ji-Seok
  • 한봉호 | Han, Bong-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