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해발고도에 따른 백두대간 신갈나무군락 특성 연구 - 향로봉에서 깃대배기봉 구간을 대상으로 - KCI 등재

Analysis on the Community Structure of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in the Baekdudaegan Mountains by Elevation - Between Hyangnobong and Gitdaebaggybong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287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본 연구는 백두대간 향로봉에서 깃대배기봉 구간에 있는 신갈나무군락을 대상으로 2개의 권역(I, II)으로 나누어 고도에 따른 군락 특성을 살펴보았다. 조사는 신갈나무군락 총 63개를 대상으로 하였다.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 분석 결과 총 5개 군락(A~E)으로 분류되었다. 군락의 지역적 분포는 A군락의 경우 해발고도 1,300m 이상의 태백산 일대에서(II권역) 주로 나타났으며 B, C군락은 해발고도 700~1,500m 사이의 설악산과 오대산 지역(I권역)에서 D, E군락은 1,100m 이하의 청옥산과 금대봉 지역(II권역)에 밀집해 있었으며 그 외 설악산과 오대산 지역(I권역)에서도 나타났다. 각 군락의 교목과 관목 개체수, 최대종다양도, 교목의 수고는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차츰 낮아지는 특성을 보였다. 그리고 40년까지의 수목 생장량을 살펴본 결과 해발고도 1,100m 이하 지점까지는 특별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지만 1,100m 이상에서는 수목 생장량이 급격히 낮아지는 특성을 보였다. 연구대상지에 출현한 수종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는 고도 1,000m 이상에서는 거제수나무와 신갈나무가 -0.53으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고도 1,000m 이하에서는 신갈나무와 산딸기가 0.59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고도에 따른 환경 변화가 신갈나무군락의 종조성, 개체수, 생장량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is study is contributed to examine the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the Quercus mongolica which are located in between two summits, hyangnobong and gitdaebaggybong, with dividing two regions(I, II). A total of 63 Quercus mongolica communities were enrolled in this survey. A~E, 5 communities were the result of analysed classification by TWINSPAN. Spatial distribution of the communities; 'A' community is concentrated at an altitude of about 1,300 meters in Mt. Taebaek(II region). 'B' and 'C' communities are concentrated at an altitude of between 700 and 1500 meters in Mt. Seorak and Odae(Iregion). 'D' and 'E' communities are concentrated at an altitude of below 1,100 meters in Mt. Cheongok and geumdaebong(II region), and also Mt. Seorak and Odae(Iregion). Arboral and shrub populations, maximum species diversity and height of arboral of each communities have a characteristic of decreasing according to increasing altitude gradually. And the result of studying on arboreal growth increment with up to 40-year-old trees, there is no special tendency with growth increment in the altitude of subnormal 1,100 meters, but there is a tendency that growth increment becomes lower in the altitude of more than 1,100 meters. In correlation analysis, it is -0.53 in the Quercus mongolica and Betula costata community at an altitude of over 1,000 meters, the correlation shows negative(-). It is +0.59 in the Quercus mongolica and Rubus crataegifolius community at an altitude of less than 1,000 meters, the correlation shows positive(+). And those are cognate trees with the correlation of Betula costata, Betula costata Trautv., Tripterygium regelii Sprague&Takeda., Acer barbinerve Maxim. With a summary of the results, the changes in the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elevation affect Quercus mongolica community.

저자
  • 정보광 | Jeong, Bo-Kwang
  • 오충현 | Oh, Choong-Hy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