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동해에서 외양대류에 의한 심층수 형성 초기단계의 특성 KCI 등재

Preconditioning phase for open ocean formation in the northern part of subpolar front of the East S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309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동해의 심층수 형성은 크게 대륙주변부 대류와 외양대류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Vladivostok 연안과 subpolar front사이에서 겨울철에 발생하는 심층수의 형성은 외양대류에 의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며, 침니 현상이 이러한 결과를 됫받침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외양대류에 의한 심층수 형성과정의 초기단계 즉 침니 현상의 전 단계에 나타나는 현상을 포텐셜 와도, 지형류, 수온, 염분, 용존산소의 분포로부터 확인하였다. 포텐셜와도의 분포에서 나타난 와동류는 Vladivostok 연안과 subpolar front 사이에 위치하며, 와동류의 분포 위치는 겨울철 심층수 형성 가능성이 높은 해역과 잘 일치한다. 특히 대륙의 지형적인 특성으로 인한 바람장의 변화는 본 연구에서 나타난 시계반대방향의 와동류가 형성될 수 있음을 보여주며, 그 결과로 나타나는 dome 구조의 밀도 분포는 외양대류의 초기 단계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잘 보여준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itial stage of deep water formation between Vladivostok and the subpolar front in the East Sea, the factors, temperature, salinity, dissolved oxygen, measured by multi-ship surveys in ]969 have been used. Deep water formation in the .cast Sea occurs in essentially two different forms: near continent and open ocean formation. The position of eddy derived from potential vorticity matches well with that of deep water formatio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stributions of potential vorticity, geostrophic current, temperature, salinity and dissolved oxygen give clues for the preconditioning phase qf open ocean formation like a doming of isotherm, associated with a cyclonic circulation.

저자
  • 이충일 | Lee, Chung-Il
  • 김동선 | Kim, Dong-Sun
  • 김상우 | Kim, Sang-Woo
  • 윤종휘 | Yun, Jong-Hwu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