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0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남극 드레이크해협 극전선 남쪽 해산(수심 2710 m) 퇴적물코어(DP00-02, 코아길이 284 cm)의 화학조성과 점토광물분석을 실시하여 빙기-간빙기 순환과 관련된 고해양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성 점토광물은 전반적으로 스멕타이트가 우세하고 일라이트와 녹니석이 보다 적은 양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그러나 캐올리나이트는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최하부에서 Marine Isotope Stage(MIS) 4와 5의 경계에 해당하는 170 cm 정도까지의 구간에서 상부로 갈수록 스멕타이트의 함량이 10% 정도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그 이상에서는 함량이 거의 일정하다. 점토광물 조성의 일정성에 비하여 SiO2, Zr, Cs, Th, REE, K2O, Al2O3는 CaCO3와 상호 대조적이면서 큰 변화를 보인다. 24, 136, 176 cm 깊이에서 SiO2의 급격한 증가와 CaCO3의 급격한 감소가 관찰되는데, 이 시기에 기원지로 생각되는 남극대륙 빙붕으로부터 ice-rafted debris (IRD)가 다량 공급된 것으로 판단된다. 기타 주원소들, 미량원소, REE의 변화경향은 SiO2와 유사하지만, Ni, Cu, Ba은 SiO2와 상관성이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데, 이는 쇄설성 외에 속성과정에서의 재동 또는 해양생산성이 높았던 시기의 규조와 같은 생물기원 쇄설물의 축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Ba의 경우, SiO2보다 10~20cm 정도 지연되어 증가하는 특이한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빙하후퇴에 이은 생산성의 빠른 증가와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2.
        200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Variation of the polar front in the East Sea is studied using temperature and dissolved oxygen data obtained from Japan Meteorological Agency from 1972 to 1999. Variation of the polar front in the East Sea has a close relation to the variation of the Tsushima Warm Current (TWC). When the TWC spreads widely in the East Sea, polar front moves northward. The spatial variation of the polar front is greater in the southwestern area of the East Sea and the northern area of Tsugaru Strait where the variation of the TWC's distribution area is greater than those in others of the East Sea. Hence, in the southeastern area of the East Sea, that is, between near Noto peninsula and Tsugaru Strait, the spatial variation of the polar front is not so wide as in the southwestern area because the flow of TWC is stable.
        3.
        199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sed on the Results of Marine Meteorological and Oceanographical Observations during 1966∼1987 and the Ten-day Marine Report during 1970∼1989 by Japan Meteorological Agency, the possible area where the Japan Sea Proper Water (JSPW) can be formed is investigated by analyzing the distribution of water types in the Japan Sea. The Japan Sea can be divided into three subareas of Northern Cold Water(NCW), Polar Front(PF) and Tsushima Warm Current (TWC) by the Polar Front identified by a 6℃ isothermal line at the sea surface in winter. Mean position of the Polar Front is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latitude 39∼40°N.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Polar Front from the mean position of about 130㎞ width is the smallest in the region between 136°E and 138°E where the Polar Front is very stable, because the branches of the Tsushima Current are converging in this region. However, standard deviations are about 180∼250㎞ near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Tsugaru Strait due to greater variability of warm currents. In the NCW area north of 40°30`N and west of 138°E, the water types of the sea surface to the 100m depth are similar to those of the JSPW. This fact indicates that the surface layer of the NCW area is the possible region of the JSPW formation in wi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