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IMO 최근 의제 동향 및 한국의 IMO 활동현황 KCI 등재

The Latest Agenda Trends of IMO and the Activities of ROK in IMO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326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국제해사기구(IMO)에서 검토되는 의제들은 갈수록 다양해지고 있으면, 내용도 목적기반선박건조기준(GBS), 선체보호도료의 성능기준개발(PSPC), 선박장거리위치추적제도(LRIT) 등 세부적인 사항까지도 국제적인 표준화를 도모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IMO 각 위원회의 최근 동향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한국의 대응 및 활동현황을 조사 분석해 본 결과, A그룹 이사국 지위에 맞는 역할 수행이 아직 미흡하고 정부의 IMO 대응능력을 지속적으로 뒷받침 할 연구지원 인프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한국은 국가차원에서 국제해사동향에 정책적으로 접근할 필요성을 절실히 인지하여야 하며, 국제해사정책을 주도할 수 있는 국내외 인프라 완비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IMO is treating various and numerous agenda with time, and the contents of agenda have been tending to achieve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for details of technology, for example GBS(Goal based new ship construction standards), PSPC(Performance Standards of Protective Coating), LRIT(Long-Range Identification and Tracking of Ships), etc. This paper presents the latest agenda trend of IMO committees and analyzes the ROK's activities in response to IMO committees. In the result of analysis, ROK lacks in performance ability as a A-category council member as well as infrastructure to support the government activities in IMO continuously. Therefore, ROK should be conscious of policy approaches to international maritime tendency and needs to complete the internal/external infrastructure which leads the international maritime policy.

저자
  • 김경미 | Kim, Kyoung-Mi
  • 조익순 | Cho, Ik-S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