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동해남부해역의 수온이 멸치와 미역의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Temperature on Catches of Anchovy and Sea Mustard(Undaria pinnatifida) in Southern Part of East Sea of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331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본 연구는 1969~2007년간 한국 전체의 어업생산통계자료에서 멸치 및 미역 생산량 중 1990~2007년간 동해남부해역의 변동 양상을 파악하다. 이를 위하여 국립수산과학원의 같은 기간의 207선 수온자료를 이용하였다. 표층수온의 저온화 시기가 4월이면 미역 생장에 호영향을 주어 미역의 생산량이 많고, 그 시기가 6월이면 멸치에 악영향을 주어 멸치의 생산량이 적게 나타났다. 반대로 표층수온의 고온화 시기가 4월이면 미역 생장에 악영향을 주어 미역의 생산량은 적었고, 그 시기가 6월이면 멸치에 호영향을 주어 멸치의 생산량이 많았다. 표층 수온이 고온화 되면 멸치 생산량은 증가하고, 표층수온이 저온화 되면 미역 생산량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looked into changes in catches of anchovy and production of sea mustard(Undaria pinnatifida) in Southern part of East Sea in Korea from 1990 to 2007 out of the fishing industry production statistics of Korea from 1969 to 2007, and then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ductions and the sea temperature. The production of sea mustard(Undaria pinnatifida) decreased when the sea surface temperature was high, as it adversely affected its production, while its production increased when the sea surface temperature was low, as this facilitated its growth.

저자
  • 김성현 | Kim, Seong-Hyeon
  • 김동선 | Kim, Dong-S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