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항해사의 피로가 해양사고에 미치는 영향 평가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Effects of Marine Accidents by Navigation Officers' Fatigu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332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최근 국내에서는 연간 약 600여건의 각종 해양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해양사고의 발생에 관한 국 내외 많은 연구와 분석에 의하면 해양사고의 약 70~80%가 인적요인에 의해 발생하고 있다. 여러 인적요인 중에서도 항해사의 피로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항해사의 피로가 해양사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인식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항해사의 피로도를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연구는 거의 미미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양사고 종류별로 인적요인에 의한 발생률을 분석하고, 문헌과 5점 척도를 이용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항해사의 피로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5가지 요인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ISM법을 이용하여 피로요인에 의한 해양사고 발생 위험성의 평가요소를 계층구조화하였다. 마지막으로 AHP법을 이용하여 추출된 각 피로요인의 중요도를 구하고 항해사의 피로에 의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해양사고의 순위를 결정하였다. 그 결과 수면시간 0.386, 스트레스 0.302, 건강상태 0.139, 휴식시간 0.099, 음주 약물 0.074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명사상사고 0.328, 충돌사고 0.308, 좌초사고 0.195, 침몰사고 0.094, 화재사고 0.075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요도가 높은 요소들을 중심으로 제어방안을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

Recently, about 600 cases of marine accidents occur annually in Korea. According to many studies and analyses on occurrence of marine accidents, 70~80% of marine accidents were caused by human factors. Among the human factors, navigation officers' fatigue is very important factor. Although navigation officers' fatigue serves as an important role in marine accidents, there is no method to exactly examine the degree of officers' fatigue.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human factors according to types of marine accidents and extracted important five factors affecting navigation officers' fatigue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by means of literatures and 5-point scale. In addition, evaluation factors of marine accident risks caused by fatigue factors were divided and structured by using ISM. Lastly, it found out the importance of each fatigue factor drawn by AHP and decided marine accidents that were most highly caused by navigation officers' fatigue in order. At the result, weights were high as sleep time 0.385, stress 0.302, health condition 0.139, rest time 0.099, alcohol and drug 0.074 in fatigue factors, and death and injury 0.328, collision 0.308, grounding 0.195, sinking 0.094, fire accident 0.075 in evaluation factors of marine accident risks. Therefore, the control plan to lower marine accident risks should be prepared on the basis of high weight factors.

저자
  • 조준영 | Cho, Jun-Young
  • 금종수 | Keum, Jong-Soo
  • 장운재 | Jang, Woon-J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