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다중위성 및 현장관측을 이용한 동해남부 연안용승 발생 전후의 해양환경 특성 KCI 등재

Characteristics of Ocean Environment Before and After Coastal Upwelling in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Using an In-situ and Multi-Satellite Dat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334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하계 냉수대 발생과 관련하여 2007년 6월과 8월의 현장 및 위성에서 관측한 NOAA 해양표면수온과 SeaWiFS 해색 영상 및 QuikScat 자료를 이용하여 동해 남부해역의 수온과 클로로필 a 농도의 단기 변동과 바람을 살펴보았다. 특히, 동한난류 해역의 수온과 Chl-a의 공간적인 분포에 주목하였다. 현장관측 자료의 분석 결과, 울산 부근의 연안용승이 발생 이전인 6월의 클로로필 a 농도의 피크는 전체 조사 정점에서 50m 층에 보였고, 8월의 그 피크는 육지에 근접한 정점 4와 5에서는 10m 그리고 그 외 정점은 30m 층에 나타났지만 정점 5를 제외하고 그 농도는 6월보다 낮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클로로필 a 농도의 피크는 농도 차이는 있지만 8월이 6월보다 20-40m 얕은 층에 형성되었고, 이것은 남풍계열의 바람에 의한 연안용승으로 하부층의 영양염 공급 등과 관계하는 것 같다. 위성관측 수온과 클로로필 a 농도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냉수가 발생한 곳에서 클로로필 a 농도는 고농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남풍계열의 바람에 의한 영향과 동한난류의 이안은 연안에서 발생한 냉수와 Chl-a 등을 외해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short-term variability of water temperature and chlorophyll a (Chl-a) derived from in-situ and satellite data (NOAA, Sea WiFS and QuikScat) in the upwelling region of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in June and August, 2007. Particularly we focused on the spatial variability of sea surface temperature(SST) and Chl-a in the East Korean Warm Current region. In the results of the in-situ data, the peaks of Chl-a in june was shown at a depth of 50m The peaks of Chl-a in August was shown at a depth of 10m at the stations 4 and 5 near the land, and a depth of 30m at the other stations. The Chl-a concentrations in August were also lower than those in june except for station 5. As a result, the peaks of Chl-a in August occurred at a depth of 20~40 m shallower than those of Chl-a in june. This indicates that the nutrient-rich water within the mixed layer depth may be immediately supplied by the coastal upwelling, which is due to the southerly component of wind. The relationship between SST and Chl-a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and the high concentration of Chl-a occurred in the cold water area. The southerly wind and the East Korean Warm Current influenced a remarkable offshore movement of the cold water and Chl-a near the coastal area.

저자
  • 야마다게이꼬 | Yamada, Keiko
  • 정희동 | Jeong, Hee-Dong
  • 김성수 | Kim, Seong-Soo
  • 고우진 | Go, Woo-Jin
  • 김상우 | Kim, Sang-W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