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남해에서 조류와 취송류, 밀도류 그리고 잔차류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3차원유동모델(POM; Princeton Ocean Model)을 이용하였다. 조석 잔차류의 분포를 보면, 대조기에는 동쪽 방향으로의 흐름이, 소조기에는 서쪽으로의 흐름이 우세하였다. 잔차류는 연안에서 지형의 효과로 인하여 불규칙하게 나타났다. 연안역에서의 밀도류는 비교적 약하고 계절적인 차이는 작다. 외해에서는 특별한 유동현상을 주목해야 한다. 즉, 외양역에서의 흐름은 쓰시마 해류와 유사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연안역에서의 취송류는 외해역에서 보다 매우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표층의 해류가 저층의 해류보다 강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남해안에서의 물질 이동 확산을 예측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order to understand the flow properties of the South Sea of Korea, tidal currents, wind-driven currents, density-driven currents and residual flows were investigated by using 3-dimensional numerical model(POM). In offshore regions, tide-induced residual current tends to flow eastward during the spring tide and westward during the neap tide. Total residual flow is irregular due to the bottom topography in the coastal area. The density-driven currents in the coastal area showed to be relatively weak, with little seasonal differences. The special tendency was apparent in the open sea. That is, the flow in the offshore regions showed results similar to that of the Tsushima current. The wind-driven currents in the coastal area showed to be much stronger than in offshore regions. Vertically, the flow of the surface layer was much stronger than that of the bottom layer. Through these results, material transport and diffusion in the south coast, as a basis for predicting the spread of use is expected to be avail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