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TKR과 연계한 TSR의 경제적 타당성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Economic Validity of TSR Connecting TK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345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우리나라의 주요 교역권은 아시아, 미주, 유럽 교역권으로 나눌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대량의 화물운송은 해상운송이 주를 이루지만 다른 지역과 다르게 유럽 교역권은 철도 운송이 가능하다. 또한, 중국의 성장으로 동북아 물류 중심지로서의 경쟁력이 약화된 우리나라는 지금의 경쟁구조와는 다른 방안인 철도운송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종단 철도(TKR)와 시베리아 횡단철도(TSR)를 이용한 유럽 지역과의 운송 경로를 비교하여 경제성 분석에 주안점을 두었다. 분석의 요소로는 운송거리, 운송기간, 운송비, 추가비용을 중심으로 사용하였으며 분석 결과 6가지의 운송경로 중에서 TKR과 연계한 TSR(Route 1)이 경제적이라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따라서 향후 러시아 푸틴정부의 극동발전 전략에 대비하여 우리나라는 TKR과 TSR의 철도운송을 활용하는 것이 국가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다.

The major trade area of the South Korea is divided into Asia, America and Europe. Generally, marine transportation is the main method of mass cargo transportation, but unlike others, rail transportation is available in the Europe area. Also, as a result of China's growth, South Korea's position as northeast Asia logistics hub has weakened. That is the reason why we need to pay attention to rail transportation, an alternative competitive structure. In accordance with this background,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economic feasibility comparing transportation routes to Europe using Trans-Korea Railway and Trans-Siberia Railway. Factors of analysis are transportation distance, period, cost and additional cost As the result, considering economic feasibility, TKR-TSR route(Route1) is the best transportation approach for six routes. Therefore, using TKR-TSR railway will be the best way to increase nation's competitiveness, in response to Russia government's far-east development strategy.

저자
  • 최경훈 | Choi, Kyoung-Hoon
  • 박계각 | Park, Gyei-Kark
  • 이수관 | Lee, Roman R.
  • 윤대근 | Yoon, Dae-Gw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