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유채 품종의 기름함량과 지방산 조성 KCI 등재

Oil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Rapesee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353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유채 국내육성품종, 재래종, 도입품종등을 공시하여 기름함량과 지방산조성 및 glyceride 유질특성을 조사하여 유채 고품질 품종육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험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채, 개자 공시품종의 기름함량은 최저 21.8%에서 최고 47.4%까지 25.6%의 변이폭을 보였으며, 대부분 35-45% 범위에 분포되었고, 45% 이하 고함유 품종은 목포 71호 목포 90호, 단교 12호등 6품종이 선발되었다. 2. 기름함량은 원산지별로 국내육성 1대잡종 품종이 가장 높았고, 캐나다 품종이 가장 낮았으며, 숙기에 따라서는 만생종일수록 그 함량이 높았고, 1,000입중으로는 극대입종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3. Brassicathr 작물중의 기름함량은 B. napus가 가장 높고 B. hirta등 개자에서 21.8~28.9% 범위로 낮은 수준이었다. 4. 원산지별 지방산조성에서 palmitic, stearic 및 linolenic acid 함량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oleic, linoleic, eicosenoic 및 erucic acid함량은 큰 차이를 보여 주었다. 5. 성분개량된 품종은 미개량 품종에 비하여 양질인 oleic acid 43.3% linoleic acid 7%가 각각 증가되었다 6. 기름함량과 palmitic, stearic, oleic acid와는 높은 정상관을, 기름함량과 eicosenoic, erucic acid와는 부의 상관으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7. Oleic acid는 linoleic과 정상관, erucic과는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linoleic acid는 lino-lenic과 상관성을 erucic과는 부 상관을 보였고, eicosenoic acid는 erucic과 정의 상관을 보여 주었다. 8. 공시된 3품종의 triglyceride구성비율은 내한유채가 86.7%로 가장 높았으며, 기타(mono, di-glyceride 및 free fatty acid) 는 13.3~17.4%로 나타났다.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on the oil quality improvement, seed oil, fatty acid composition and glyceride content were analyzed in 146 Brassica varieties. Seed oil content of the tested varieties were ranged from 25.6 to 47.4% with 40.1% of varietal mean. From the experiment, Mokpo 71, Mokpo 90 and Dankyo 12 were selected as high oil strains of which content was as high as 45%. Oil contents showed highest in Korean hybrid by origin and late varieties by maturity and large seed varieties by 1,000 seed weight. Palmitic, stearic and linolenic acid conten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ut oleic, linoleic, eicosenoic and erucic acid contents appeared differences by varietal orgin. Oleic and linoleic acid content of improved varieties increased 43.3%, 7% higher than that of unimproved varieties, respectively. Improved varieties have not contained erucic acid. Oil content showed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palmitic, stearic and oleic acid, while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eicosenoic and erucic acid. A high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oleic and linoleic acid. On the other h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ere showed between erucic acid and oleic, linoleic acid. Erucic acid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eicosenoic acid. Triglyceride content of three rapeseed varieties were ranged from 82.6% to 84.9% and showed differences among the varieties.

저자
  • 방진기(작물시험장)
  • 이정일(작물시험장)
  • 김기준(건국대학교)
  • 박래경(작물시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