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현미 종류별 발아현미의 발아 전 후 생리활성물질 함량의 변화 KCI 등재

Pre- and Post-Germination Changes in Pharmaceutical Compounds of Germinated Brown Ri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366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발아현미에 함유된 기능성 물질의 발아 전후 함량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일반미, 녹미, 적미, 흑미, 찹쌀현미 등 5종의 현미를 대상으로 발아 전 상태 및 발아현미 제조 후 상태에서의 tocopherol 및 tocotrienol류, squalene 및 phytosterol 류 등 기능성물질 함량 변화를 평가한 본 실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비타민 E 함량은 발아전보다 발아후의 현미에서 약 10% 수준의 함량 감소가 관찰되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2. Squalene 함량의 경우 발아찹쌀현미는 발아 과정 중 31%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다른 종류의 현미는 발아 전후 큰 변화가 없었다. 3. Phytosterol류 중 stigmasterol은 모든 종류의 발아현미에서 발아 전 대비 5-27%의 뚜렷한 증가가 관찰되었으며, campesterol, sitosterol 및 총 phytosterol 함량은 발아 전후 간 대차 없거나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4.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비록 현미 종류별 차이는 있었으나 대부분의 경우 발아 현미는 발아전과 비교할 때 stigmasterol은 뚜렷한 증가를 나타내며 본 실험 분석 대상이었던 tocopherol, tocotrienol, squalene, campesterol, sitosterol 등 기능성 물질은 발아 전후 대차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Recent consumption of germinated brown rice is increasing due to its health-beneficial effects. To clarify germination-dependent changes in functional compound contents, 5 different types of (ordinary, glutinous, green-kerneled, red-colored and black-colored) rices were selected and their pre- and post-germination content changes in vitamin E (α- , β- , ~gamma-tocopherols and α- , ~gamma- , δ-tocotrienols ), squalene, and phytosterols (campesterol, stigmasterol, sitosterol) were evaluated. In the case of vitamin E isomer contents, germination generally resulted in decreasing tendency around 10% in most isomers as well as in total tocopherol and tocotrienol contents in all types of rices. In the case of squalene, significant increase could be observed in glutinous rice (by 31%), while other types of rices exhibited no changes or slight reduction by germination. Regarding stigmasterol contents, all tested types of germinated brown rice exhibited significant increment by 19 to 27% compared to nongerminated cases, except for green colored-rice which showed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5% increment. No changes or slight reductions, however, could be observed in campesterol and sitosterol, as well as in total phytosterol contents. As a conclusion, most of tested pharmaceutical compounds exhibited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changes except for stigmasterol which were increased by the germination process.

저자
  • 정혜영(순천향대학교 생물자원공학과)
  • 이동현((주)미실란)
  • 백흠영(한국인스팜(주))
  • 이영상(순천향대학교 생물자원공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