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2007년 개정 漢文科敎育課程의 읽기 영역 분석 KCI 등재

Analysis of a reading sphere of The Curriculum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s amended in 2007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372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300원
漢字漢文敎育 (한자한문교육)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초록

이 논문은 2007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읽기’ 영역의 내용을 새 중학교 한문 과목 교육과정 해설서에 의거하여 분석한 것이다.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은 영역을 ‘漢文’과 ‘漢文知識’의 두 개로 나누었다. ‘읽기’는 ‘이해’, ‘문화’와 함께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한문’ 영역의 세 개 中領域중 하나로 설정된 것이다. 개정 교육과정의 영역별 내용에서 ‘읽기’는 ‘텍스트 + 학습요소’의 형식으로 진술되어 있다. 곧 개정 교육과정은 한문 텍스트를 漢文短文, 散文, 漢詩의 세 종류로 나누고, 이 각각에 대한 학습 요소를 ‘소리 내어 읽기’,‘끊어 읽기’, ‘바르게 풀이하기’의 세 가지로 제시하고 있다. 이 중 ‘소리 내어 읽기’는 한문 읽기에서 특히 發音하기 과정에 주목하여 설정한 것이다. 유의해야 할 것은, 이 ‘소리 내어 읽기’가 음성 언어의 發聲하기와 달리 기본적으로 문자 언어의 發音하기의 성격을 가진다는 점이다. ‘끊어 읽기’는 한문읽기에서 특히 句讀끊어 읽기 과정에 주목하여 설정한 것이다. 한문은 전통적으로 띄어쓰기를 하지 않고 붙여 쓰는 게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글을 읽을 때에는 구절과 문장 단위로 적당하게 끊어서 읽었으니, 이것을 句讀라고 한다. 원래 ‘句’는 문장(Sentence)과 문장 사이를 끊어 읽는 것을 가리키고, ‘讀’는 문장 내에서 구절과 구절 사이를 끊어 읽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우리나라에서 문장 부호 사용법을 이르는 句讀法이라는 용어는 여기서 유래한 것이다. ‘바르게 풀이하기’는 古典文言文인 漢文을 우리말로 풀이하는 과정에 주목하여 설정한 것이다. 漢文을 우리말로 풀이하는 것은 한문을 얼마나 잘 이해했는가를 평가하는 하나의 수단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漢文을 우리말로 풀이하는 것은 그 자체가 漢文을 이해하는 하나의 과정으로서 한문 능력을 기르는 방법이 되기도 한다. 개정 교육과정 ‘읽기’의 학습 요소 ‘소리 내어 읽기’, ‘끊어 읽기’, ‘바르게 풀이하기’는 각기 모두 한문 읽기의 全過程을 前提로 하는, 한문 읽기의 특수한 한 과정이다. 한문 읽기의 전 과정이 나름대로 전제되지 않는다면, 이들 활동 자체가 전혀 수행될 수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한문 읽기의 전 과정에 비추어 볼 때, 개정교육과정의 ‘읽기’ 영역은 한문 읽기의 특수한 한 과정에 지나지 않는다고 해야할 것이다. 한문 읽기의 전 과정에는 개정 교육과정의 ‘읽기’ 영역뿐만 아니라 ‘이해’와 ‘문화’ 영역 또한 그 전부 또는 대부분이 포함될 것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개정 교육과정의 ‘한문지식’ 영역 또한 한문 읽기와 무관한 것이 될 수 없다.

This paper analyzed the contents of a 'Reading' sphere of the Curriculum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s amended in 2007 on the basis of the explanation of the new junior high school's curriculum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he sphere of the amended curriculum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was divided into 'Chinese Writing' and 'Chinese Writing Knowledge'. 'Reading', together with 'Understanding' and 'Culture', was decided as one of three mid-spheres in the amended curriculum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Reading' in the contents by sphere of the amended curriculum is stated as a type of 'text + learning element'. So to speak, the amended curriculum is divided into three kinds - Chinese Short Sentence, Prose, and Chinese Poem - and the learning element for each of the three kinds is proposed in three, 'Reading With Voice', 'Articulate Reading', and 'Proper Interpretation'. Among them, 'Reading With Voice' was decided especially paying attention to the process of pronouncing in reading Chinese writing. The matter to be noted is that this 'Reading with voice', different from uttering phonetic language, basically has a character of pronouncing lateral language. ‘Articulate Reading’ was decided especially paying attention to the process of Gudu(句讀) articulate reading in Chinese writing reading. It was common not to write Chinese writing leaving spaces between words but to write it without space between words. When we read a writing, however, we read it, appropriately dividing it in the unit of a phrase and a sentence, which is called Gudu(句讀). In originally 'Gu(句)' indicates reading articulately by dividing between sentences and 'Du(讀)' indicates by dividing between phrases. The term named Gudubeob(句讀法) that means how to use sentence marks in our country originates from this. ‘Proper Interpretation’ was decided paying attention to the process of interpreting a Chinese writing, a classic composition written in literary style. Interpreting a Chinese writing in Korean may be one means of evaluating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a Chinese writing. But, interpreting a Chinese writing in Korean, as one of processes of understanding a Chinese writing as such, may be a method of raising knowledge of a Chinese writing. The learning elements of 'the amended curriculum' of 'Reading', that is, all of 'Reading With Voice'. 'Articulate Reading', and 'Proper Interpretation' are one special process for Chinese writing reading covering all the processes of Chinese writing reading. Because unless all the processes of Chinese writing reading are premised, these activities themselves can not be performed altogether. Also in view of all the processes of Chinese writing reading, it can be said that 'Reading' sphere of the amended curriculum is only a special process of Chinese writing reading. Because, all the processes of Chinese writing reading includes 'Understanding' and 'Culture' sphere or their whole or most parts as well as 'Reading' sphere of the amended curriculum. In addition, 'Chinese writing knowledge' sphere of the amended curriculum can not be related to Chinese writing reading.

목차
Ⅰ. 머리말
Ⅱ. 개정 漢文科敎育課程에서 읽기의 개념과 성격
Ⅲ. 개정 漢文科敎育課程에서 ‘읽기’영역의 학습 요소
  1. 텍스트
  2. 소리 내어 읽기
  3. 끊어 읽기
  4. 바르게 풀이하기
Ⅳ. 맺음말
저자
  • 尹在敏(Korea University, Professor) | Yoon, Jae-m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