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漢字漢文敎育 KCI 등재 한자한문교육 Han-Character and Classical written language Education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Vol. 21 (2008년 11월) 17

基調講演

1.
2008.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漢文科敎育은 이제 새 漢文科敎育課程의 ‘읽기’領域의 새로운 設定으로 하여, 우리 先人들이 보여 주었던 ‘聲讀’의 방법을 再現하여 익힐 수 있게 되었다. 또는 성독의 방법을 變容하여 더 나은 발전적인 모델의 ‘읽기’模型을 제시할 수도 있게 되었다. 위의 논문은 이러한 시기에 한문과 새 교육과정 중 ‘읽기’요소의 變遷過程을 알아보고, 傳統的인 한문교육에서의 읽기 교육을 살펴 본 논문이다. 또한 현대 한문교육에서의 읽기교육의 방법을 알아본 논문이며, 앞으로의 읽기교육을 통하여, 한문교육 본연의 敎授⋅學習방법을 改善시켜 他敎科를 가르치는 선생님들이 한문과 교육을 하는 교사들의 수가 減少하는 效果를 期待하여 보는 논문이다.
4,900원
2.
2008.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2007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읽기’ 영역의 내용을 새 중학교 한문 과목 교육과정 해설서에 의거하여 분석한 것이다.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은 영역을 ‘漢文’과 ‘漢文知識’의 두 개로 나누었다. ‘읽기’는 ‘이해’, ‘문화’와 함께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한문’ 영역의 세 개 中領域중 하나로 설정된 것이다. 개정 교육과정의 영역별 내용에서 ‘읽기’는 ‘텍스트 + 학습요소’의 형식으로 진술되어 있다. 곧 개정 교육과정은 한문 텍스트를 漢文短文, 散文, 漢詩의 세 종류로 나누고, 이 각각에 대한 학습 요소를 ‘소리 내어 읽기’,‘끊어 읽기’, ‘바르게 풀이하기’의 세 가지로 제시하고 있다. 이 중 ‘소리 내어 읽기’는 한문 읽기에서 특히 發音하기 과정에 주목하여 설정한 것이다. 유의해야 할 것은, 이 ‘소리 내어 읽기’가 음성 언어의 發聲하기와 달리 기본적으로 문자 언어의 發音하기의 성격을 가진다는 점이다. ‘끊어 읽기’는 한문읽기에서 특히 句讀끊어 읽기 과정에 주목하여 설정한 것이다. 한문은 전통적으로 띄어쓰기를 하지 않고 붙여 쓰는 게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글을 읽을 때에는 구절과 문장 단위로 적당하게 끊어서 읽었으니, 이것을 句讀라고 한다. 원래 ‘句’는 문장(Sentence)과 문장 사이를 끊어 읽는 것을 가리키고, ‘讀’는 문장 내에서 구절과 구절 사이를 끊어 읽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우리나라에서 문장 부호 사용법을 이르는 句讀法이라는 용어는 여기서 유래한 것이다. ‘바르게 풀이하기’는 古典文言文인 漢文을 우리말로 풀이하는 과정에 주목하여 설정한 것이다. 漢文을 우리말로 풀이하는 것은 한문을 얼마나 잘 이해했는가를 평가하는 하나의 수단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漢文을 우리말로 풀이하는 것은 그 자체가 漢文을 이해하는 하나의 과정으로서 한문 능력을 기르는 방법이 되기도 한다. 개정 교육과정 ‘읽기’의 학습 요소 ‘소리 내어 읽기’, ‘끊어 읽기’, ‘바르게 풀이하기’는 각기 모두 한문 읽기의 全過程을 前提로 하는, 한문 읽기의 특수한 한 과정이다. 한문 읽기의 전 과정이 나름대로 전제되지 않는다면, 이들 활동 자체가 전혀 수행될 수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한문 읽기의 전 과정에 비추어 볼 때, 개정교육과정의 ‘읽기’ 영역은 한문 읽기의 특수한 한 과정에 지나지 않는다고 해야할 것이다. 한문 읽기의 전 과정에는 개정 교육과정의 ‘읽기’ 영역뿐만 아니라 ‘이해’와 ‘문화’ 영역 또한 그 전부 또는 대부분이 포함될 것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개정 교육과정의 ‘한문지식’ 영역 또한 한문 읽기와 무관한 것이 될 수 없다.
6,300원
3.
2008.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등학교 교실 수업 현장에서는 아침 자습, 특별 활동, 재량 활동 등의 시간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漢字敎育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초등학교 漢字敎育課程이 제정되지 못한 상태에서 학교별 또는 교사별로 자율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 에 적합한 敎授․學習方法을 찾아 한자 교육을 하지 못하고 있다. 한자 학습에 대한 認識變換과 교사 연수로 쓰기 중심의 한자 학습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지만, 아직도 많은 사들이 학습자가 익혀야 할 한자를 제시하고 학습자들이 그것을 공책에 옮겨 쓰는 쓰기 중심의 한자 학습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한자 읽기 교육 문제를 점검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필자는 초등학교에서의 한자 읽기가 文字의 音聲化에 그쳐서는 안 되며, 意味의理解를 통한 漢字 識의 構成에 이르러야 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시각으로 초 등학교 현장의 한자 읽기 실태를 검토해 본 결과, 초등학교 현장에서는 漢字의 字形․字音․字義를 統合한 한자 읽기, 活動中心의 놀이 학습을 통한 한자 읽기, 웹 자료를 통한 한자 읽기 수업이 진행되고 있음을 밝혔다. 또한 한자어 읽기는 낱자의 結合을 통한 읽기와 文章活用을 통한 읽기로 수행되고 있음을 고찰 하였다. 이를 통하여 읽기 교육에 대한 敎師認識의 轉換, 標準訓音의 학습에 따른 漢字語意味의 混同, 意味脈絡을 고려한 한자 학습 등의 문제를 제기하였다. 그리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構成主義에 바탕을 둔 한자․한자어 학습이 필요하다. 즉 교사 주도의 획일적 수업을 지양하고 學習者中心의 실제 활동, 학습자 간의 적극적인 相互作用活動을 통하여 한자 읽기 수업을 진행하는 것이 학습자들에게 참다운 漢字知識을 構成하게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10,100원
4.
2008.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의 읽기 교육의 동향은 결과 중심의 읽기 교육에서 과정 중심의 읽기 교육 으로 변하고 있다. 이러한 즈음 한문과 개정교육과정에서의 읽기 영역은 교사나 학생이 충분히 숙지하여 실천할 수 있어야 하는 과제가 되었다. 읽기란 글을 읽고 그 내용을 이해하는 것이다. 한문에서의 읽기가 단순한 문자 의 음성화와 문장 구조, 어구 풀이, 어휘 조사를 통한 독해의 수준에 머물러서는 안되고, 독서의 개념으로 확대되어 의미를 이해하는 데에까지 확장되어야 한다. 그간 한문과에서 읽기에 관련된 논문들이 다수 발표되어 띄어읽기, 허사의 쓰임 에 따른 끊어읽기, 게임을 통해 한자 읽기, 문학 작품을 통한 읽기, 용어의 의미 파악하기, 다독, 묵독, 속독 등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앞으로는 한문과 교육과정 에 따른 읽기 교육이 연구에 머물지 않고 실천되어야 할 것이다. 중학교 한문과에서의 읽기 교육은 한문을 처음 접하는 학생들에게 한자를 바르게 읽고 독해의 단초가 되는 어휘의 의미를 읽어내어 올바른 한문 독해를 통해 바람직한 인성양과 건전한 가치관 형성에 그 목적을 두어야 한다. 목적을 상실한 읽기는 의미가 없으므로 읽기를 실시할 때 반드시 읽는 이유나 목적을 명시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충분한 동기 유발을 해야겠다. 인성교육이 사회적인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는 시점에서 한문을 읽는 행동이 학습자들에게는 또다른 인성함양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읽기의 기술이나 전략은 학습자의 몫일 수 있으나 교사가 학습자에게 읽기의 기술이나 전략을 설명해주어 자신이 능숙한 읽기를 하고 있다는 자신감을 심어주 어야 할 것이다. 단순히 따라 읽거나 반복하여 읽게 하여 읽기를 통한 즐거움이 줄어들거나 역효과가 나지 않도록 해야겠다. 읽기는 다양한 방법으로 운용할 수 있는데, 방법의 다양함만큼이나 평가도 다양하다. 읽기의 방법에 따라 평가가 즉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개인 수행과제로 평가를 할 수도 있다. 읽기는 문자의 음성화로부터 문장의 독해와 감상까지를 아우르는 광범위한 교수-학습 방법이다. 적절히 잘 활용한다면 교사나 학습자 모두에게 즐거운 한문 수업을 경험하게 할 것이다.
6,900원
5.
2008.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에서 ‘읽기’는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정의한 ‘읽기’로 한정하여 논의를 진행하였다. 아직 고등학교 한문과 교육과정 해설서가 우리에게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중학교 한문 교육과정 해설서의 내용을 끌어다가 바탕으로 삼아 고등학교 한문과 의 읽기 문제를 살펴보았다.‘소리 내어 읽기’를 중요 학습 요소로 설정하였는데, 이는 매우 환영할 만한 일 이다. 한문과 학습에서 ‘소리 내어 읽기’는 대단히 중요하고 긍정적인 요소가 많은 학습 활동이다. 학급 전체가 함께 소리 내어 읽으면서 공동체 의식이 형성된다든지, 언어에 대한 규약과 기술을 배울 수 있다든지, 학습자의 교재 이해력이 향상된 다든지, 교사의 읽는 소리를 듣거나 학생 스스로 소리 내어 읽으면서 접한 단어의 머릿속 저장이 용이하다든지 하는 것들이 긍정적인 점들이다. 다만 교육과정에서 묵독에 대한 언급이 없는 점은 개선이 필요하다. ‘소리 내어 읽기’ 활동의 평가 요소와 방법의 소개도 미미하다. 문종(文種)이나 분위기에 맞는 읽기 방법 그리고 읽기 태도에 대한 언급도 필요하다. 끊어 읽기에 대하여서는 그 필요성을 인정하되, 교과서에 현토문을 싣는 것에 대한 회의를 피력하였다. 고칠 수 없거나 또는 고쳐서는 안될 것 같은 관행이라도 의심하고 두드려 보는 것이 필요하다. 현토되어 있지 않은 원문을 굳이 현토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 끊어 읽기 또한 평가 방법과 수단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바르게 풀이하기와 관련해서는 필자가 따로 언급할 만한 것이 없었다. 직역과 의역 둘 중 무엇을 우선으로 할 것인가에 관한 논의가 필요하지만 고등학교 한문 수준에서는 축자적 직역을 우선시해야 할 것이다. 개정된 교육과정에 따른다면 앞으로 한문과의 수업이 문법-번역식 수업이 주류가 될 것이고 본다. 개정된 한문과 교육과정에 따라 새 교과서들이 속속 출간될 것이다. 한문과에서 ‘읽기’는 학습 단계에서 가장 앞서는 부분이다. ‘읽기’에 성공할 때 ‘이해’도 가능하게 된다. ‘읽기’ 교육의 성공을 위해 해야 할 것들이 많다. 교육과정의 상세화, 읽기 재료의 선정과 배치, 그리고 읽기 평가 요소와 평가 방식 및 절차의 마련 등이 그것이다.
6,300원
6.
2008.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이 논문은 “한자-한문 읽기교육의 과제와 전망”이라는 주제아래 우리의 전통한 문 교육 방법인 聲讀과 현대한문교육과의 연계성을 모색한 논문이다. 聲讀이란 전통한문학습의 일종으로 한문 문장의 뜻을 완전히 깨치기 위해 소리를 내어 읽 거나 한문 문장의 이해와 감상을 바탕으로 흥취나 리듬을 넣어 소리를 내어 읽는 방식을 말한다. 우선 엄숙하고 경건한 자세로 ‘漢字소리내어 읽기’를 시작으로, 한자에 대한 음과 훈, 한문 구절의 의미를 치밀하고 꼼꼼하게 새기고, 한자어나 고유명사 같은 한자어를 모두 찾고 깨우치고 전고의 유무를 따져 깊이 추구한 후 에 문장의 구조를 이해하여 문맥에 따라 토를 달고 의미단위로 짧게 끊어서 음조 미를 살려가면서 가만가만 읽어 문장의 해석이 이해되는 것을 바탕으로 소리를 점점 높여가며 읽어서 완성한 후에야 비로소 유창한 성독에 이를 수 있다. 성독은 예부터 우리 조상들에 의해 연구 개발된 한문 학습방법으로 읽기를 통해 반복적 으로 학습하여 완전학습의 모형에 이르는 특수한 교육방법이다. 생략과 도치, 영 탄, 상징, 등 심오하고 비유적인 표현이 다양하게 들어 있는 한문문장을 문법적으 로 다 설명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성독은 항상 맞아 들어가야 하는 문 법적인 구조도 수용하지만 새롭게 표현되는 돌발적인 표현에도 문장의 정황에 맞게 대처하여 학습 한다. 문장과 문장을 연결하는 구기는 여러 가지로 한문문장을 읽어나가는데 도움을 준다. 전통학습방법인 성독은 “한자-한문 읽기교육”의 다양 한 학습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훌륭한 교육 방안이었다. 한문교육에 있어서 전통 적인 성독의 교육 방법은 창조적으로 계승하여할 여지가 너무나 많다.
7.
2008.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7차 개정 漢文科敎育課程중 ‘읽기’에서는 ‘漢字․漢文의 正確한 朗讀’을 요구하고 있다. ‘漢字․漢文의 正確한 朗讀’이란 韓國語‘標準發音法’을 따르는 것이다. 漢字音도 韓國語發音의 한 부분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재 漢文科에서는 漢字音敎育이 國語發音敎育의 한 부분이라는 인식을 하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韓國語標準發音法에서는 母音의 長短音을 구별하여 말해야 標準發音이 되는데, 현재까지 漢文科敎科書는 長短음을 구별하지 않는 不正確한 漢字音을 적어 왔고 漢文科敎師는 非標準漢字音을 가르쳐 왔다. 오늘날 韓國語의 標準發音敎育은 國語科에서는 불가능하다. 國語科敎科書는 한글專用으로 되어 있는데, 현행 한글은 長短音을 구별하지 않고 적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재 漢字를 가르치는 漢文科에서만 正確한 漢字音敎育이 가능하다. 漢文科에서 漢字의 標準發音敎育을 잘 해준다면, 漢字語가 韓國語語彙의 70%를 차지하므로 학생들은 韓國語標準發音을 거의 할 수 있게 된다. 따 라서 漢文科교육자들은 “漢字音의 正確한 敎育”은 漢文科의 時代的使命이자 特長임을 인식해야 한다. 글쓴이는 이런 관점에서 기존의 漢字音관련 論文들을 檢討해 보았는데, 현재 漢文科敎育에서는 長短音을 구별하지 않는 平讀이라는 잘못된 漢字音敎育을 大勢로 인정하고 있었다. 이는 時急히 바로잡아야 한다. 漢文科授業시간에 正確한 漢字音을 敎育하는 方法은 다음과 같다. 먼저 個別漢字音을 正確히 가르친다. 그리고 2․3자 漢字語, 4자 成語, 漢文, 漢詩는 나눌 곳을 각각 잘 알아서 끊어 읽게 해야 한다. 그리고 항상 제1音節에서만 長短音을 區別하여 發音하게 하면 된다. 漢文科敎師가 正確한 漢字音을 지도할 수 있으려면 본인이 먼저 正確한 漢字音을 알아야 한다. 그럴려면 敎育漢字代表訓音選定(案)(2000) 같은 책을 통해 漢字音의 長短音區別을 익혀야 한다. 漢文科에서 正確한 漢字音을 교육하면, 標準漢字音을 잘 배운 사람은 비록 한글專用으로 된 글일지라도 스스로 長短音을 區別하여 漢字를 正確히 朗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한글專用을 補完하기 위해서라도 漢文科에서는 正確한 標準漢字音을 敎育해야 한다.
7,700원
8.
2008.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7차 교육과정 개정안의 큰 틀은 한자어와 한문의 학습 위계가 결여되어 있다 는 판단 아래 짜여 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판단은 한자어의 개념, 유형, 성격 그리고 한자어 지도 방법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에 근거하여 이루어진 것이라고 보기 어렵다. 한자어 학습이 한문 학습과 연관이 없다는 입장은 언어생활의 한자 어와 한문의 한자어가 조어 원리도 다르고 쓰임새도 다르기 때문에 학습 영역이 분리되어야 한다는 사실에 기초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한 자어의 상당부분은 한문고전에서 사용된 말이며, 그렇지 않은 말이라고 할지라도 그것을 어떻게 지도하는가에 따라 한자어 학습이 곧 한문 학습과 직결될 여지는 충분하다. 사실 한자어 학습이 한문과 상관없는 것으로 치부된 데에는 현행 교과서의 한 자어 내용 구성에도 책임이 있다. 현행 교과서는 한자의 자의와 한자어의 어의가 심각할 정도로 불일치하는 모습을 보인다. 한자의 뜻을 안다고 해도 한자어의 의 미는 알 수 없도록 되어있는 것이다. 한자어의 의미도 국어사전의 풀이방식을 그 대로 따르고 있어 한문 고전에서의 의미와 현대적 의미 간에 상호 연관성이 결여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내용 구성으로는 한자․한자어․한문이 유기적인 체계로 교육될 수 없다. 이런 점에서 한자어에 대한 새로운 교육 내용과 지도 방법이 요구된다. 즉 한자 어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한자의 자의와 한자어의 어의가 서로 일치하게 하고, 한자어의 현대적 의미와 한문 고전에서의 의미가 서로 연계되도록 내용을 구성하는 의미 분석의 지도 방법이 필요한 것이다. 한자어를 구성하는 자의에 대 한 철저한 분석을 통해 자의의 변화 발전 과정을 살피고, 또한 한자어의 어의에 대한 철저한 분석을 통해 어의의 고금의 변화 발전 과정을 익히면, 한자나 한자어 에 대한 이해가 심화되어 언어생활과 한문독해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선인들의 정신문화와 삶의 자세, 시대의 추이에 따른 제도의 변화와 생활상을 익 힐 수 있고, 자의와 어의의 의미 발전 경로를 추론함으로 유추하는 능력도 기를 수 있다. 이러한 지도 방법을 잘 활용한다면, 한자어 교육을 통해서도 한문 중심 수업에 서 기대하는 여러 학습 목표를 성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한자어의 효과적인 수업 지도에 대하여 체계적인 이론을 연구 개발하기 위해서라도 대학의 한문학과나 한 문교육과 교육 과정에 文字學과는 별도로 漢字語彙學이 개설되어야 할 것이다.
8,900원
9.
2008.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조선후기 여항인의 교육양상과 그것이 지니는 의의에 대해 고찰하는 것 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선후기 여항인들은 사대부가의 자제들을 비롯하여 여항인 과 하층민 등 광범위한 계층을 대상으로 교육활동을 전개하였다. 그 형태는 여항 인에게는 書堂방식의 강학이, 사대부를 대상으로 행해진 강학은 塾師의 형태를 띠고 있다. 또한, 조선후기 여항인들은 규모의 차이는 있었지만, 한문학 전반에 관한 지식 과 유교적 교양뿐만 아니라 학문, 처세 등 삶의 자세에 관한 全人敎育차원의 교 육을 실시했는데, 이러한 조선후기 여항인의 교육은 여항인 내부에 문식층을 증가 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그리고 이는 점차 동류의식으로 발전하며 높은 수준의 ‘여 항문학’을 산생하는 데 일조하는 한편, 여항인에 대한 기존의 시각을 일부 교정하 는 역할을 하기도 했다.
6,700원
10.
2008.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대학수학능력시험[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한문 과목 [Chinese Characters] ‘한자 영역’에 대한 분석의 방향을 크게 ‘출제 경향’과 ‘문 항 유형’의 차원으로 그 범주를 설정하였다. 이 연구는, 한문 과목이 대학수학능력 시험 제2외국어/한문 영역에 포함되어 시행되기 시작한 2005학년도 6월 모의평가 부터 2009학년도 9월 모의평가까지 총 14회에 걸친 모의평가 및 대학수학능력시 험 문항을 검토 대상으로 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먼저 출제 경향의 차원에서 살펴본 결과, 한자 영역의 문항 수는 전체 문항 수 의 20%인 6문항이 출제되어 출제 매뉴얼에서 제시한 시행 지침과 일치하고 있 다. 그러나 배점으로 보면 ‘6점(12%)~10점(20%)’로 구성되어 ‘한자’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문항의 평가 요소를 살펴보면 한자 영역의 학습 요소 를 고르게 반영하여 내용상 타당성이 높은 문항을 출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 다. 다음으로 문항의 유형을 살펴본 결과 다양한 유형의 문항을 출제하고 있다. 변별도를 제고하고 정답률을 조정하기 위해 문항의 유형에 계속 변화를 주고 있 으며, 또한 기출 문항에 저촉되지 않기 위하여 새로운 문항 형식을 도입하였고 삽 화를 적극 활용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수학능력시험 한문 과목 ‘한자 영역’에 대한 분석을 ‘출제 경 향’과 ‘문항 유형’의 차원에서 수행하였다. 차후로 측정․평가의 통계적 원리와 기 법을 활용하여 ‘문항의 양호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10,500원
11.
2008.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미시문화기술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대학원 교과교육학 과목 ‘한 문교육원론(漢文敎育原論)’ 수업을 비평한 것이다. 본격적 수업 비평에 앞서, ‘수 업→관찰→기술(記述)→해석’이라는 ‘수업 비평 모형’을 구안(具案)하였다. 해석의 결과인 이론은 다시 수업으로 환류(還流)되고, 수업의 주체인 교수자와 해석의 주체인 연구자는 상호 작용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필자와 연구 참여자들의 비평 활동을 몇 가지 양상 예컨대, 수업 프로그램 비평, 비평적 안목(眼目)의 양상, 교실 수업에로의 연계와 환류(還流), 그리고 변화와 성찰(省察)의 국면(局面)으로 범주화하고, 각각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대학원 ‘한 문교육원론’ 수업 비평은, 현장의 한문 교사들이 한문교육학의 학문적 성격과 특 성을 알 수 있는 계기가 되며, 사범대학 및 교육대학원 한문교육학 관련 수업의 방향 제시에 도움이 된다는 점에서 일정한 의의(意義)가 있다. 한편으로, 이 연구 에 참여했던, 필자와 한문 교사들은, ‘한문교육학 연구자로서의 교사와 교수’라는 역할을 수행할 것을 다지는 전회(轉回)의 계기가 되었다.
11,400원
12.
2008.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학자들이 서구 어학 이론으로 漢文의 語學的특성을 구명하기 시작한 것은 1908년 元泳義의 初等作文法을 시작으로, 1916년에 辛在英이 漢文義讀自解를, 1917년에는 姜邁가 漢文法提要를, 1921년에는 永昌書館에서 實地應用作文大方등이 발간된 후 약 40 년간 공백기를 두고 1960년대와 1970년대 사이에 발간된 문법서는 1960년 丁南洙의 漢文解釋을 시작으로 1971년 6월 許世旭의 漢文通論, 7월 權重求의 漢文大綱, 1973년 文璇奎의 漢文敎疑書, 1975년 趙鍾業의 漢文通釋, 1976년 洪寅杓의 漢文文法, 1977년 박지홍의 표준 漢文法등이 발간되었다. 본고는 1975년 趙鍾業의 漢文通釋의 문법이론 분석에 이어서 1976년 洪寅杓의 漢文文法에 수록된 品詞理論을 분석하려 한다. 특히 초기에 간행된 한문 문법서의 문법 이론이 40년간의 공백기를 거친 후 다시 발간된 한문 문법서에 어 떻게 수용․변모 되었는가 파악할 수 있을 것이고, 이후 발행된 한문 문법서에는 어떻게 반영되었는가도 거론될 것이다. 漢文文法에서는 단어의 종류를 單詞와 複詞로 나누었는데 크게 5 가지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詞의 種類’에서는 音節數에 의해 분류되는 ‘衍聲複詞’와 두 개의 품사가 연결되어 단어를 형성하는 合意複詞로 분석될 것이다. ‘品詞의 分類’ 에서는 實辭와 虛辭의 종류와 개념을 설명하고, ‘品詞의 結合’에서는 聯合關係, 組合關係, 結合關係등이 서구 이론의 입장에서 분석될 것이다. 저자는 ‘品詞의 等級’에서 甲級, 乙級, 丙級으로 나누었는데 이는 어떤 품사가 주로 문장의 성분 으로 쓰이는가를 논한 것이다. ‘品詞의 活用’은 品詞의 轉成을 설명한 것으로 제 시된 예문을 통해 統辭的機能에 의해 품사가 변하는 것과 造語的側面에서의 품사가 변하는 것으로 분석될 것이다.
7,000원
13.
2008.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간이 의사전달을 하기 위해 문자를 만들었고, 그 문자에 의해 구성된 문장의 전달효과를 보다 증진하기 위하여 표현 형식을 가다듬게 되었다. 언어와 문장은 표현하는 방법에 따라 전달의 효과도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작문상 어휘의 선택 이나 작문의 방법을 구상하여 전달의 효과를 기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중국인 들은 고대로부터 기록을 위한 문장은 일상 언어와는 달리 수식을 가하여 작문하 려고 하였다. 수식에 의한 구성진 표현을 좋은 문장으로 보고 이를 계승 발전시켜 결국 각종 요식을 갖춘 문체를 만들어 내기도 하였다. 한문의 문장들은 다양한 수사적 기법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수많은 표현 기법 을 강구하여 멋진 문장으로 전달효과를 높이려 하는 것인데, 한문의 문장 구성법 을 살펴보면 가장 기본적이고 어디에서나 발견할 수 있는 것이 조화의 원리이다. 만물의 생성 원리를 음양의 상응작용에서 찾듯이 중국인은 문장의 형성에도 음양 조화의 원리를 적용시켰다. 강약 대소 억양 등 상대적인 조화를 이루어 균형미를 추구함과 동시에 상대적인 대조로 독자의 이해를 배가시키자는 데 그 의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한문의 문장 구성법은 다양하지만 그 중에서도 조화로운 형식미를 추구하는 수 사법은 가장 기본 요건이다. 본고에서는 이 점을 중시하여 문자에서부터 각종 문 형에 나타난 조화의 원리를 고찰하였다. 그림문자에서 출발한 한자는 구성상에서 매우 균형미를 갖추고 있다. 문장에서는 더욱 조화로운 균형미를 살필 수 있는데, 먼저 일반 산문을 보면 산체로만 일관하지 않고 우구와 배합하여 작성하는 것을 살필 수 있다. 변려문과 사부에서는 구문의 대우관계 뿐만 아니라 성률까지도 지 극히 균형적 조화를 추구하며, 시에서도 내용은 물론 자구와 성률 등에서 상호 균 형과 조화의 원리에 의한 작법을 지극히 중시하고 있다. 한문의 작품마다 문장의 구절에서 배분의 질서와 상대적 조화의 미를 발견할 수 있는데, 이는 중국인의 생 활철학이 문장을 구성하는 데에도 반영된 결과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7,700원
14.
2008.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에서는 삼국유사 효선 편 설화를 고찰하는데 있어서 인간의 가장 본질 적인 윤리인 ‘효’에 중점을 두고 살펴보았다. ‘진정의 설화’는 ‘효선쌍미(孝善雙美)’라는 표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어버이에 대한 효와 불에 대한 선을 동시에 보여줌으로써, 효를 행하는 것은 선업을 쌓는 일이고, 선업을 쌓는 것은 곧 효를 행한다고 고차원적인 효를 보여주고 있다. ‘대 성’ 역시 ‘진정’과 마찬가지로 봉양과 보시에 그의 효선이 초점이 있다. 진정과 대 성 설화는 어머니의 구양(口養)뿐만 아니라 불교신자인 어머니의 뜻을 헤아려 이 를 맞추어 드린 효행설화이다. 아울러 효선 편목의 서사는 ‘주체의 신성성 → 시련 및 도전 → 조력자의 도움 → 효 실현의 구조’를 지향한다. 일연은 향득의 효행을 ‘할고공친(割股供親)’으로 요약해서 제목을 삼았다. 그러 므로 향득이 어버이를 위해서 다리 살을 베어 바쳤다는 말을 통해서 충분히 정성 으로 어버이를 봉양했으리라는 점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이는 불교의 입장에서 보면 불법을 위하여 혹은 부모와 타인을 위하여 몸을 보시한 것으로, 원래 유교에 서는 신체의 터럭이라도 상하지 않게 하는 것이 원칙이나, 여기서는 몸과 마음을 결집한 지극한 효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손순매아설화’는 효선편의 다른 설화와 마찬가지로 ‘효자는 하늘이 알아주고 효행은 신이 감응하여 돕는다.’는 결말을 지니고 있다. 때문에 위에서 말한 어머니 가 좋아하는 손자를 묻는 다는 것은 전체적인 맥락에서 볼 때 보조적인 것에 불과 한 것이다. 이는 효자는 하늘이 알아서 그러한 극단적인 행위를 막아준다는 신념 때문에 죄악이 오히려 미담으로 될 수 있고, 이를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효심을 일깨워주는 교훈적 설화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빈녀양모설화’는 어머니의 구복(口腹)만을 봉양하고 마음을 편안하게 해드리 지 못했음을 탄식한다고 하여, 효친에는 부모의 마음이 불편하지 않도록 모시는 일도 중요함을 일깨워주고 있다. 그리고 훗날 그 집을 희사하여 절로삼고 양존사 라고 했다고 한 것으로 보아 ‘빈녀양모설화’도 불교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인신 공희를 통한 효행설화의 일반적 구조는 ‘효자(효녀)가 부모를 정성을 다해 봉양함 → 가장 중요한 것(자기 신체의 일부, 자신의 목숨 등)을 희생함 → 기적 적인 일이 일어남 → 부모에게 효도하며 행복한 결말에 이름’의 단계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효선 편 설정의 의의는 전체 편목과 유기적인 관련에서 볼 때, 신이성(神異性)과 신성성(神聖性)이라는 요소로 인해 다른 설화와 구분 지으려한 기이 편과 수미상응(首尾相應)의 관계를 지님으로써, 불교적 이상세계를 실현하기 위해 ‘효 (孝)’라는 현실에서의 실천윤리를 통해 불교 사상을 강조하는데 있다. 일연은 효선을 통하여 당위적 효의 차원을 넘어서 인간의 삶 속에서 불교의 감화력이 체현 되는 것을 구체적으로 엮었던 것으로 보인다.
8,000원
15.
2008.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訓詁와 義理는 경전해석의 중요한 두 국면이다. 훈고는 경전의 구절에 대한 의 미 추구에 앞서 경전에 등장하는 글자와 구절에 대하여 정확한 字義와 語義를 분 석하는 학문이다. 즉 훈고는 그 경전의 정확한 의리를 파악하기 위한 전단계의 과 정으로서 경전해석의 기초적인 토대가 되면서 올바른 의리추구의 선결조건이 되 는 것이다. 조선 후기의 학자 다산 정약용과 추사 김정희는 정확한 字義해석에 기초한 훈 고를 바탕으로 경전에 담겨진 의리를 탐구하는 것이 경학 연구의 본령이라는 점 에 동의했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성리학적 관점, 즉 훈고의 관점보다는 의리의 관 점으로 경전을 해석하는 경향을 강하게 표출하였던 조선 성리학자들의 전 경학저작에도 대입시켜 검토해 볼 여지가 있다. 경전의 의리의 추구는 무엇보다 정확한 經文의 자의를 정확하게 이해한 다음 추구되어야 설득력을 가지기 때문이다. 이 것은 조선의 경학 해석에 큰 영향을 끼쳤던 주자가 자신의 사서집주를 저술하 면서 행한 방식이기도 하다. 주자는 철저하게 고증을 통한 훈고의 바탕위에서 경 전의 자의와 구절의 뜻을 무엇보다 먼저 밝히고, 大文의 대의를 밝힌 다음 자신의 의리적 관점을 반영하는 등 경전해석에서 훈고와 의리의 조화를 추구한 바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성립기의 조선 맹자학의 대표적인 저술인 퇴계 이 황의 맹자석의와 사계 김장생의 맹자변의를 검토해 보면 다음의 사실을 확인 할 수 있다. 퇴계의 맹자석의는 조선 초기 조선의 학자로는 드물게 경전의 본문에 나아가 정확한 자의와 구절의 해석에 주의하는 훈고학적 자세를 보여주었다. 그는 한 자 한 자의 문맥에서의 뜻에 집중하여 경전의 原義를 살리려고 하였으며, 경전의 해 석에서 빚어질 수 있는 의미의 차이를 文勢와 語勢에 기초하여 바로잡으려 하였 다. 그것은 훈고의 착실한 적용을 통한 경전의 본지파악 노력이었으며, 동시에 퇴계가 파악하고자 한 경전의 의리를 드러내는 방식이기도 했다. 한편 사계의 경서변의는 경서의 본지를 회복한다는 의욕적인 자세에서 저술 되었다. 그는 경서의 해석에서 논란이 되는 구절에 대한 국내외 일류 학자들의 견 해를 소개하고, 자의와 문맥의 정확한 의미에 대해 그 핵실한 의미를 찾기 위해 노력했다. 그러나 변의의 최종적인 목표가 경전 자체의 본지보다는 주자가 파악한 본지의 추구에 있었기 때문에 그 논의의 범위가 주자의 해석을 넘어서지 못하는 한계를 남겼다. 사계가 추구한 맹자 해석의 방향, 즉 주자의 견해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면밀한 논증의 경향은 서인들이 대부분을 차지했던 율곡학통의 학술적인 흐름이 되어 후대의 송시열과 한원진으로 이어졌다. 이것은 전대의 퇴계 이황이 맹자석의에서 주자의 해석을 수용하면서도 정확 한 훈고를 통해 경전의 본지를 추구하려는 경향을 보여준 것과는 대조적인 흐름으로, 경학의 본지가 어느 학자의 견해에 대한 추수보다는 경전 자체에 대한 본지 추구라는 점에서 적지 않은 아쉬움을 남긴다. 경전 자체의 본의에 충실하려는 시도는 경문을 중심으로 경전을 이해하려고 했던 일군의 학자들을 지나 박세당이나 이익 등의 학자들에게 이르러 다시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9,000원
16.
2008.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소고는 倭亂(1592年~1598年)과 胡亂(1636年~1637年) 이후 조선후기의 사 상을 ‘実心’과 ‘実心実学’을 키워드 삼아 고찰하였다. 조선후기는 전쟁의 폐허를 재건하고, 보다 견고한 왕조지배체제를 제구성해야 한다는 당면과제가 있었다. 따 라서 그 이전과는 다른 氣流가 정치․경제는 물론이고 사회와 문화 등 여러 분야 에 흐르게 되었다. 특히 ‘実’이라는 개념을 자주 눈에 띠는데, 이는 兩亂의 原因을 반성한 결과일 것이다. 즉 ‘虛’에 대한 대응으로서의 ‘實’이다. 따라서 英祖․正祖時期의 文書에서 발견되는 ‘実心’과 ‘實心實學’의 용례는 ‘實’을 내용을 고찰함에 좋은 실마리를 제공해준다. 儒學의 텍스트에서 ‘実’은 ‘誠’의 내용을 설명하는 말이었다. 특히 中庸에는 ‘誠’은 하늘의 道이고, ‘誠之’는 사람의 道라고 하는 規定이 있는데, 이는 ‘実心’을 분석하고 논의함에 있어서도 중요한 거점이 된다. 용례를 정리하면 실심은 크게 두 종류로 나누어진다. 하나는 공식문서에서 신하가 군주에게 요구하는 ‘実心’이 다. 이 경우 군주는 끊임없이 신하의 忠告과 警告를 받아들이고, 그것을 정책에 반영하는 ‘実心’을 갖추어야 한다. 政治的의미가 강한 실심으로, 君民共治를 위한 實心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은 行動主体로서의 군주 自身의 文書, 혹은 신하 의 個人的文書에 사용된 ‘実心’이다. 하늘에서 부여받은 本然의 마음을 실심으로 보는 것이다. 朱子学적 修養論인 ‘存天理去人慾’과 ‘戒愼恐懼’의 자세를 갖추고, 内面의 純粋性으로서의 실심을 보존하는 것이다. 이런 ‘実心’은 他者에게 感動을 주어 共感하고, 他者와의 疎通을 꾀하며, 他者의 마음과 하나가 된다. 여기서의 ‘実心’은 實事에 임하여 實政을 행하고 백성에 도움이 되는 實效를 거두는 원동력이다. 또 이 실심에 근거한 학문이 ‘實心實學’이다. 이 ‘實心實學’은 陽明学的絶対純粋의 마음을 자각하고 그것을 重視하는 観点이 기초를 이룬다. 실심을 강조하는 人士들은 文字에 얽매여 있는 知識을 実践에 옮기는 ‘實心實學’ 의 구현을 위하여 노력한다. 즉 朝鮮後期의 새로운 학문기류에서 보이는 實心이 란, 자신을 향한 엄격 수양의 필요성을 자각한 데서 나온 개념이다. 이런 실심을 전제로 하는 실심실학이란, 이상적 민생실현을 위한 의식의 표현이라고 생각된다.
7,700원
17.
2008.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조선시대 귀신과 요괴는 어떤 모습이었으며 어떻게 변모해 갔는가 하는 궁금증에서 시작하였다. 이에 필기와 야담집, 그리고 몽유록과 소설 등에서 관련 기록을 살펴보았다. 귀신․요괴의 형상이 구체적으로 표현되기 시작한 것은 서사 적 이야기가 많이 수록된 조선초기 필기서인 용재총화 였는데 여기에서는 초자 연적 현상에 대한 설화적 경이를 주로 담고 있었다. 이후 임병 양란을 거치면서 문학작품에는 귀신과 요괴의 형상이 훨씬 구체적으로 드러나기 시작했으니 강도 몽유록 의 그로테스크한 귀신의 형상과 어우야담 에 실린 풍부한 요괴담이 그것 이다. 이들 작품은 참혹한 귀신과 요괴의 모습을 통해 부패하고 부정한 현실에 대해 비판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은 귀신의 형상은 18세기로 오면서 약화되었다. 그렇다고 이 시 기에 귀신담 자체가 약화된 것은 아니었으니 천예록 의 경우는 작품의 반 이상 이 귀신담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조선후기 강고해진 유교이념에 의해 귀신담은 주로 조상의 제사와 관련된 내용이 대부분이었고 요괴나 그로테스크한 귀신의 모 습은 필기․야담집에는 거의 사라지게 된다. 대신 19세기 이후 고전소설에는 원 귀형 여귀들이 등장하는데 이들은 뒤이어 1900년대 이후 완성된 여귀의 원형이 된다. 19세기 원귀형 여귀들은 이전 설화 속 여귀의 계승이며 조선후기 가부장적 이념 하에 여성에게 가해진 폭압을 의미한다. 1900년대 초중반에 가면 외국 영화의 영향과 60년대 이후 폭발적 인기를 끌었 던 전설따라 삼천리 의 영향으로 한국 공포 영화가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게 된 다. 반복적으로 영화화 되었던 장화홍련전 의 경우 초기에는 고전소설의 내용과 동일하게 가정비극적 성격을 지녔다면 후기로 갈수록 공포영화적 기법이 확대되 어 괴기스런 원귀의 모습을 보인다. 바로 그것이 현재 우리가 익숙하게 알고 있는 그로테스크한 여귀의 형상이다. 현재 우리에게 친숙한 여귀의 모습은 근대 시각 문화가 발달한 1960년대 이후의 산물이다.
6,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