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자어의 의미 분석을 통한 어휘 지도 방안 -고등학교 한문과 교육과정 개정안과 관련하여- KCI 등재

Vocabulary Teaching Methods throughout the Analysis of Meaning of a word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On the revision of curriculum on Chinese education at high schoo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556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900원
漢字漢文敎育 (한자한문교육)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초록

제7차 교육과정 개정안의 큰 틀은 한자어와 한문의 학습 위계가 결여되어 있다 는 판단 아래 짜여 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판단은 한자어의 개념, 유형, 성격 그리고 한자어 지도 방법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에 근거하여 이루어진 것이라고 보기 어렵다. 한자어 학습이 한문 학습과 연관이 없다는 입장은 언어생활의 한자 어와 한문의 한자어가 조어 원리도 다르고 쓰임새도 다르기 때문에 학습 영역이 분리되어야 한다는 사실에 기초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한 자어의 상당부분은 한문고전에서 사용된 말이며, 그렇지 않은 말이라고 할지라도 그것을 어떻게 지도하는가에 따라 한자어 학습이 곧 한문 학습과 직결될 여지는 충분하다. 사실 한자어 학습이 한문과 상관없는 것으로 치부된 데에는 현행 교과서의 한 자어 내용 구성에도 책임이 있다. 현행 교과서는 한자의 자의와 한자어의 어의가 심각할 정도로 불일치하는 모습을 보인다. 한자의 뜻을 안다고 해도 한자어의 의 미는 알 수 없도록 되어있는 것이다. 한자어의 의미도 국어사전의 풀이방식을 그 대로 따르고 있어 한문 고전에서의 의미와 현대적 의미 간에 상호 연관성이 결여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내용 구성으로는 한자․한자어․한문이 유기적인 체계로 교육될 수 없다. 이런 점에서 한자어에 대한 새로운 교육 내용과 지도 방법이 요구된다. 즉 한자 어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한자의 자의와 한자어의 어의가 서로 일치하게 하고, 한자어의 현대적 의미와 한문 고전에서의 의미가 서로 연계되도록 내용을 구성하는 의미 분석의 지도 방법이 필요한 것이다. 한자어를 구성하는 자의에 대 한 철저한 분석을 통해 자의의 변화 발전 과정을 살피고, 또한 한자어의 어의에 대한 철저한 분석을 통해 어의의 고금의 변화 발전 과정을 익히면, 한자나 한자어 에 대한 이해가 심화되어 언어생활과 한문독해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선인들의 정신문화와 삶의 자세, 시대의 추이에 따른 제도의 변화와 생활상을 익 힐 수 있고, 자의와 어의의 의미 발전 경로를 추론함으로 유추하는 능력도 기를 수 있다. 이러한 지도 방법을 잘 활용한다면, 한자어 교육을 통해서도 한문 중심 수업에 서 기대하는 여러 학습 목표를 성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한자어의 효과적인 수업 지도에 대하여 체계적인 이론을 연구 개발하기 위해서라도 대학의 한문학과나 한 문교육과 교육 과정에 文字學과는 별도로 漢字語彙學이 개설되어야 할 것이다.

A word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we usually use is Chinese written language which has Chinese classical books and examples in written documentary records, and new Chinese characters which come in all directions from modern times and are made in new way. Even though a word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came from Chinese documents and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it is the mirror to reflect our phases of the times, social life, and living conditions. In addition, it shows spiritual and material civilization from the age we did not have our own language to this time, because it is important way to have a communication. It can give us to know spiritual culture and historical view of ancestors in the past. It also has a cultural value to let the future generations know our living conditions. It is important to know how to teach. A Chinese textbook focused on Chinese writing all the while, and it was negligent of teaching a word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which it was done to teach a glossary and a pronunciation of Chinese characters. It is about a disagreement of the meaning of a Chinese character and a word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in the textbook, because it was written in uncombined way between the modern and classical meaning. In the end, a word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can be neither an ideograph nor Chinese writing. From now on, we need to find new teaching methods have and enjoy our ancestor’s spiritual heredity completely throughout developing capability of a word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That is the way to analysis of meaning. Throughout the complete analysis to the etymology and the meaning of a word which is composed of a word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we need to understand of development throughout history. According to this way, when we teach Chinese character, it is not only helpful to read and understand it and language life, but also possible to learn spiritual culture, attitude of life, change of system throughout to age, and living conditions. It is also good for improving ability to analogize by reasoning the way of developing of etymology and the meaning of a word. When we use this method well, it can be possible to achieve the goals which we can expect in Chinese classes. We need to make a new study in the curriculum of classical literature and education of Chinese at university to study systematically of teaching approach.

목차
Ⅰ. 서론
Ⅱ. 한자어의 유형과 그 성격
Ⅲ. 현행 교과서의 한자어 학습내용 검토
Ⅳ. 한자어의 의미 분석을 통한 지도 방안
  1. 字義분석을 통한 지도 방안 : 한자와의 연계
  2. 語義분석을 통한 지도 방안 : 한문과의 연계
Ⅴ. 결론
저자
  • 조영호(정신여자고등학교 교사) | Cho Young-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