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漢文科 읽기敎育에 대한 小考 KCI 등재

A Study on Sino-Korea curriculum in Association with Reading Education

한문과 읽기교육에 대한 소고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372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漢字漢文敎育 (한자한문교육)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초록

漢文科敎育은 이제 새 漢文科敎育課程의 ‘읽기’領域의 새로운 設定으로 하여, 우리 先人들이 보여 주었던 ‘聲讀’의 방법을 再現하여 익힐 수 있게 되었다. 또는 성독의 방법을 變容하여 더 나은 발전적인 모델의 ‘읽기’模型을 제시할 수도 있게 되었다. 위의 논문은 이러한 시기에 한문과 새 교육과정 중 ‘읽기’요소의 變遷過程을 알아보고, 傳統的인 한문교육에서의 읽기 교육을 살펴 본 논문이다. 또한 현대 한문교육에서의 읽기교육의 방법을 알아본 논문이며, 앞으로의 읽기교육을 통하여, 한문교육 본연의 敎授⋅學習방법을 改善시켜 他敎科를 가르치는 선생님들이 한문과 교육을 하는 교사들의 수가 減少하는 效果를 期待하여 보는 논문이다.

Current Chinese writing and literature education in Korea adopts a new category entitled 'Reading' in the framework of new Chinese writing and literature curriculum and helps students to face and learn a revived version of straight reading (聲讀) which our ancestors practiced. Or it adopts applied version of straight reading and thereby can suggest more advanced 'reading' model for students. In the above context, this study deals with discussion about historical changes of ‘reading' category contained in new Chinese writing and literature curriculum and also examines reading education in traditional instruction of Chinese writing and literature. In addition, this study addresses practices of reading education in our contemporary Chinese writing and literature curriculum, and intends to improve way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Chinese writing and literature through reading education, so that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decreasing number of non-major teachers who instruct students in Chinese writing and literature in the future.

목차
Ⅰ. 序言
Ⅱ. 漢文科敎育課程中‘읽기’要素의 變遷
Ⅲ. 傳統的인 漢文敎育에서의 ‘읽기’ 敎育
Ⅳ. 現代漢文敎育에서의 ‘읽기’ 敎育
Ⅴ. 結語
저자
  • 安載澈(단국대학교 교수) | Ahn, Jae-ch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