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Lyeohangin(閭巷人)'s Educational Activity and Achievement in The Later Joseon -with Wanam Jeong Laekyo as The Central Figure-
조선후기여항인의 교육활동과 그 성과 -완암정래교를 중심으로-
본고는 조선후기 여항인의 교육양상과 그것이 지니는 의의에 대해 고찰하는 것 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선후기 여항인들은 사대부가의 자제들을 비롯하여 여항인 과 하층민 등 광범위한 계층을 대상으로 교육활동을 전개하였다. 그 형태는 여항 인에게는 書堂방식의 강학이, 사대부를 대상으로 행해진 강학은 塾師의 형태를 띠고 있다. 또한, 조선후기 여항인들은 규모의 차이는 있었지만, 한문학 전반에 관한 지식 과 유교적 교양뿐만 아니라 학문, 처세 등 삶의 자세에 관한 全人敎育차원의 교 육을 실시했는데, 이러한 조선후기 여항인의 교육은 여항인 내부에 문식층을 증가 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그리고 이는 점차 동류의식으로 발전하며 높은 수준의 ‘여 항문학’을 산생하는 데 일조하는 한편, 여항인에 대한 기존의 시각을 일부 교정하 는 역할을 하기도 했다.
The purport of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both the educational aspects of the Lyeohangin(閭巷人) in the latter period of J oseon Dynasty and that significance. They developed the educational activity for the diverse levels from the sons of the gentry to Lyeohangin and the people of the lower classes. For the Lyeohangin, the way of teaching is a private school for the study of Chinese classics. The method of give the sons of the gentry lessons is tutoring with each teacher living in their houses. Also, the Lyeohangin(閭巷人) in the latter period of J oseon Dynasty, still on the gap of a scope, carried the education for the whole man about the attitude of life ; not only learning and the conduct of life but the knowledge of the all Chinese literature and Confucian culture. Hence, the education for them caused the inside learned men of them to increase. That grew the sense of the same stratum gradually, helped to bear their high level of literature, so as to Lyeohangmunhak(閭巷文學), and did a role in partly changing the established viewpoint of Lyeohangin(閭巷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