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토양수분 확률밀도함수로 살펴본 가뭄발생에 대한 기후변화의 영향 KCI 등재

Estimating Climate Change Impact on Drought Occurrence Based on the Soil Moisture PDF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47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한국수자원학회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개념적인 토양수분 모형을 이용하여 가뭄에 대한 기후변화의 영향을 모형화하고, 모형으로부터의 결과를 분석하고 있다. 미래 기후자료로서 A2 온실가스 배출 시나리오에 따라 CCCma CGCM3-T63에 의해 도출된 자료가 이용되며, 일별 강수분포 및 월별 강수량 및 잠재증발산량의 변화를 고려하기 위하여 일별 스케일링 기법이 적용된다. 모형으로부터 도출된 주요결과로부터 미래에는 우리나라에 보다 잦은 가뭄이 있을 수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

This paper describes the modeling of climate change impact on drought using a conceptual soil moisture model and presents the results of the modeling approach. The future climate series is obtained by scaling the historical series, informed by CCCma CGCM3

저자
  • 최대규(Dept., of, Envr., Engr. Pukyong, National, Univ.) | Choi Dae-Gyu
  • 안재현(Dept., of, Civil, Engr. Seokyeong, Univ.) | Ahn Jae-Hyun
  • 조덕준(Division, of, Architecture, &, Civil, Engineering Dongseo, Univ.) | Jo Deok-Jun
  • 김상단(Dept., of, Envr., Engr. Pukyong, Na) | Kim Sang-D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