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면진장치를 사용한 주거용 무량판구조의 내진성능 향상 KCI 등재

Seismic Performance Enhancement of Residential Flat Plate Structure by Using Base Isolation Devic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490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초록

본 연구에서는 주거용 무량판구조의 내진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면진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으며, 시간이력 해석을 위한 지진기록 사용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면진층 강성 및 주기 평가 및 포락해석법을 적용하여 면진전 비틀림 모드가 강한 구조물을 면진시스템 적용으로 내진성능을 개선하였다. 지진기록 사용 및 크기 조절효과의 적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DBE, MCE, ASCE 7-05의 1.4DBE 의해 크기를 조정한 시간이력 해석결과를 비교한 결과, 구조물의 지반조건과 유사한 조건에서 관측된 지진기록 및 지진기록의 응답이 설계규준 응답스펙트럼의 평균±표준편차 범위 안에 있는 기록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For the seismic performance enhancement of residential flat plate structure and for the selection of earthquake records, the possibility of base isolation is evaluated and the time history results are reviewed. By evaluating a base isolated stiffness, a target period, and an envelope curve analysis, seismic performance of structure, which has strong rotational mode, is evaluated. For the propriety evaluation of earthquake records usage and scaling method, time history analysis is done with variables such as DBE(design base earthquake) level, MCE(maximum considerable earthquake) level, and 1.4DBE level. From the analysis results,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made; the earthquake records, which are used in base isolation analysis, should be selected by similar soil type which the structure is considered, and should be intensity scaled in a range of mean ± standard deviation of code based design response spectrum.

저자
  • 이현호(동양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공학박사) | Lee, Hyun-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