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漢語800字』教學探討 KCI 등재

A study of

  • 언어CHI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545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100원
漢字漢文敎育 (한자한문교육)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초록

中國國家漢語國際推廣領導小組辦公室은 『國際漢語教學通用課程大綱』(2008) 에 부록 형식으로 常用漢字800字表를 덧붙였는데, 이는 중국어를 제2언어로 교육하 는데 중요한 참고 자료로 사용된다. 중국어 교사는 당연히 “한자의 조자원리에 근거하 여, 형, 음, 의를 결합하는데 중점을 두어야 함”으로 교육의 원칙을 삼고 있으며, 이 표는 상용한자의 개관에 대해 총체적 파악을 제시하고 있다. “800字”중 160여자는 자형을 통해 자의를 밝히는 방법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형-의의 관계가 다른 유형에 있어서도 여전히 직관적인 자의 해석, 일부의 자형을 이용한 자의 해석법, 읽기 능력을 향상 시키는 방법 등 각기 다른 관점에서의 교 수 학습 방법을 시행하고 있으며, 이외에는 대부분의 상용한자에서 표의와 표음 부건을 귀납시키어 학습하는 방법을 택하고 있다. 본문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표의 구건 18개와 그와 관련된 비교적 표의적 특성 이 잘 드러나는 346자(여기서는 제한된 편폭으로 인해 3조, 106자)를 수집하고, 90개의 형성자와 그 표음 부건이 현대 중국어 보통화 속의 성운과 일정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음을 통계적으로 증명하여 한자의 多音과 多義의 형성 원인에 대해 분석해 보았다. 이상의 여러 분석의 기초 위에 본문에서는 또한 이를 이용한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해 제시해 보았다

中國國家漢語國際推廣領導小組辦公室在國際漢語教學通用課程大綱(2008)後以附錄形式登載的常用漢字800字表是漢語作為第二語言教學中漢字教學的參考依據. 漢語教師應以“根據漢字造字原理,注重形、音、義相結合”為教學原則,對常用漢字的概況有總體的把握. “800字”中有160餘字仍可借助溯形辨義的方法講解,針對形義聯繫的不同類型,可使用直觀釋義、局部溯形、拓展助讀等不同角度實施教學,其餘大部分常用漢字也可通過表意、表音部件的歸納尋找利於教學的途徑. 本文類聚了最常見的表意部件18 個及其歸屬字346字(限於篇幅列出3組,106字),這些字有較強的表義程度;統計了 90個形聲字與其表音部件在現代漢語普通話中的聲韻關係,並簡要分析了漢字多音多義的形成原因. 在以上幾方面分析的基礎上,本文也提出了一些相應的教學建議.

, as an appendix of by the Office of Chinese Language Council International (2008) , has offered a basis for teaching characters in teaching Chinese as the second language. Chinese language teachers should follow the principle of “According to conventions of Chinese characters construction, and combine the forms, sounds and meanings of characters”, and have comprehensive observation for the 800 Chinese characters. There are more than 160 characters among the 800s can be explained by tracing back to ancient forms. Teachers have some options of teaching methods according to the different types of characters. For other characters which can not be explained by forms directly, we should look for effective teaching methods by analysis of the ideographic components and phonetic components. We had collected about 350 characters with 18 common ideographic components, and had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phonetic components and sounds of 90 characters in Modern Chinese. In addition, we have briefly analyzed the causes of characters which have varied pronunciations. Meanwhile we have provided some suggestions of teaching.

목차
Ⅰ. 引言
Ⅱ.溯形辨義
Ⅲ. 關於表意部件
Ⅳ. 關於字音
Ⅴ. 結論
저자
  • 易敏(北京師範大學民俗典籍文字硏究中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