齐 is a simplified form of 齊. This thesis examines the evolutionary process and usage patterns of the character 齐, concluding that it exhibits both orthographic and popular forms. These two variants coexisted in ancient documents, though their frequency of use varied significantly. Moreover, the dominant glyph of 齐 differed across dynasties. From the Qing Dynasty through the Republic of China era to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he official standardisation of 齐 underwent a developmental trajectory from 齊 to 齐, which can be categorised into three distinct phases: the incipient period, the exploratory period, and the finalisation period.
The monographic study is a targeted and in-depth study of a specific theme. It is an important supplement to the macroscopic description of general history and the microscopic analysis of individual cases, and it serves as an entry point to push the research on the history of learning deeper and more comprehensive. The theory of Chinese character studies is of utmost importance in monographic research. It plays a role in laying the theoretical foundation and defining the disciplinary connotation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history of Chinese Grammatology. When researching the theory of Chinese Grammatology, one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e overall situation and the system, and at the same time, pay attention to the connections and communication with linguistics, as well as archaeology, history, philology, cultural studies, etc., further expand the breadth and depth of the research on character studies, and establish theoretical systems of Chinese character studies with different styles, so that Chinese character studies can have its own discourse system on a world-class platform.” Western research on the theory of Chinese Grammatology involves multiple topics such as “the nature of Chinese characters” “the origin of Chinese characters” “the evolution of Chinese characters” “the ‘liushu’ Chinese Characters” “the structure of Chinese characters” “the pronunciation of Chinese characters” “the classification of Chinese characters” “the dissemination of Chinese characters”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s and word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characters and the Chinese language.” Conducting re-research on the relevant studies of Western scholars from the perspective of academic history helps to provide an “other” perspective and a global vision for the research on the theory of Chinese Grammatology in China. This article takes the materials related to the theme of “the dissemina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Western Chinese Grammatology as the research object. Through the combination of research overviews and case analyses, it aims to gain a more in-depth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of the focuses, research spots, and research trends that Western scholars pay attention to when studying the dissemination of Chinese characters.
The circulation of modern Chinese-character neologisms in East Asia has attracted considerable scholarly attention, yet research on the Vietnamese context remains insufficient. This article reviews existing academic work on the topic and examines both the sources of Sino-Vietnamese neologisms and the routes through which they were transmitted. Primary source materials include Sino-Nôm “new books,” textbooks, dictionaries, newspapers, writings by Vietnamese students returning from Japan, and texts authored by communist revolutionaries. There are two main transmission routes for these neologisms into Vietnam: one from China, primarily through publications from Shanghai and revolutionary circles in Guangzhou; the other from Japan, via Vietnamese students involved in the Đông Du (Go East) movement. The study argues that Vietnam’s reception of these Chinese-character neologisms reflects its efforts toward linguistic modernization and highlights the complex network of cultural interactions within East Asia.
중국어 학습에서 한자는 단순한 문자 학습을 넘어 어휘 확장, 문해력 향상, 문화적 이해를 연결하는 핵심 요소이다. 그러나 현재의 한자 교육은 주로 단순 암기에 의존 하며 학습자 개개인의 수준과 학습 성향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고 는 대학 중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자 학습의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단계별 교육 모델을 제안한다. 초급 단계에서는 학습자들이 기초 한자의 형태, 발음, 의미를 연결하여 이해할 수 있도록 시각적 자료와 반복 학습을 활용한다. 기본 부수 학습과 병음을 연계한 발음 연습이 포함되며 실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기초 어휘를 중심으로 학습을 진행한다. 중급 단계에서는 한자의 조합 원리를 활용한 어휘 확장 과 문맥 내 한자 사용법 학습을 통해 실질적인 독해 및 표현 능력을 강화한다. 부수 기반의 한자 조합 이해와 다양한 텍스트 자료를 통한 문맥 속 학습이 강조된다. 고 급 단계에서는 전문 용어 및 고급 어휘를 포함한 복합적인 한자 학습을 중심으로 하 며 전문 자료를 활용하여 심화된 문해력과 응용 능력을 배양한다. 본고는 초급, 중 급, 고급 단계로 나누어 학습자의 수준에 맞춘 체계적인 한자 교육 방안을 설계하고, 이를 통해 한자 학습의 효과를 극대화하여 학습자들의 중국어 문해력과 어휘력을 체 계적으로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한국에서 이체자 유형화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 것은 2006년 한국고전번역원에서 <이체자정 보>시스템을 구축하면서부터이며, 이후 2012년부터 <유니코드한자 검색시스템>에 수록된 新 出漢字의 자형을 IRG에 제출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이체자 定型化 문제가 논의되었다. 그 배경에는 한국이 제출한 폰트와 원문 이미지가 다양한 이유로 IRG에 제출하는데 어려움을 겪었기 때문이다. 그 중 가장 큰 이유는 한국이 EXT_F 영역에 수록하기 위해 제출한 원시자료 가 바로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을 구축하면서 새로 발견된 한자를 正字 형태의 폰트로 만들 어 검색할 수 있게 만든 <유니코드한자 검색시스템>에 수록된 자형이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 때문에 submission과 전거이미지가 서로 다른 자형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 국내 검토단계에서부 터 제출을 보류한 자형도 상당수 있었다. 이후 IRG에 제출하여 각국의 검토를 거치면 submission에 있는 자형과 전거이미지 간에 차이가 인해 상당수가 철회 또는 보류되는 문제가 발생 하였고, 그 때마다 해명해야 했다. 기존에도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형의 통합과 분리에 관련된 한자통합규칙과 실제 사례를 정리한 UCV가 이미 존재하였다. 하지만 이 자료 역시 동일한 자형이지만 시기와 국가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한국이 제출하는 신출한자의 정규화에 100% 적용하기에는 적합 하지 않았다. 만약 기존의 룰을 적용하면 한국에서 원하는 자형을 제출하기가 매우 어려운 상황 이 지속되었다. 이런 와중에 2016년 <Normalization rule>의 초안을 작성하여 한국의 경우 특수 하게 여기에 작성된 룰에 따라 자형을 인정해주겠다고 제안하였다. 이후 몇 번의 국내 회의를 통해 작성원칙을 정한 후 사례를 정리하여 異體字가 아닌 정자 형태로 자형을 유형화해서 제출 할 수 있게 되었다. 유형화는 자형을 정리하여 신출자를 제출하는 과정에서는 나름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궁극적으로는 자형을 정리하여 폰트를 제작하는 데 있어서 최선의 방법이라고 생각하 지는 않는다. 그럼에도 이 연구가 한국문헌에 나타난 자형의 역사를 부분적으로 확인하는 계기가 됨과 동시에 차후 한국의 한자자형의 표준화를 진행할 때 우리나라에서 사용한 자형을 代表字의 기준을 삼는 하나의 근거로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Research on teaching of Chinese characters has seen a relatively late start in international Chinese language education. Since there is little experience in teaching handwritten characters in previous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 instruction, the theory and practice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 for non-native speakers have developed gradually. The latest Chinese Proficiency Grading Standards for International Chinese Language Education list the Handwritten Chinese Character List as a separate item, strengthening the guiding position of the separation of character recognition and writing principle in teaching Chinese characters. It also allows us to re-examine the issue of handwritten instruction in teaching Chinese characters to those learning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 This paper examines issues in Chinese character teaching based on the theory of Chinese character formation, focusing on three levels of mastery: whole character, component, and stroke. The component teaching method has gained a high level of attention in recent pedagogical circles, and this method offers both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Stroke instruction, often overlooked, is also essential for mastering handwritten Chinese characters. Stroke instruction goes beyond merely practicing basic strokes and their order and emphasizes understanding of the logic behind stroke writing.
홍콩 국제학교의 중국어 제2언어 교육은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분야로, 여러 국제학교가 외국 학생들이 다양한 문화를 접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을 제공하는 데 힘쓰고 있습니다. 중국어 제2언어 과정의 개설은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는 중요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상당수의 학자들은 한자의 교수 방법을 거시적인 차원에서만 설명하고, 초등학교 2학년 외국 학생의 특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심층 연구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해 국제학교 2학년 외국 학생의 한자 인식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효과적인 방법을 탐구하여, 현재 국제학교 한자 교육 분야의 연구 공백을 메우고자 합니다. 본 논문은 질적 사례 연구로, 주로 수업 관찰, 교사와 학생의 인터뷰, 사전 및 사후 측정 텍스트 분석 등의 연구 도구를 활용하여 전선 중국어 교사의 수업 자료와 교사 및 학생의 인터뷰 의견 및 피드백을 수집하고 분석합니다. 연구 결과에 따라 한자 제2언어 교육에 대한 실행 가능한 제안을 제시합니다. 연구 자는 교사가 수업에서 연상 교수법을 사용하여 한자를 가르치고, 외국 학생이 자신의 흥미에 따라 과제를 선택해 수행함으로써 한자를 연장 학습하고, 수업 학습과 과제 강화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학생의 인식 및 식자 능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For a long time, the teaching concept of “monism” has made the field of international Chinese teaching focus on “words”, not “Chinese characters”. Chinese characters that are difficult to teach and learn have not been effectively improved. In 2021, the introduction of the “Chinese Proficiency Grading Standards for International Chinese Language Education” set a new direction for international Chinese education, and the practice of listing a handwritten Chinese character list separately for the first time also reflects the importance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 Long before the introduction of the “Grading Standards”, a small number of international comprehensive Chinese textbooks had compiled handwritten Chinese character lists, but there were many handwritten Chinese characters that were not included in the “Grading Standards”. This kind of Chinese characters or have a large number of strokes, or the shapes of the strokes are more difficult, or the structures are more complex, or the ability to form words is weak, etc., which is exactly the opposit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ading Standard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levant analysis, it can provide practical reference for the compila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textbooks in the future.
There has been a long history of concern and research on Chinese characters by Western scholars and have achieved fruitful results. According to the current construction of Western Sinology history and the development of Western Chinese Grammatology itself, the history of Western Chinese Grammatology could be divided into five periods: the germination state, the missionary period, the initial stage of specialized Chinese Grammatology in the west, the expansion period of specialized Chinese Grammatology in the west, and the peak period of specialized Chinese Grammatology in the west. The initial stage showed the tendency of specialization, disciplinarity and rationalization. The research subjects included Protestant missionaries, philosophers, politicians and linguists, etc. Systematic research results were obtained in the aspects of characters’ nature, characters’ characteristics, characters’ etymologies, characters’ analysis and characters’ phonology. Under the guidance of comparative linguistics theory, American scholar Peter S. Du Ponceau’s work A Dissertation on the Nature and Character of the Chinese System of Writing has conducted in-depth research and elaboration on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s, which is representative. This paper attempts to take this work as a representative monograph to describe and analyze from the aspects of research content, thoughts of Chinese characters studies, research methods, academic influence and value, deficiencies and limitations, etc., giving an objective evaluation of its value in the evolution of western Chinese Grammatology in the west.
본 연구는 한국 근대 시기 한자자전에 [華]로 표기된 한자의 유형과 특징을 분석 하여 [華]로 표기된 한자가 무엇을 의미하고 그 속에 포함된 한자의 원류를 찾아 [華]로 표기된 한자의 속성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 근대 시기에 출판된 자전석요(字典釋要)(1909), 한선문신옥편(漢鮮文新玉篇)(1913), 자 전대해(字典大海)(1913), 자림보주(字林補註)(1924) 등의 한자자전을 중심으로 [華] 로 표기된 한자의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한자의 유형과 특징을 살피면서 [華]로 표기된 한자의 전거(典據)를 확보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華]로 표기된 한자의 원류를 파악하고 이 한자들이 한국에서 어떻게 변용되어 사용되는지를 살펴서 한국 근대 시기 한자자전에 [華]로 표기된 한자의 속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당시 사용된 한자의 실태와 역사적 변천사의 재구를 실현함으로써 언어 문자학사와 지성사의 연구는 물론 한국 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토대 연구가 가능하도록 할 것이다. 아울러 한자문화권의 주요 국가인 중국과 일본 등 같은 성격의 자료 비교를 통해서 당시 사용된 한자의 정체성과 역사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This article focuses on the kanji learning textbook “小野篁歌字盡”, which was published in the Edo period. This textbook was used by the learning and education institution Terakoya. However, the kanji it contains are complicated for beginners. In addition, the book has a training pronunciation, so it is clear how the words were pronounced at that time. Although “小野篁歌字盡” was complex, it was revised repeatedly and used until the end of Edo period. These revisions were made in accordance with the educational requirements of the time. In other words, the revisions of “小野篁歌字盡” and its contents reflect the educational and living conditions of Japan at that time. The kanji learning materials of Terakoya include “名盡” (a kanji learning material for names), “千字文”, and “国盡” (a kanji learning material for regional names). In addition, moral education is conducted using “the Analects of Confucius” and “Daxue”. So, what role did the “小野篁歌字盡” play in education? In this article, we will also introduce “小野篁歌字盡”, which was collected by Shiga’s Jishusai and Sakai City’s Seigakuin. The Edo period in Japan was the period when the Tokugawa Shogunate ruled the country after a long period of war and lasted for about 260 years. In particular, after the Shimabara Rebellion (1637), the samurai lost their role as warriors and the structure of rule changed. Ruling required political power rather than force. This created a particular need for education. Against this backdrop of the times, “小野篁歌字盡” was published.
漢字構形學은 한자를 구성하는 단위의 개념을 규정하고 각 단위가 맺는 공시 적, 통시적 관계를 밝혀내어 관계를 지배하는 원리를 기술하는 학문이다. 1980년대 말에 한자구형학 이론이 정립된 후 2002년에 처음 출판된 漢字構形學講座부터 10여 년이 지난 후 2015년에 출판된 漢字構形學導論까지 내용이 보완되면서 점차 늘어난 편폭 만큼 한자구형학에 대한 저자의 깊은 통찰력도 더욱 분명하게 드러난다. 이 책 서문에서 저자는 한자를 인식하는 데 필요한 두 가지 열쇠가 표의성(表意性)과 형태 구성(構形)의 체계성이라고 강조하고 있으며, 이것은 漢字構形學을 지배하는 기본 원리라고 할 수 있 다. 漢字構形學은 한자의 본체인 ‘형태(形)’에 초점을 맞추어 한자의 형태가 구성되고 변화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연구하며, 그 이론을 관통하고 있는 핵심 주제는 한자의 ‘체계성’이다. 체계성의 핵심 의미는 그 체계를 구성하는 요소 간의 유기적 관계 에 있다. 이 책은 한자의 본체인 자형(字形)을 중심으로 한자 체계의 내부적, 외부적 요 소 간의 ‘관계’를 폭넓게 다루고 있다. 그리고 한자 체계 내부에 존재하는 각종 관계와 외 부 요소와의 관계는 통시적인 형태 변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근거로 증명한다. 이 책은 이론적인 문제의 해결에서 ‘관계’를 기술하여 설명하고 ‘근거’를 들어 ‘증명’하는 한 자학의 학술적 의미를 되새기게 한다.
이 글은 한국어 학습을 위한 웹 기반 한자 사전 모델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중국 문화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이 연구에서는 웹 기반 한자 사전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기존 사전의 한자 단어 학습의 문제점 을 분석하였다. 한자 단어 학습 시 한자 원어 형태소 인식이 중요하다고 보고 이를 반영한 별도의 팝오버 (popover) 창을 개발하였다. 한자 사전의 미시구조에는 항목, 단어 유형, 발음, 한-베트남어 단어(있는 경우), 한자의 어원, 한-베 소리(voice)가 포함되며, 이밖에 베트남어 어원에 대한 설명, 한자의 원래 형태소 와 관련된 한-베 단어, 번역, 설명, 예시 등이 포함되어야 함을 밝혔다. 그런 다음, 한자어 형태소와 한자- 베트남어의 발음을 포함하는 어원 틀, 베트남어 및 한자어의 한자 형태소 의미를 포함한 웹 사전을 구성하 고 그 활용 방안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한자어 형태소와 관련된 베트남 단어에 대한 정보를 추가하고, 프로그래밍 기술,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 과정, 300개 규모의 한자 사전 모델을 제시한 기초연구로써 이후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웹 한자 사전 구축에 보탬이 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어류(魚類)의 한 종류인 장어(長魚)의 명칭에 주목하여 이에 대한 통시 적 고찰을 통해 장어(長魚)가 한자어 ‘만리(鰻鱺)’로부터 지금의 ‘장어(長魚)’에 이르 기까지의 의미 변화를 검토하고, ‘만리(鰻鱺)’가 아닌 ‘장어(長魚)’로 명명된 이유가 무엇인지, 현재 표준어에서 말하는 ‘장어(長魚)’가 무엇이고 어떻게 장어(長魚)의 종 류를 통칭하는 이름으로 사용되었는지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장어(長魚)의 다양한 이름을 통해 한·중·일 언어문화교류 현상과 그 이름에 담긴 문화적 함의를 추정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장어의 한자어 ‘長魚’는 글자 그대로 ‘몸이 긴 물고 기’를 통칭하는 것으로 처음에는 장어류의 통칭이 아니라 오직 장어(長魚)의 하위 범 주에 속하는 ‘해만리(海鰻鱺)’의 속명(俗名)이었다. 15~19세기 장어(長魚) 이름과 관련 된 문헌의 내용을 종합해보니 이 단어는 조선 후기까지 ‘만리어(鰻鱺魚)’로 불렀고, 이후 뱀장어목에 속하는 모든 종(種) 또는 그 형상이 긴 물고기를 통틀어 ‘장어(長魚)’라고 지칭하게 되었다. 그리고 표준어에서 장어(長魚)가 상위어로 된 계기는 물고 기 형상의 유사성, 장어(長魚)의 다양한 이명(異名), 장어(長魚) 이름에 사용된 한자 의 ‘다의어, 동음어, 이체자’ 현상 등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장어(長 魚)의 다양한 이명(異名)과 한자어로 이루어진 장어(長魚)의 이름을 통해 장어(長魚) 의 생태적 습성과 특징은 물론 장어(長魚) 이름에 담긴 한·중·일 언어적 해석 방식과 문자 표기상의 차이, 장어가 지닌 상징성과 문화적 함의 등도 함께 살펴볼 수 있었 다.
본고에서는 한자라는 계열에서 서체라는 개념을 어떻게 분석에 이용하면 좋을지를 이시즈카 하루미치(石塚晴通)의 한자자체론(漢字字體論)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이시즈카의 한자자체 론은 서체를 글자를 아우르는 표준으로서 상위에 둔다. 이것은 자료 연구의 장에서 탄생한 실지 적인 것임을 학설의 발전 과정을 통해 알 수 있다. 또한 이시즈카가 일컫는 서체는 실질적으로는 문자 체계로서의 차이에 가까운 측면이 있으며, 오늘날 동일한 글자에 대한 서기 방식의 차이로 인식하는 것과는 이질적이라는 점을 지적하고, 그러한 현대적인 감각에 기인하는 오독 사례를 지적하였다. 그런 다음 역사적인 서체와 인쇄 서체를 구별하여 논의할 필요가 있다는 점, 이시즈 카 한자자체론을 화용론적 문헌학 pragmaphilology (Smith, 2020)의 방법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음을 논하였다.
The two most well-known Chinese characters dictionaries are Songben Yupian from China and Quanyun Yupian from Korea. These dictionaries contain a wealth of information on Chinese characters at the diachronic and synchronic level, while also retaining much information on Chinese characters during the period of its movement overseas. This paper is a corpus-based study which analyzes the differences in the style of arrangement, phonetic notation mode, interpretation, form interpretation, and other aspects of the two dictionaries, and further summarizes the laws of the development of Chinese characters in overseas dissemin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function of the two dictionaries is different, that the Chinese characters remained stable during their transmission to other countries, and that the overall trend in the evolution of the characters is toward simplification, and that the main way that Chinese characters morph extraterritorially is via phonetic and semantic replacement.
고문읽기와 쓰기는 우수한 중국 전통 문화의 계승과 발전을 위한 기초 능력이다. 현재 고문 교육은 학습 효율이 낮고, 문턱이 높으며, 목적성이 부족하다는 세 가지 문제점이 존재한다. 고문읽기와 고문자에 대한 두려움은 많은 청소년들이 맞닥뜨리고 있는 실제 문제이다. 본 연구는 고대 중국어 교육의 특징과 실제에 근거하여 대규모 고적 코퍼스의 통계 작업을 통해 1,000개의 한자를 선정하였다. 한자의 자형, 자음, 자의, 용자 네 가지 측면에서 각 등급별 기준을 설정하고, 한자 학습의 우선순위를 반영하여 「고적한자등급자표古籍汉字分级字表」를 개발하였다. 이 표 에는 1급 105자, 2급 340자, 3급 555자를 수록되어 있다. 청소년에게 고문 학습을 위해 한자학습 자료를 제공하는 것은 고적 한자의 점진적 학습을 도울 뿐 아니라 청소년이 가지고 있는 고문 학습에 대한 부담감을 줄여주고 고문 읽기 능력을 향상시켜 줄 것이다. 더 나아가 중국의 우수한 전통 문화를 계승하고 발전시키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현대국어 한자어 연구』(노명희 2005)는 한국어의 한자어 파생형태론을 체계 적으로 정리한 책이다. 이 책에서는 한자어 기능단위를 중심으로 관형사와 접두사, 의존 명사와 접미사 사이에 놓인 접두한자어와 접미한자어 등 한국어 한자어들이 어떠한 양 상으로 실현되고 있는지를 보이고 있다. 이 과정에서 단어와 접사 사이의 범주로 ‘어근’ 이라는 개념을 강조하였는데 이 책에서의 어근을 크게 한국어 단어 형성에서 적극적 역 할을 하는 활성어근과 한국어 단어 형성에서 공시적 역할을 하지 못하는 비활성어근으 로 나누고 활성어근은 다시 2음절의 강활성어근과 1음절의 약활성어근으로 구별하여 그 기능을 중심으로 접사성의 정도를 꼼꼼하게 살펴보고 있다. 이 책의 근본적인 목적은 한 자어 파생 형태론의 체계를 세워 보자는 것이었으나 한자어가 지닌 복합적인 성격과 용 법상의 유동성 때문인지 생각처럼 뚜렷한 경계를 짓지 못한 측면이 있다. 하지만 이 책을 통해 한국어 한자어의 연구를 위한 많은 주제들이 확장되어 갈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놓 았다는 점은 이 책의 분명한 장점이다.
이 글은 고대 동아시아 한자의 위상과 역할, 현대 초등학교 한자교육과 교재의 현황, 한자교육이 뇌에 미치는 영향, 인성 정화, 외국어교육의 보조와 국민생활의 편의라는 관점을 종합 적으로 고려함으로써 한국 한자교육의 필요성을 확립함에 있 다. 본문의 제1장은 고대 동아시아 문자의 위상과 역할에 대해 논의하고, 제2장은 현재 한국의 한자 교육 문제를 요약하고, 제 3장은 현재 한국의 초등학교 한자 교재의 현황을 분석하고, 제 4장은 한국의 초등학교 한자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진술하였 다. 이 연구는 현재 한국 초등교육의 실제 상황에 기초하고 있 으며, 문헌의 정리 및 데이터 분석을 통해 한국 초등 한자 교 육 연구에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 서평의 대상은 조선시대 한국 한자음을 다룬 난정 남광우 선생의 조선(이 조) 한자음 연구이다. 이 책은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방법론을 활용하여 한국 한자음을 다루었다.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은 현재 일반화된 성운학의 분석 틀에 의 지하지 않았다는 점에 있다. 이로 인해 책의 구성이나 설명 방법 등이 다른 한자음 연구 와는 차별화된 모습을 보인다. 한국 한자음 연구의 초창기에 나온 이 책은 한자음 연구사 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