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는 특유의 고유성을 지닌 문자언어의 또 다른 형식이며, 인류 문명사의 중 요한 자산 중 하나이다. 그럼에도 표음문자 중심의 시각에서는 한자가 전근대적인 문자 로 폄훼되는 경우들이 많았다. 본서는 바로 이러한 인식의 전환의 필요성과 함께, 한자가 가진 형체-의미 간 통합성에 따른 문화적 보고로서의 가치와 의의를 인식해야 함을 강조 하고 있다. 저자는 이와 같은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다양한 한자들의 형체와 의미를 분 석하였고, 이 형체-의미 간의 연관성을 입증하기 위해 방대한 문자·문헌·문화 자료들을 활용하였다. 저자는 또한 한자의 고유성과 가치에 대한 인식이 동양의 가치와 위상을 바 로잡을 수 있는 첫걸음이며, 또한 이러한 인식의 확장은 인류 문명사를 통합적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는 중요한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음을 역설하고 있다.
이 서평의 대상은 조선시대 한국 한자음을 다룬 난정 남광우 선생의 조선(이 조) 한자음 연구이다. 이 책은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방법론을 활용하여 한국 한자음을 다루었다.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은 현재 일반화된 성운학의 분석 틀에 의 지하지 않았다는 점에 있다. 이로 인해 책의 구성이나 설명 방법 등이 다른 한자음 연구 와는 차별화된 모습을 보인다. 한국 한자음 연구의 초창기에 나온 이 책은 한자음 연구사 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현대국어 한자어 연구』(노명희 2005)는 한국어의 한자어 파생형태론을 체계 적으로 정리한 책이다. 이 책에서는 한자어 기능단위를 중심으로 관형사와 접두사, 의존 명사와 접미사 사이에 놓인 접두한자어와 접미한자어 등 한국어 한자어들이 어떠한 양 상으로 실현되고 있는지를 보이고 있다. 이 과정에서 단어와 접사 사이의 범주로 ‘어근’ 이라는 개념을 강조하였는데 이 책에서의 어근을 크게 한국어 단어 형성에서 적극적 역 할을 하는 활성어근과 한국어 단어 형성에서 공시적 역할을 하지 못하는 비활성어근으 로 나누고 활성어근은 다시 2음절의 강활성어근과 1음절의 약활성어근으로 구별하여 그 기능을 중심으로 접사성의 정도를 꼼꼼하게 살펴보고 있다. 이 책의 근본적인 목적은 한 자어 파생 형태론의 체계를 세워 보자는 것이었으나 한자어가 지닌 복합적인 성격과 용 법상의 유동성 때문인지 생각처럼 뚜렷한 경계를 짓지 못한 측면이 있다. 하지만 이 책을 통해 한국어 한자어의 연구를 위한 많은 주제들이 확장되어 갈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놓 았다는 점은 이 책의 분명한 장점이다.
This paper probes the elements of theoretical necessity, starting with the word ruo (若) in Duan Yucai’s Shuo Wen Jie Zi Zhu (段玉裁《說文解字註》). From the prospective of theoretical methods of “Ruo (若) ,” the theoretical necessity of “Ruo (若) ,” the exegesis functions of “Ruo (若) ” and different intonations with different modal particles, the author conducted multi-level and multi-dimensional analysis on “Ruo (若) ” in Duan Yucai’s Shuo Wen Jie Zi Zhu (段玉裁《說文解 字註》) so as to explore the concepts of theoretical necessity from Duan Yucai.
The words for the moon phase in the inscriptions on bronze wares in the Zhou dynasty are open to different interpretations, and the calculation of the moon phase dates clarifies the ambiguities of the bronze moon phase words. Calculation of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calendar solunar dates in two bronze ware inscriptions can be made, because the calendar solunar dates (gan-zhi 干支) were in a constant cycle of 60 days. Calculation of the date interval between the two moon phases on the same two bronze ware inscriptions also can be made , because the moon phase is also in cycles. The narrative tradition in the inscriptions of the Shang and Zhou dynasties includes a date series: the day in the solunar cycle, the month and the year of a king’s reign, and the day in the moon phase cycle. By comparing whether the two intervals meet or not, one can verify whether the bronze moon-phase idioms are meaningful, and it can also be confirmed whether the chronology of the kings of Zhou compiled by the previous scholars is resonable and create a new chronology through iterative calculation. The time intervals calculated in this paper chronicle every imperial event from the Zhou dynasty to the Shang dynasty, which rebuild a new chronology for the Xia, Shang, and Zhou dynasties. All modern attempts are hindered by a basic assumption, that the bone calendar of the Shang Dynasty is the same as the bronze calendar of the Zhou Dynasty, but it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bronze calendar of Zhou, when reading the Bronze Annals (this paper) alongside the Bone Annals (last paper) and as seen in Table 24. In addition, although the inscriptions related to the lunar phases are extremely difficult to understand, through computation, the records of three lunar eclipses on bronze vessels in the Zhou and Shang dynasties are newly recognized, which helps to reconstruct a new chronological list of the kings of Zhou.
In this paper, the basic and the extensional meaning of the Chinese word, shui (水), and the Korean word, mul (물), were compared for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ased on the different word meaning characteristics. Both words have the basic meaning of “water.” The extensional meaning and usage of these two words overlap semantically under certain conditions, but they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he two languages from the perspective of word formation, reflecting the differences in thinking and cognitive framework of the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The research also found that the words differ greatly in terms of semantic extension. Mul in particular had a far richer and more diverse extended semantic meaning than shu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