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Journal of Applied Studies on Singograph and Literary Sinitic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Vol. 2 (2023년 12월) 6

1.
202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문읽기와 쓰기는 우수한 중국 전통 문화의 계승과 발전을 위한 기초 능력이다. 현재 고문 교육은 학습 효율이 낮고, 문턱이 높으며, 목적성이 부족하다는 세 가지 문제점이 존재한다. 고문읽기와 고문자에 대한 두려움은 많은 청소년들이 맞닥뜨리고 있는 실제 문제이다. 본 연구는 고대 중국어 교육의 특징과 실제에 근거하여 대규모 고적 코퍼스의 통계 작업을 통해 1,000개의 한자를 선정하였다. 한자의 자형, 자음, 자의, 용자 네 가지 측면에서 각 등급별 기준을 설정하고, 한자 학습의 우선순위를 반영하여 「고적한자등급자표古籍汉字分级字表」를 개발하였다. 이 표 에는 1급 105자, 2급 340자, 3급 555자를 수록되어 있다. 청소년에게 고문 학습을 위해 한자학습 자료를 제공하는 것은 고적 한자의 점진적 학습을 도울 뿐 아니라 청소년이 가지고 있는 고문 학습에 대한 부담감을 줄여주고 고문 읽기 능력을 향상시켜 줄 것이다. 더 나아가 중국의 우수한 전통 문화를 계승하고 발전시키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6,100원
2.
202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사성 어소와 명사성 어소로 구성된 복합동사(Noun Incorporation, 다음은 NI 합성어로 표 시) 언어 유형학 연구에서 많은 주목을 받았는데, 그 중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Mithun (1984)이 문법 담화 기능에 따라 제안한 NI 복합어의 네 가지 유형이었다. 중국어의 NI복합어는 매우 풍부하다. 본고는 선인들의 연구를 바탕으로 이런 단어를 유형학의 틀에 포함시켰다. 그 성분 관계, 결합가 변화, 기타 성분과의 대응 등 특징을 고찰함으로써 중국어의 NI복합어는 Mithun이 제기한 Ⅰ, Ⅱ, Ⅳ류 기능을 가진다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본고는 역사적인 측면에서 NI복합어의 다른 유형 특징, 예를 들어 진화 경로, 내포 등급, 통합 정도 등을 검증했다. 중국어에 서 NI복합어의 역사적 변화는 보편적인 규칙에 부합되지만 통합 정도에서 비교적 느슨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것은 주로 중국어에서 NI복합어가 구사 구조와 문법 구조를 겸하고 있기 때문 이다.
5,200원
3.
202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자가 중국에서 한국으로 전래된 후 한자의 학습과 사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한자교육 방면의 동몽 독서물이 대량으로 정리되고 편찬되었다. 󰡔한국유학교육자료집해󰡕 제1권 󰡔동몽교 육편󰡕은 조선시대에 간행된 19종의 동몽 독본을 수록하여 조선시대 민중의 한자에 대한 인식과 문자 사용 실태를 전반적으로 이해하는 데 귀중한 자료를 제공한다. 19종의 한자 동몽 자료는 많은 이체 속자를 사용하여 중국의 한자 사용과 다른 특징을 보여준다. 총체적으로 볼 때 조선시 대 동몽 문헌에 보이는 속자는 크게 두 가지 유형이 있다. 하나는 필획의 증감, 필획의 형태 변화, 간접 부건과 기타 부건의 혼재, 부건 배치의 차이, 초서의 해서화 등의 요인으로 형성된 異寫俗字이고, 다른 하나는 조자 방법의 차이, 조자 방법은 같지만 부건이 다른 경우, 구조적 속성은 같지만 부건 수량이 다르거나 필사의 변이로 인한 구조의 차이 등의 요인으로 형성된 異構俗字이다. 조선시대 동몽 문헌의 속자 사용에서도 주목할 만한 특징이 나타난다. 예컨대 고문과 예서의 정서법을 많이 보존하고 있고, 중국 고대 속자의 변형된 정서법을 전승 및 사용하 고 있으며, 문자의 속자가 체계성을 갖추고 있는 등을 들 수 있다.
8,400원
4.
202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에서는 한자라는 계열에서 서체라는 개념을 어떻게 분석에 이용하면 좋을지를 이시즈카 하루미치(石塚晴通)의 한자자체론(漢字字體論)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이시즈카의 한자자체 론은 서체를 글자를 아우르는 표준으로서 상위에 둔다. 이것은 자료 연구의 장에서 탄생한 실지 적인 것임을 학설의 발전 과정을 통해 알 수 있다. 또한 이시즈카가 일컫는 서체는 실질적으로는 문자 체계로서의 차이에 가까운 측면이 있으며, 오늘날 동일한 글자에 대한 서기 방식의 차이로 인식하는 것과는 이질적이라는 점을 지적하고, 그러한 현대적인 감각에 기인하는 오독 사례를 지적하였다. 그런 다음 역사적인 서체와 인쇄 서체를 구별하여 논의할 필요가 있다는 점, 이시즈 카 한자자체론을 화용론적 문헌학 pragmaphilology (Smith, 2020)의 방법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음을 논하였다.
5,800원
5.
202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단국대학교 부설 한문교육연구소에서 개발 중인 특수 어휘 매칭 툴을 구동시켜 어휘 데이터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한문교육연구소 개발 어휘 매칭 툴은 최종적으로 한문 고전 텍스트를 토크나이징(Tokenizing) 하기 위한 것이며, 특수 어휘의 매칭은 전체 텍스트를 토크나이징을 하기 위한 첫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이 어휘 매칭 툴 실행 결과를 MARKUS 자동 마크업과 비교함으로써 매칭 툴과 그 데이터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이 과정에 발견된 문제점에 대해 보완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한문교육연구소 어휘 매칭 툴은 한문고전에 특화된 도구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앞으로 한문 고전의 토크나이징 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현재 상태에서는 여러 가지 보완이 필요하다. 우선, 한국 고유의 지명과 인명 데이터를 추가할 필요가 있다. 현재 데이터는 주로 중국의 어휘에 집중되어 있어 한국 고유 어휘가 부족한 상황이다. 추가 어휘데이터를 구축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인다. 또 별칭의 매칭 문제 등을 해결할 필요가 있다.
6,900원
6.
202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발표에서는 「成化犁庭」을 심층적으로 고찰해 보고자 한다. 「成化犁庭」는 중요한 역사적 사건으로 세 국가, 明, 建州女眞, 朝鮮 사이의 복잡하게 얽혀있는 관계를 다룬다. 본 발표에서는 먼저 「成化犁庭」의 역사적 배경을 설명하고, 군사 단락 분류 AI, 지명 인식, 지도 시각화, 텍스트 대조 등 기술 분야에서 본 연구팀이 가진 앞선 연구 성과를 소개할 것이다. 이러한 기술은 󰡔明實錄󰡕과 󰡔朝鮮王朝實錄󰡕 대조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작업의 정확도와 속도를 높여 해당 역사적 사건을 심도 깊게 파악할 수 있게 돕는다. 또한, 이러한 기술이 역사 연구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시각화된 지도, 표 및 도표를 사용하여 직관적으로 보여주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복잡하게 얽혀있는 역사적 사건을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고의 내용과 성과를 요약하고 이러한 기술이 앞으로의 역사 연구 영역에서 어떻게 폭넓게 활용될 수 있는지 그 전망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역사 연구 영역에서뿐만 아니라 정치학, 외교학 등 다른 영역에도 폭넓게 적용되므로 앞으로의 역사 연구에 더 넓은 시야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6,7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