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朝鮮時代童蒙文獻所見俗字研究

The Study on the Popular Form of Characters from Children's Enlightenment Education Literature in the Joseon Dynasty

조선시대 동몽 문헌에 보이는 俗字에 대한 연구

  • 언어CHI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246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400원
단국대학교 한문교육연구소 (Han-character Education Research Center)
초록

한자가 중국에서 한국으로 전래된 후 한자의 학습과 사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한자교육 방면의 동몽 독서물이 대량으로 정리되고 편찬되었다. 󰡔한국유학교육자료집해󰡕 제1권 󰡔동몽교 육편󰡕은 조선시대에 간행된 19종의 동몽 독본을 수록하여 조선시대 민중의 한자에 대한 인식과 문자 사용 실태를 전반적으로 이해하는 데 귀중한 자료를 제공한다. 19종의 한자 동몽 자료는 많은 이체 속자를 사용하여 중국의 한자 사용과 다른 특징을 보여준다. 총체적으로 볼 때 조선시 대 동몽 문헌에 보이는 속자는 크게 두 가지 유형이 있다. 하나는 필획의 증감, 필획의 형태 변화, 간접 부건과 기타 부건의 혼재, 부건 배치의 차이, 초서의 해서화 등의 요인으로 형성된 異寫俗字이고, 다른 하나는 조자 방법의 차이, 조자 방법은 같지만 부건이 다른 경우, 구조적 속성은 같지만 부건 수량이 다르거나 필사의 변이로 인한 구조의 차이 등의 요인으로 형성된 異構俗字이다. 조선시대 동몽 문헌의 속자 사용에서도 주목할 만한 특징이 나타난다. 예컨대 고문과 예서의 정서법을 많이 보존하고 있고, 중국 고대 속자의 변형된 정서법을 전승 및 사용하 고 있으며, 문자의 속자가 체계성을 갖추고 있는 등을 들 수 있다.

Since the introduction of Chinese characters from China to the Korean Peninsula, a large number of children's enlightenment literature on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were compiled to facilitate the learning and use of Chinese characters. The first volume of the Anthology of Korean Confucian Education Materials, Children's Enlightenment Education, contains 19 Chinese children's education books published in the Joseon Dynasty. A large number of variant characters are used in these 19 Chinese children's enlightenment education books, which show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e use of Chinese characters. Overall, the popular form of characters from children's enlightenment education literature in the Joseon dynasty mainly include two types: one is the different writing characters formed by the addition or reduction of strokes, morphological variation of strokes, the confusion between indirect components and other components, the different position of components, the regularization of cursive script and some other factors; the other is the different structuring characters formed by the different different ways of making words, the same way of making words but with different components, the same structural attribute but with different number of components, and the different structures caused by variations in the writing and some other factors. The use of the popular form of characters from children's enlightenment education literature in the Joseon dynasty also shows some noteworthy characteristics, such as the preservation of more writing of the Li Gu Ding words, the inheritance and the habitually use of variations of ancient Chinese colloquial characters, and the systematism of the folk writing of words.

漢字從中國傳入朝鮮半島以後,為方便學習和使用漢字,大量漢字教育方面的童蒙讀物被 整理編寫。《韓國儒學教育資料集解》第一卷《童蒙教育篇》就收錄朝鮮時代刊印的19部童 蒙讀本,為全面了解朝鮮時代民眾對於漢字的認識和文字使用狀況提供了寶貴資料。這19部 漢字童蒙資料使用了大量異體俗字,表現出與中國漢字使用不同的特點。總體來看,朝鮮時 代童蒙文獻所見俗字包括兩大類型,一是由於筆畫增減、筆畫形態變異、間接構件與其他構 件訛混、構件置向不同、草書楷化等因素形成的異寫俗字;二是由造字方法不同、造字方法 相同但選取構件不同、結構屬性相同但構件數量不同、書寫變異導致的結構不同等原因形成 的異構俗字。朝鮮時代童蒙文獻俗字的使用也呈現值得注意的特點,如保留了較多古文隸定 寫法,傳承並習用了中國古代俗字的變異寫法,文字的俗寫具有體系性等。

목차
Ⅰ. 引言
Ⅱ. 朝鮮時代蒙學文獻的異寫俗字
    1. 筆畫數量增減
    2. 筆畫形態變化
    3. 間接構件與其他構件訛混
    4. 構件置向不同
    5. 草書楷化的影響
Ⅲ. 朝鮮時代蒙學文獻的異構俗字
    1. 造字方法不同
    2. 造字方法相同, 選取構件不同
    3 .結構屬性相同, 但構件數量不同
    4. 書寫變異導致的結構不同
Ⅳ. 朝鲜時代童蒙文献俗字的使用特点
    1. 保留了較多古文隸定寫法
    2. 傳承了中國古代俗字的變異寫法
    3. 文字的俗寫具有體系性
Ⅴ. 結語
References 參考文獻
저자
  • 하여화(정주대학 문학원 한자문명전승전파교육연구센터 주임) | HE Yu-hua (Research Center for the Chinese Character Civilization of Zhengzhou University Associate Professor) Corresponding author
  • 화우(정주대학 문학원 한자문명전승전파교육연구센터 학생) | HE Yu-hua (Research Center for the Chinese Character Civilization of Zhengzhou University Associate Profess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