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2007年 改定 漢文科 敎育課程’에 따른 高等學校 『漢文Ⅱ』의 散文 敎育 方向에 관한 一考 KCI 등재

The Studying of Teaching Classical Chinese Prose on ≪HanmunⅡ≫ according to ‘The New Curriculum for Classical Chinese Class in 2007’

‘2007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한문Ⅱ』의 산문 교육 방향에 관한 일고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548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000원
漢字漢文敎育 (한자한문교육)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초록

본고는 ‘2007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보다 원활한 현장 적용을 위해서 새로 운 교육과정에서 산문 교육이 갖는 특징과 고등학교『한문Ⅱ』의 산문 교육 방향 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2007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은 ‘한자’와 ‘한자어’ 중심의 교육에서 벗어나 ‘한문’ 중심의 한문 교육이란 뚜렷한 방향성을 보이고 있다. 고등 학교『한문Ⅰ』과『한문Ⅱ』의 경우 한문을 읽고 풀이하는 단계에서 한걸음 나아 가 한문의 이해와 감상을 한문 영역의 목표로 설정하였고, 다양한 유형의 한문 자 료를 학습하도록 하였다. 특히『한문Ⅱ』는 『한문Ⅰ』보다 수준 높은 한문 작품을 대상으로 교수학습이 이루어져야 하며, 문학사의 흐름에 비추어 해당 작품을 이 해·감상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교육되어야 한다.『한문Ⅱ』는 선행학 습을 전제로 한 과목이므로 ‘읽기’ 영역보다는 ‘이해’ 영역과 ‘문화’ 영역에 무게를 두는 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따라서 교육과정의 연계성과 위계 성을 고려할 때, ‘2007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따라 새로 편찬될『한문Ⅱ』는 현재 『한문고전』이 안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들을 극복하고, ‘篇章法의 도입’ ‘文體에 대한 교육 강화’ ‘문학사적 의의 학습하기’ ‘타 교과와의 연계’ ‘문화 교육 차원으로 확대 실시’ 등의 학습 내용과 교수 학습 방법을 반영하여 새롭게 교과서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教育课程包括公共团体和各级学校为了达成国家制定的教育目的实行的所有计划和活动。因此现场的教育内容范围和水平与教育过程中设定的教育目标有关。汉语课也不例外。现在一线中学·高中的汉语课是按‘2007年改定汉语课教育课程’进行的。由于教科书按改定的教育过程次第编纂,到2010年现在为止,有些学年还不能使用按改定的教育过程编纂的教科书,所以经常造成混乱。本稿为了‘2007年改定汉语课教育课程’能顺利适应现场,试论新教育课程中散文教育的特征和高中<漢文Ⅱ>散文教育的方向。 ‘2007年改定汉语课教育课程’改变过去以‘汉字’和‘汉字语’为中心的教育,显示了以‘汉文’为中心的明显的方向性。与七次教育过程相比‘2007年改定汉语课教育课程’中的<漢文Ⅰ>和<漢文Ⅱ>的目标从解读阶段上升到了对汉文的理解与欣赏阶段,要求学习各种各样的汉文资料。并且提高对汉文学史的理解,更加强化了在'汉字文化圈'上作为文化教育的目标。‘2007年改定汉语课教育课程’旨向汉语阅读能力的提高',在这里所说的阅读能力不仅是解释作品的能力,而是对作品的高层次的理解与鉴赏。所以‘2007年改定汉语课教育课程’中的散文教育应该以学会的内容为基础,解读文章,理解并鉴赏作品的内容与主题,应该超过纯知识的层次,为了传统文化的理解与继承,为了汉字文化圈的相互理解与交流要做出贡献。<漢文Ⅰ>和<漢文Ⅱ>要采取同样的方式,但韩国汉文学作品应该考虑文学史的进程,对有关作品要达到赋予文学意义的水平。比起<漢文Ⅰ>来说,<汉文Ⅱ>应该选择更高水平的文学作品,如果是文学作品,教育时要根据文学史的进程,培养理解与鉴赏有关作品的能力。这就是 说,<漢文Ⅱ>是以先行学习为前提的课,所以定教育方向时比'阅读'领域应该更加重视'理解'领域和文化领域。为了更有效的<漢文Ⅱ>散文教育,考虑了以下几个方案。第一,解读散文时可以采用传统的散文分析法之一的篇章法。篇章法以含主题的文章为中心,结构化分析其他文章的有机连接,是一种寻主题与脉落的方法。解释作品时,先简单的解释全作品后,让学生们寻找作品的主题意义和叙述结构的话,比从头到尾解释的方法,能更有趣儿的进行讲课。第二,对于汉文散文来说,语体不同,所表现的特征和形式也会不同,因此理解与鉴赏散文时有必要强调语体教育。现在使用的<漢文古典>上也强调一些散文语体的特征,但是只通过教科书里的解释不能完全理解‘序’的整体特征和叙述方式。最好大略说明有关作品的语体特征。第三,文学类散文要采用根据文学史进程来寻作品意义的方式。尤其是文学史上的重要作品和关于文学批评的内容。如果不懂文学史的进程,接触文学类散文的话,尽管能转换成我们国语,但不会理解其文章的意思。 <漢文Ⅱ>的散文教育不仅要与别的科目有联系,而且实施时最好要扩大到文化教育的层次。汉文包括文·史·哲,<漢文Ⅱ>在内容选择上比中学汉文1,2, 3和高中<漢文Ⅰ>更自由。所以<漢文Ⅱ>的散文教育把编制的核心放在给学生们提供广泛的视角和多种多样的内容上。这样不仅能扩展汉文水平,而且能提高对不同的汉文作品的理解能力。关于这个问题还可以考虑,把韩中日的类似主题散文编成一个单元来学习的方法。总的来说,按2007年改定敎育課程<漢文Ⅱ>的散文敎育方向,首先要把'汉文阅读能力的提高'作为目标,但不能停止在阅读阶段,要培养理解与鉴赏能力,最好是扩大到文化教育的层次。

This paper makes an attempt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eaching classical chinese prose on 《HanmunⅡ》, one of the textbooks for classical chinese class of the highschool in korea is higher level than 《HanmunⅠ》, and to show something distinctive on the new curriculum, classical chinese prose training, for more useful practice teaching of 'the new curriculum for classical chinese class in 2007'. It inclines to the education focused in classical chinese writings, beyond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or words. In the case of 《HanmunⅠ》· 《HanmunⅡ》for highschool students, the object of study is to let them be able to read, understand, and appreciate classical chinese writings. Through it, it is expended that they can study various types of classical chinese writings. Especially, 《HanmunⅡ》needs teaching and learning higher level writings in classical chinese than 《HanmunⅠ》, and also needs teaching them on the stream of the literary history for helping students understand and appreciate them. In other words, 《HanmunⅡ》 should be focused on not reading but understanding and culture because it is the class with studying pre-level writings as 《HanmunⅠ》. Therefore, as considering the connection and rank in a curriculum, 《HanmunⅡ》, it is planing to be edited according to the new curriculum for classical chinese class in 2007, need to correct several errors in 《Hanmunkojeon》and to make the new type of textbook as reflecting the followings: the introduction of Piānzhāngfǎ[篇章法], the intensive course for learning a literary style, the studying of literarily historical meanings, the connection with the other classes, the expansion for culture education.

목차
Ⅰ. 序論
Ⅱ. ‘2007年 改定 漢文科 敎育課程’과 散文 敎育
Ⅲ. 現行 『漢文古典』所在散文敎育의 問題點
Ⅳ. 散文敎育의 活性化를 위한 『漢文Ⅱ』 編纂 方向
Ⅴ. 結論
저자
  • 윤지훈(한국교육과정평가원 부연구위원(위촉)) | Yoon, Ji-h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