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漢字 語彙 學習의 有用性 KCI 등재

Usefulness of study for Sino-Korean vocabulary

한자 어휘 학습의 유용성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552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000원
漢字漢文敎育 (한자한문교육)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초록

言語(언어)의 構成(구성)에는 몇 가지 요소가 있다. 구어에서는 統辭構造(통사 구조), 語彙(어휘; 단어), 修辭法(수사법) 등이 필요하며, 文語(문어; 문장언어)에 서는 통사구조, 어휘, 表記(표기; 표기법), 수사법 등이 그것이다. 우리말의 통사구조는 '주어+목적어/보어+서술어', '수식어+피수식어'의 순이 다. 통사구조는 쉽게 변화될 수 없다. 그래서 통사구조가 다른 한문을 수용했을 때에 우리 선인들은 현토라는 학습 방법을 도입해서 한문의 국어화를 시도했다. 현토는 통사구조가 다른 언어를 우리 통사구조에 편입시키는 과정이다. 어휘[단어]는 언어의 내용을 결정하는 요소이다. 어휘는 문화의 수준과 내용에 따라 달라진다. 우리말의 어휘는 우리 역사의 과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범위 또한 생멸의 과정을 겪으면서 확산된다. 상고시대나 삼국시대에서 사용하던 어휘를 비롯해서, 중세 때에는 한문 문화와 관련된 한자 어휘[한자어]를, 근대 이 후에는 서구의 문명과 관련된 번역 또는 신어의 한자 어휘로 만들어서 사용했다. 표기법은 문어를 사용할 때에 제기되는 중요한 문제이다. 구어와 문어가 일치한 다는 것은 구어의 발음을 그에 맞게 표기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베트남이 자신의 구어를 표기할 수 있는 발음 표기가 적절한 게 없어, 과거의 한자 표기를 버 리고 알파벳의 표기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그것은 베트남어를 발성하고 표기하 는 수단으로 차용한 것에 불과하다. 세계의 많은 언어 중 고유의 표기를 갖기란 매우 어렵다. 서구의 여러 언어가 알파벳을 사용하고 있으나 그들의 고유의 것은 아니다. 우리말의 표기는 초기의 한자를 사용하다가 구결, 향찰표기, 한글 등을 사용했다. 때문에 구어를 문장으로 표현할 때에는 구어의 통사구조와 표기법의 상관 속에서 다양한 문체가 등장했다. (순) 한문체, 조선풍 한문체, 임신서기석체, 구결풀이 한문체, 이두향찰체, 구결현 토 한문체, 경서언해체, 한글 현토 한문체, 국한혼용표기 국어체, 한글 전용 국어 체 등이 그것이다. 현재 한자의 음은 국어화 되어 있다. 중국이나 일본에서 사용하는 한자의 음과 비슷한 것도 있지만 일부분 다른 것도 있으며, 발음에서 가장 중요한 발성 방법 [음운 체계]은 우리말 발성 방법을 사용한다. 수사법은 언어를 구사하는 사람이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전달하는 기술로서 표현이나 설득에 필요한 다양한 기법이다. 우리는 다양한 언어적 수사법을 갖고 있다. 그 가운데는 전통적으로 한문 문화에 의해 형성된 수사법의 언어도 있다. 고사성어 등이 그것이다. 어휘는 원시 한국어를 사용하던 그 당시 문화가 ‘원시적’이라면, 그 어휘 또한 원시의 생활을 반영한 것이며, 원시의 생활에 필요한 것이다. 그 가운데 대부분의 것은 원시의 문화를 청산하면서 없어졌을 것이다. 중세의 한국어는 중세의 문화와 생활이 반영한 것이며, 중세의 한국인의 문화와 생활에 필요한 것이다. 오늘날 우 리가 사용하는 말은 오늘의 문화와 생활을 반영한 것이며, 오늘의 생활에 필요한 것이다. 그 가운데 중세에 형성된 어휘이지만, 오늘날에도 여전히 사용된다면, 그 것은 여전히 그 어휘가 유효하다는 증거이다. 언어는 어휘로만 통하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맥락만으로도 통하는 것도 아니 다. 어휘와 맥락, 문법 등이 고루 작용한다. 단어는 알겠는데, 내용을 이해하지 못 하는 것은 대부분 통사구조에 따른 문법 이해 부족과 語源(어원)에 따른 어휘에 대한 이해 부족 때문이다. 특히 전문적인 어휘의 어원를 이해하지 못하면 교과의 학습과 전문분야의 익숙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초등학교 언어 교육에서 한자 어휘의 어원 학습은 매우 중요하다.

In colloquial language, it needs things like syntactic structures, vocabulary; word and rhetoric, in literary language, there are things like syntactic structures, vocabulary, orthography and rhetoric. Korean syntactic strutures are 'Subject +object/ complement + predicate', 'Modifier +modificand' in order. Syntactic structures can't be changed easily. So, when our predecessers accepted Chinese character, they tried to make Chinese character spoken in Korean way by introducing a learning method called 'Hyunto(懸吐)'. Hyunto is a process transfering other language which have differences in syntactic structures into Korean structures. Vocabulary[word] is the factor that determines the contents of language. It depends on the level of the culture and contents. Korean vocabulary is closely related to the process of our history, its range is also spreaded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birh and death. Including the words used in Ancient era or in the era of the Three kingdoms, in Middle ages, Sino-Korean words related to the culture of Chinese Character was used and since the Modern ages, and they are made by being translated into the words that associated with western civilization or using to coin a new word. Orthography is an important matter brought up when literary language is used. Agreement of spoken language and literary language means marking appropriately the pronunciation of spoken language. In Vietnam, since there are not proper phonetic transcriptions to write their own spoken language, currently, it is written in alphabet instead of using the past Chinese characters. However it is nothing but borrowing as a means to pronounce and write Vietnamese. It is very hard to have their own orthography of all the many languages around the world.Though some western laguages are written in alphbet, it is not their own. Korean orthography were written in early Chinese character, then, Gugyeol[口訣], Hyangchal[鄕札表記], and Hangul was used. Thus, when writing spoken language in literary laguage, various writing styles appeared in the correlationship between the syntactic structures and the orthography; (pure)Classical Chinese style[(순)漢文體], Joseon Classical Chinese style[朝鮮風漢文體], Imsinseogiseok style[壬申誓記石體], Idu-Hyangchal style[吏讀鄕札體], Classical Chinese style with interpreted gugyeol[口訣懸吐漢文體], Confucian classics annotation style[經書諺解體], Classical Chinese style with Hangeul annotation[한글懸吐漢文體], Sino-Korean combination Korean style[國漢混用表記國語體], Korean Han -geul style[한글專用國語體]. Now, the pronunciation of the Chinese character is written in Korean way. There are the things similar to what are used in China or Japen,but, in some parts different, and in the most important pronounce system[phonology] for the pronunciation, Korean vocalization is used. Rhetoric is a diverse technique needed in the expression or persuasion as a skill for the person who speaks a language to deliver his own thoughts and emontions. We have many different lingual rhetorics. Among them, what is traditionally developed by Chinese culture also exists. Idioms derived from ancient events are they. For vocabulary, if the culture was 'primitive' at that time when it was used, it also reflects the primitive life and was needed in the life. Most of them may have gone on the way of clearing away the primitive culture. Medieval Korean is what reflects the culture and living in the Middle ages and what was needed for the people in the Middle ages. So are the languages we use today. If some of them are still used today, although they were made in the medieval times, it proves that they are still valid . Language doesn't make sense only with words nor only with contexts. Things works impartially. Despite knowing words, making nothing of the contents is mostly because people has short comprehension about the grammar on syntactic structures and the vocabulary on etymology. Especially, if they doesn't understand the origin of technical terms, they won't be accustomed to learning in curriculums and professional fields. Therefore, in elementary school's language education, learning the etymology of Sino-Korean words is greatly important.

목차
Ⅰ. 우리 말 範疇의 再定義
Ⅱ. 近代 漢字 語彙의 由來
Ⅲ. 漢字 語彙 語源 敎育의 有用性
Ⅳ. 漢字 語彙 語源 敎育의 必要
저자
  • 宋秉烈(영남대학교 교수) | 송병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