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2007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해설에 따른 교수․학습 실행 방안 KCI 등재

Plan of the Implementation of a Teaching and Learning According to the Curriculum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s amended in 2007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553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000원
漢字漢文敎育 (한자한문교육)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초록

이 글의 목적은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해설에 따른 교수․학습 실행 방안을 모 색하기 위해 고려해야 될 점과 실행의 곤란 요인을 규명하고, 효율적인 실행 방안 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해설에 따른 실행의 전제 를 고찰해 보고, 단위 학교에서 개정 교육과정의 효율적인 실행을 위해 학생 관련 자료를 어떻게 수집할 수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해설에 따라 효율적인 교수․학습을 실행하기 위해서 는 한문과 교수․학습 관련 연구가 활성화되고, 한문과 교수․학습 관련 변인에 대한 고려가 선행되어야 한다. 한문과 교수․학습 관련 연구의 활성화는 교수․ 학습 관련 개념의 정립, 다양한 사례 연구, 내용 영역별 교수․학습 모형 및 방법 의 개발을 구체적으로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수․학습 관련 변인은 교육과정 자체, 학습자 변인, 교사 변인, 텍스트 변인, 상황 맥락을 제시하였다. 이 중 교사는 교육과정 전달자로서 교육과정 성공의 핵심이라 할 수있다. 한문과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교사는 교육과정의 내용을 학생들의 학습 능력에 따라 재구성할 수 있어야 한다. 학생들의 학습 능력과 학습 곤란 요인을 파악은 실행의 기초작업이다. 연구자는 이를 위해 검사와 설문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 석하였다. 분석 결과 해당 학생들은 한문 독해의 기초 능력이 부족하며 그 원인은 문맥에 따른 한자의 뜻 파악 능력 부족, 직역 능력 부족 등이었다. 또한 한문 학습 에 대해 흥미를 느끼지 못하는 학생은 한문 학습에 동기부여가 이루어지지 않고, 한문 교과를 他者化하려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자는 이런 결과를 토대로 향후 교수․학습 전략을 수정․보완해야 하는 과제를 부여받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searching for a solution to implement the Curriculum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s amended in 2007. I looked for Points to consider in detail and Difficulty factor of Korean classical Chinese Learning. To this end, I looked up the prerequisites of running. And I run training courses in schools with students how to gather the relevant data were reviewed. For efficient Implementation of a Teaching and Learning According to the Curriculum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s amended in 2007,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eaching - learning related research should be activated. And the first professor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learning-related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ts activation is prerequisite. That teaching - learning related to formulation of the concept, and various case studies, information, domain-specific teaching - learning models and methods a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revised curriculum teaching - learning process itself is an education-related variables, learner variables, teacher variables, text variables, the situation is the context. The teacher of the course content based on student learning should be reconstructed. Student learning and learning difficulties identify the factors is the execution of the basic tasks. The researchers conducted tests and questionnaire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Result, students lack basic skills in reading Korean classical Chinese. The cause of the Chinese characters mean in the context of lack of understanding, lack of reading skills and so on. The Korean classical Chinese do not feel interested in learning about the motivation of students learning the Korean classical Chinese were weak. Based on these results, future researchers, teaching - learning strategies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and given a task.

목차
Ⅰ. 서론
Ⅱ.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해설에 따른 교수․학습 실행의 전제
Ⅲ.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실행에 따른 단문영역 학습 곤란 요인 진단 검 및 설문 조사
Ⅳ. 결론
저자
  • 金經益(울산 신정고등학교 교사) | 김경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