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初等學校漢字敎科書에 있어서의 古典資料活用에 관하여 KCI 등재

A study on the use classical literature and material in the Chinese character textbook of primary school

초등학교한자교과서에 있어서의 고전자료활용에 관하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554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漢字漢文敎育 (한자한문교육)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초록

이 논문은 초등 한자교과서에 古典資料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취지 아래, 구 체적인 주제와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 것이다. 한자교과서의 내용을 구성하는 單語 의 상당수는 근대 서구의 학문체계 및 분류에 기반하고 있다. 造語原理의 면에서 이전부터 쓰여 온 漢字를 조합하였고 또 漢文構造의 장점을 바탕으로 하고 있지 만, 그 사상적․정서적 기반은 전통문화와 다소 거리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런 점에서 한자, 또는 한자가 조합된 단어의 학습이 전통문화의 이해를 담보한다는 막연한 오해로부터 벗어날 필요가 있다. 언어생활이 중심인 초등의 특성을 고려하 면서, 전통문화 및 가치와 관련된 요소를 의도적이고 체계적으로 반영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풍부한 문화유산인 고전자료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 자료의 선정에는 몇 가지 기준이 필요하다. 先人들의 삶의 모습과 정서를 잘 반영하고 있으며 전통문화의 이해 및 가치관 형성에 도움이 되는 것이어야 한다. 그리고 원자료를 번역한 것, 또는 가공한 내용이 초등학생 수준에서 이해하기 쉽고 음미할 만한 내용의 것이어야 하며, 길지 않은 분량의 자료, 또는 길더라도 적 절한 분량으로 가공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아울러 우리가 직면한 사회 문제와 관련성을 가지면서, 문화이해에 도움을 주고,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것 이어야 한다. 제시형태로는 다음과 같은 것을 고려할 수 있을 듯하다. 첫째, 교과서를 개방적 인 체제로 전환함으로써 고전자료 운용의 폭을 넓힐 필요가 있다. 둘째, 기존 교과 서와 같이 본문이나 단원 마무리 부분을 이용하되 고전자료 번역문, 번역문 형태 의 警句, 가공 자료, 단편적인 문화상식 등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한자학습 과정에서 교과서의 여백을 이용하여 간단한 형태의 자원풀이, 한자 문화 상식 코 너를 마련할 수 있다. 넷째, 언어생활 자료, 예를 들면 대화나 인용문, 읽기 자료의 내용 중간에 사자성어, 경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다섯째, 만화나 그림 형태로의 자료 가공도 필요하다. 초등학생의 발달 단계와 이해 수준을 고려할 때, 활용 가능한 주제로는 ①가족 의 의미, ②더불어 사는 사회, ③인간과 자연, ④옛날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⑤웃음과 機智넘치는 조상들의 삶, ⑥사물의 관찰과 표현, ⑦문화 이해를 위한 기초상식 등을 들 수 있다. 고전자료 활용의 의의로는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첫째, 고전자료의 활용 은 언어생활 중심의 한자교과서에서 결여되기 쉬운 文化와 價値要素를 보충한 다. 둘째, 선인들의 지혜와 민족적 경험의 총체를 담고 있는 고전자료는 정신적․ 문화적으로 학습자의 정체성 확립에 많은 기여를 한다. 셋째, 고전자료의 활용은 중․고등 한문 교육과의 자연스런 연계를 가능하게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concrete subject and ways under the assertion which is to use plenty of classical literatures and materials in the Chinese character textbook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ny words of the Chinese character textbook are related on changes of thinking pattern and life caused by the western civilization. Looking at the principal words, those words are made by compounding single character and reflecting the strong point of structure of the Chinese literature but the ideologic and emotional bases of words are irrelevant to traditional culture. So the constituent related on traditional culture and value is needed to involve in the contents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tentionally and systematically. Some standards are needed to choose the materials. Firstly, the materials should be help to understand the traditional culture and form values. Secondly, the translated or treated contents should be easy to understand and able to appreciate for the primary school students. Thirdly, the length of text should not be too long. Fourthly, the contents of materials have to be related on the social problem, help students to understand cultures and induce the students’ interest. The subjects which have a value to be taught can be involved these; 1) the meaning of family, 2) the society to live together with others, 3) the human and nature, 4) how to live in ancient times?, 5) the ancestors’ life with humor and wit, 6) the observation and expression on things, 7) the basic knowledge for understanding culture and so on. The meaning of using classical literatures and materials is as the below. Firstly, the using of classical literatures and materials supplement cultural values in the Chinese character textbook which is placed too much emphasis on linguistic communication. Secondly, that help students to establish the identity mentally and culturally. Thirdly, that can make a connection with the Chinese literature education in a secondary school.

저자
  • 金昌祜(원광대학교 교수) | 김창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