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부정경쟁방지법상 일반조항의 합리적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Reasonable Introduction of General Clause of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5720
모든 회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가천법학 (Gachon Law Review)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Gachon University Law Research Institute)
초록

최근 새롭고 다양한 유형의 부정경쟁행위에 적절하게 대응하고자 선진 입법례를 참고하여 부정경쟁행위에 관한 보충적 일반조항을 신설하는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안 제2조제1호차목)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일반조항의 도입으로 경쟁업자의 투자나 명성에 무임 편승하는 다양한 행위에 적절하게 대응함으로서 타인의 투자나 노력에 의해 만들어진 성과 등을 무단으로 이용하여 부당하게 이익을 얻거나 타인의 경제적 이익을 침해하는 행위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개별사례에서 어떤 행위가 불공정행위에 해당하는지를 입법자가 모두 규정할 수 없으므로 법원에게 새로운 경쟁행위를 판단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함으로써 시의적절한 규제가 가능하게 되고 법의 실효성을 제고할 수 있다.그러나 보충적 일반조항이 도입될 경우 부정경쟁행위의 포괄성으로 인해 오히려 기업 활동의 위축이 올 수 있다. 법원에 의해 판결되기 까지는 무엇이 금지되는 행위인지 알 수 없으므로 오히려 사업자 입장에서는 투자나 사업의 확장에 부담으로 작용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도입에 앞서 그 장단점에 대한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부정경쟁방지법상의 일반조항 도입의 득실을 따져보고, 근거가 된 해외 선진입법의 비교법적 고찰을 통해 합리적 도입을 위해 검토해야할 사항을 도출하였다. 일반조항의 합리적 도입을 위한 검토로서 첫째, 부정경쟁방지법의 성격을 명확히 하여야 함을 제안하였다. 부정경쟁방지법의 성격이 개개의 경쟁행위를 보호하는 것인지 이를 포함한 민사적 수단에 의한 경쟁체계 및 구조 즉 시장에서의 경쟁체계를 보호하는 것인지에 따라 직접적 이해당사자와 수범자, 소송당사자 등이 달라질 수 있으며 이러한 부분은 일반조항의 도입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다음으로 부정경쟁행위 판단기준의 구체화를 제안하였다. 일반규정 운용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보충적 부정경쟁행위의 유형 및 기준에 대하여 좀 더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그밖에 민법상 일반불법행위와의 관계정립, 불공정거래행위와 부정경쟁행위의 기준 명확화 등의 필요에 대하여 제안, 고찰하였다. 일반조항의 도입에 앞서 이러한 사항이 충분이 검토되고 함께 입법에 반영되어야 그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입법의 실익을 담보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a proposal providing the new supplementary general clause (draft Article 2, Paragraph 1, Subparagraph 10) to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nd Trade Secret Protection Act was offered. It introduces a supplementary general clause about violation the economic interests of competitors by the unauthorized use of investment and effort of competitors.For the purpose of this introduction, it would be proper measure against new and different types of unfair competition. Plus, many overseas advanced legislations can be best practices for it. However, the introduction of a new act of unfair competition amending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is likely to regulate of business activities that can play a role as constraints or atrophy of companies. Thus, before the introduction, careful consideration on its strengths and weaknesses is needed.In particular, the introduction of a supplementary general clause instead of specific regulations will constrain the range of business activity, because of the ambiguity of the coverage and the uncertainty of regulatory actions. Therefore, to introduce a general clause, accumulated examples and specific guidance are required, and institutional back up plans which can compensate for shortcomings are also necessary.Thus, this study evaluates gains and losses of the introduction of a general clause to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and furthermore, finds the reasonable ways to introduce based on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overseas advanced legislations.

목차
Ⅰ. 서론
Ⅱ. 일반조항 도입의 배경 및 장단점
1. 일반조항 도입 배경
2. 일반조항 도입의 장단점
Ⅲ. 각국의 일반조항 도입 실태와 비교법적 분석
1. 미국
2. 독일
3. 일본
4. 소결
Ⅳ. 일반조항의 합리적 도입을 위한 검토
1. 부정경쟁방지법의 성격 명확화
2. 부정경쟁행위 판단기준의 구체화
3. 민법상 일반불법행위와의 관계정립
4. 불공정거래행위와 부정경쟁행위의 기준 명확화
Ⅴ. 결론
저자
  • 김현경(법학박사, 고려대학교 강사) | Kim, Hyun Ky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