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화학방부제 배합량 감소를 위한 폴리올류의 항균, 방부영향력 연구 KCI 등재

Effects of Polyols on Antimicrobial and Preservative Efficacy in Cosmetic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651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대한화장품학회지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대한화장품학회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초록

일반적으로 화장품에는 제품의 보존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paraben, 파라벤),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페녹시에탄올, 클로로페네신 등의 화학 방부제가 배합되어 있다. 화학 방부제는 제형의 안정성 및 방부 유효성이 우수하지만, 독성, 피부자극, 알러지를 유발하는 등의 단점이 있어 배합량을 줄이거나 배제하고도 제품의 안정성 및 유효성이 높은 보존 기술이 요구된다. 종래부터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BG), 프로필렌글리콜(PG), 디프로필렌글리콜(DPG) 등의 폴리올류들은 보습성분 및 용매로 범용되고 있으며, 고농도로 사용할 경우 항균력이 있지만, 사용성을 떨어뜨리고, 피부 자극을 유발하는 등 제품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폴리올류의 조성별 항균, 방부력 영향을 평가하고, 스킨케어 유화제형에서 방부제 함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폴리올 조성을 도출하여 방부제의 사용량을 감소시키고, 사용성 및 안정성도 개선하는 것이다.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올류의 항균 증가력을 측정한 결과 글리세린의 항균 증가력은 미미한 반면 BG, PG의 영향력은 유의(p < 0.05) 하였다. S. aureus를 대상으로 화학 방부제의 항균력 증가를 측정하고 상관성을 회귀분석한 결과 폴리올 1 %를 증량할 때 PG는 2.1 8.4 %, BG는 1.8 8.4 % 방부제의 항균력을 증가시킬 것으로 추정되었다. 로션, 크림 등 유화제품에서 폴리올에 의한 방부력 증가율을 측정한 결과 글리세린의 경우 5 %까지 함량을 증가시켜도 방부력이 증진되지 않았으며, BG 및 PG는 5.5 9.9 % 증가할 때 40 % 이상까지 방부력을 증가시켰다. 이상의 폴리올의 항균, 방부 영향력 측정으로 유화 제품에서 폴리올 배합을 조정하여 방부제 사용량을 40 %까지 감소시키고 사용성과 안전성 그리고 제품의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paraben-free, 저방부, 무방부 시스템 도입시 베이스 처방의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t is inevitable to use germicidal agents like parabens, imidazolidinyl urea, phenoxyethanol and chlorphenesin to preserve the cosmetics. Although effective in reducing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chemical preservatives are irritative, allergenic and even toxic to human skin. So it is needed to decrease or eliminate usage of preservatives in cosmetic products. Glycerin, butylene glycol (BG), propylene glycol (PG), and dipropylene glycol (DPG) are widely used in cosmetics as skin conditioning agent or solvents. At high concentrations, they have antimicrobial activities, but deteriorate product quality like sensory feeling or safety. The purpose of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polyols on antimicrobial and preservative efficacy and confirm whether using adjusted polyols can decrease the contents of preservatives without deterioration of the quality of cosmetics. Effects of common polyols on antimicrobial activities of general preservatives were measured. BG and PG significantly (p < 0.05) increased activities of preservatives, but glycerin influenced little. It was inferred from the regression analysis of the results with S. aureus that adding 1 % of PG increased activities of preservatives up to 2.1 ∼ 8.4 % and BG improved activities of preservatives up to 1.8 ∼ 8.4 %. The challenge test results for oil in water lotions and creams showed that BG and PG improved the efficacy of preservative systems up to 40 % at a range of 5.5 ∼ 9.9 %, but glycerin had little effect on it. The measured rates of improvement were analogous to the inferences from regression analysis. It can be concluded that is possible to reduce total chemical preservatives up to 40 %, consequently improve the safety and sensory quality of cosmetics with the precision control of polyols. Added to that, using this paradigm, low preservative contents, praraben-free system, and even preservative-free systems can be expected in the near future.

저자
  • 신계호((주)아모레퍼시픽 기술연구원)
  • 곽일영( (주)아모레퍼시픽 기술연구원) | 곽일영
  • 이성원( (주)아모레퍼시픽 기술연구원) | 이성원
  • 서경희( (주)아모레퍼시픽 기술연구원) | 서경희
  • 문성준( (주)아모레퍼시픽 기술연구원) | 문성준
  • 장이섭( (주)아모레퍼시픽 기술연구원) | 장이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