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고급 화장품 소재 개발을 위한 마이크로플루딕스 기술의 잠재적 응용성 KCI 등재

A Potential Applicability of Microfluidic Techniques for Fabricating Advanced Cosmetic Material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656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대한화장품학회지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대한화장품학회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초록

본 총설에서는 마이크로플루딕스 기술에 대한 기초연구를 소개하고, 이 기술을 통하여 화장품산업분야에서 응용성이 큰 동공구조체, 응답성 소재, 캡슐 소재, 다층 콜로이드 구조체 등과 같은 신소재의 합성이 가능함을 기술한다. 마이크로플루딕스 기술이 적용되어 개발된 기능성 신소재들은 그 크기와 내부 모폴로지를 정확하게 피코리터 수준에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소재의 화학조성을 다양하게 임의 조절할 수 있고, 고차 층구조를 갖는 콜로이드 입자나 캡슐의 개발까지도 가능하여 그 응용성은 무궁무진하다고 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약물전달계, 화학물 분리공정, 바이오센서, 애튜에이터 등의 응용연구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화장품산업에서도 마이크로플루딕스 기술을 이용하여 고기능성 신소재 개발이나 신유형 화장품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어 더욱 복합적인 연구개발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We describe here how we can use microfluidic technologies for fabricating functional materials that could be potentially utilized in cosmetics; these include void structures, functional particulate materials, shell materials, and multi-layered colloids. We can obtain these functional materials as microfluidic approaches provide precise control over both outer dimensions and inner morphology of emulsion drops in picoliter-volume scales with high throughput. We have confirmed that this technique has a great potential to fabricate novel particles and capsules with a variety of chemical compositions as well as higher orders of layers. This microfluidic approach will allow us to develop a lot of new techniques that are useful for a variety of applications, including delivery systems, chemical separations, bio-sensing, actuators, and so on. We do believe that these new techniques will help cosmetic industry not only give rise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and systems but also widen its product categories.

저자
  • 박성희
  • 김한곤 | 김한곤
  • 정규혁 | 정규혁
  • 김진웅 | 김진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