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분광타원해석기를 이용한 자외선 차단제의 평가방법 연구 KCI 등재

Study on the Sun Screen Test Method using Elipsomete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666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대한화장품학회지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대한화장품학회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초록

자외선 차단제는 자외선의 흡수 기능을 갖는 유기 계열과 반사 기능을 갖는 무기계로 구분된다. 이들은 SPF 지수로 평가되는데 in-vivo 실험은 높은 비용과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어 in-vitro 평가가 연구에 많이 이용된다. 하지만 in-vitro 평가로 사용되는 SPF 평가 장치는 재현성이 매우 낮아 값에 대한 신뢰가 매우 어렵다. 또한, UV-vis spectrometer를 이용한 분석은 재현성은 높지만 투과/흡수/반사의 구분된 결과를 구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elipsometer는 높은 재현성과 투과/흡수/반사의 구분된 결과, 다양한 각도에서의 평가의 장점이 있어 자외선 차단제 평가에 매우 유용하다. 이를 위해 상업용 자외선 차단제를 다양한 방법으로 평가하여 elipsometer를 이용한 방법의 타당성을 알아보았다.

Sunscreen is divided into the organic agent of UV absorption and inorganic agent of reflection. These are evaluated by sun protection factor (SPF) in-vivo test requiring high cost and time, while in-vitro tests are adopted commonly because of short test time, easy result collection. Generally, test method of SPF use SPF 290a by UV-vis spectrometer. The evaluate by SPF 290 has low reproducibility. Although analysis using UV-vis spectrometer has high reproducibility, it is hard to separated results of transmission, adsorption, and reflection. In this study, suggested method of elipsometer has some merit such as high reproducibility, easy separation of transmission/adsorption/re- flection, analysis using various incident angle. We tested the validity of elipsometer for SPF measurement, using commercially available sun-block (SPF 50).

저자
  • 김준우
  • 이종수 | 이종수
  • 이지혜 | 이지혜
  • 정석진 | 정석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