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산 감초 추출물 함유 크림의 안정성 평가 KCI 등재

A Study on the Stability of the Cream Containing Glycyrrhiza uralensis Extrac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674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대한화장품학회지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대한화장품학회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감초의 50%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얻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함유한 크림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감초추출물의 0.20%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함유한 크림에 대하여 12주 동안 온도별 저장 조건(4 ℃, 25 ℃, 37 ℃, 45 ℃)과 태양광선(2013년 3월 ∼ 5월, 3월 평균온도 : 5.10 ℃, 4 ∼ 5월 평균온도 : 14.10 ℃) 노출조건하에서 2주 간격으로 pH, 흡광도 및 점도 변화와 1주 간격으로 색도 변화를 측정하였다.온도별 저장 조건에서 감초 추출물을 함유한 시료 크림의 pH 변화는 0.44로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대조군크림(0.66)보다 pH 변화 값이 작았다. 태양광선하에서는 pH 변화는 대조군과 시료군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온도별 저장조건에서 대조 크림의 점도는 평균 2,483 cPs 감소하였고 시료 크림은 평균 2,893 cPs 감소하였다.시료 크림이 대조크림보다 평균 410 cP 감소를 나타내었다. 감초출물이 크림 점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감초 추출물 에탄올 용액의 태양광선하에서 276 nm에서의 흡광도는 30.00% 감소하였다. 반면에 감초추출물 함유 크림의 경우는 동일 조건에서 흡광도가 12.02% 감소하였다. 감초추출물이 크림 속에서 비교적 안정함을 나타내었다. 색도 측정에서 대조 크림에서는 색차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시료 크림은 색차가 조금 증가하였으나 안정성에 크게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한국산 감초 추출물 함유 크림 제형은 비교적 안정함을 확인하였다. 향후 제품에 응용 시 감초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가 발휘할 수 있도록 보완 연구가 이루어 진다면 화장품에의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The stability of a cream containing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50% ethanol extracts from Glycyrrhiza uralensis (G. uralensis) cultured in Korea was investigated. pH, absorbance, viscosity and color difference of the cream containing 0.20% ethyl acetate fraction of the aforementioned G. uralensis extracts were measured under 4 different temperature conditions (4 ℃ 25 ℃ 37 ℃ and 45 ℃) and under the sun light at 2 week intervals for 12 weeks. pH changes of a control cream without the extracts and the sample cream containing 0.20% ethyl acetate fraction of G. uralensis extracts were 0.66 and 0.44,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pH differences between the sample and the control under the sun. Viscosities of the control cream and the sample cream decreased by 2,483 cPs and 2,893 cPs respectively. So, the sample cream showed a bigger decline (410 cP) in viscosity than the control cream.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G. uralensis extracts did not affect the stability of the cream. Absorbance of ethanol solution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 decreased 30.00% at 276 nm under the sun. On the other hand, the absorbance of the sample cream containing the ethyl acetate fraction decreased 12.02%. The stability of the G. uralensis extracts was better in cream formulation than in ethanol solution. The total color differences of all creams increased slightly during the study period under various conditions. The results appeared to indicate the color stability of the cream containing 0.20% ethyl acetate fraction of G. uralensis extracts. It is suggested that further study is needed to provide more information to the manufacturers who are seeking for the application of the G. uralensis extracts to improve the anti-oxidant and stability of cosmetic products.

저자
  • 김혜진(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정밀화학과 나노바이오화장품연구실, 화장품종합기술연구소) | Hye Jin Kim
  • 장하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정밀화학과 나노바이오화장품연구실, 화장품종합기술연구소) | 장하나
  • 배정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정밀화학과 나노바이오화장품연구실, 화장품종합기술연구소) | 배정윤
  • 박수남(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정밀화학과 나노바이오화장품연구실, 화장품종합기술연구소) | 박수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