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제주 구멍갈파래 가수분해물에 의한 노화된 섬유아세포 증식 및 콜라겐 합성증진 효과 KCI 등재

The Effect of Hydrolyzed Jeju Ulva pertusa on the Proliferation and Type I Collagen Synthesis in Replicative Senescent Fibroblas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675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대한화장품학회지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대한화장품학회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초록

피부 섬유아세포는 인간 피부의 주요 콜라겐 생산 세포이다. 노화가 진행되면, 섬유아세포에서의 콜라겐 생산이 감소되고, 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에 의해 시작되는 콜라겐 조각화가 증가된다. 즉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항상성의 불균형으로 인해 피부 collagenous, 세포외기질(ECM)의 구조와 기능이 변형되어,피부노화가 촉진되는 것이다. Cysteine rich protein 61 (CCN1)는 CCN family의 일부이며, 인간피부의 섬유아세포에서 콜라겐 항상성을 조절하는 단백질이다. 노화된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에서의 CCN1 과 발현은 실질적으로 유형 Ⅰ procollagen 생성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MMP-1의 발현을 증가시켜 섬유의 콜라겐 저하를 일으킨다. 그리고 노화된 섬유아세포는 노화 전 섬유아세포에 비해 증식률이 감소한다. 본 연구에서 만들어 사용한 복제 노화 피부 섬유아세포는 유형 Ⅰ procollagen의 생성량이 감소하였고, MMP-1의 발현 수준이 증가하는 특징을 나타냈다. 또한 CCN1 단백질의 발현이 증가되고, 증식률이 감소하는 특징을 나타냈다.가수분해 구멍갈파래 추출물은 노화 전 섬유아세포에서 새로운 콜라겐의 합성을 촉진하고 자외선에 의해 증가된 MP-1의 발현을 감소시켜 광노화를 개선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활성을 나타내는 가수분해 구멍갈파래 추출물을 사용하여, 복제 노화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가수분해 구멍갈파래 추출물에 의한 CN1 단백질의 발현 억제 여부를 조사하였으며, 이들 추출물은 배양된 복제 노화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유형 Ⅰprocollagen의 생성을 증가시켰으며, MMP-1 발현을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콜라겐 항상성을 조절하는 단백질인 CN1 발현을 크게 감소시켰으며, 노화세포의 증식률을 증가시켰다. 이 결과는 복제 노화 섬유아세포가 in vitro 자연 노화모델로 화장품 원료 활성 연구에 사용될 수 있음을 말한다. 그리고 가수분해 구멍갈파래 추출물은 광노화 뿐 아니라 자연노화를 개선하는 피부미용제로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에 사용가능 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Skin dermal fibroblast is the major collagen-producing cell type in human skin. As aging process continues in human skin, collagen production is reduced and fragmentation is increased, which is initiated by 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 This imbalance of collagen homeostasis impairs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dermal collagenous extracellular matrix (ECM), thereby promoting skin aging. Cysteine-rich protein 61 (CCN1), a member of the CCN family, negatively regulates collagen homeostasis in primary human skin dermal fibroblast cells. It is known in aging fibroblast cells that elevated CCN1 expression substantially reduces type Ⅰ procollagen and concurrently increases MMP-1, which initiates fibrillar collagen degradation. And proliferation rate of aging fibroblast cells is reduced compared to the pre-aging fibroblast cells. In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the replicative senescence dermal fibroblast cells increased the expression levels of MMP-1 and decreased the production of type I procollagen. Our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replicative senescence dermal fibroblast cells increased in the expression of CCN1 and decreased in the proliferation rate. Hydrolyzed Ulva pertusa extracts are the materials to improve photo-aging by reducing the expression of MMP-1 that was increased by ultraviolet and by promoting the synthesis of new collagen from fibroblast cells. In this study, we also investigated the hydrolyzed U. pertusa extract to see whether it inhibits CCN1 protein expression in the senescence fibroblasts. Results showed that the hydrolyzed U. pertusa extract inhibited the expression of MMP-1 and increased the production of type I procollagen in the aging skin fibroblast cells cultured. In addition, the proteins that regulate collagen homeostasis CCN1 expression were greatly reduced. The hydrolyzed U. pertusa extract increased the proliferation rate of the aging fibroblast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plicative senescent fibroblast cells may be used in the study of cosmetic ingredients as a model of the natural aging. In conclusion, the hydrolyzed U. pertusa extract can be used in anti-wrinkle functional cosmetic material to improve the natural aging skin care as well as photo-aging.

저자
  • 고현주(한불화장품(주) 기술연구소) | Hyun Ju Ko
  • 김경범( 한불화장품(주) 기술연구소) | 김경범
  • 이동환( 한불화장품(주) 기술연구소) | 이동환
  • 이근수( 한불화장품(주) 기술연구소) | 이근수
  • 표형배( 한불화장품(주) 기술연구소) | 표형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