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자외선 조사 피험자의 MED 측정 값의 특성에 관한 연구 KCI 등재

Characteristic of MED measurement Value of Trial Subjects from Ultraviolet Irradi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676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대한화장품학회지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대한화장품학회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초록

본 연구는 자외선 차단지수(Sun protection Factor, SPF) 측정 시험에서 피험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정확한 시험결과를 통해 향후 자외선 조사시험의 기초 데이터 확보 및 연구자료 마련을 목적으로 하였다. 피부유형 기준표에 따라 피험자의 피부유형 Ⅰ, Ⅱ, Ⅲ 형에 해당되는 피험자 39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색차계를이용하여 피부색을 측정한 뒤 ITA (Individual Typology Angle) 값을 계산하고 그 값이 28 이상인 사람을대상으로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하여 자외선을 60 s 간 조사한 후 24 h 뒤 피험자의 홍반 상태를 판정하였다.전면에 홍반이 나타난 부위에 조사한 UVB의 광량 중 최소량을 최소홍반량(Minimal Erythema Dose, MED)으로 하였다. 통계학적 분석은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피부 유형이높아질수록 MED 값이 증가하여 피부색이 어두워질수록 MED가 증가한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MED로 여성이 남성보다 어두운 피부유형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별 MED는 피부타입별 모든 연령대에서 연관성이 없었으나 이 같은 결과를 단정 짓기에는 성별, 연령대별 피험자 수가 적어 통계적유의성을 뒷받침하는데 한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피부유형별 MED 측정값은 자외선차단제를 사용하기 전 MED 값을 예상하여 자외선차단제의 효능 평가 시 비교, 판독을 할 수 있는 기준이 되므로임상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써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ultraviolet protection factor (Sun Protection Factor, SPF) was investigated to provide basic datafor subject safety and research of ultraviolet (UV) irradiation test in the future. Trial subjects (395 people) of skin typeⅠ, Ⅱ, and Ⅲ were evaluated according to skin type standard table. After measuring the skin color using a colorimeter,ITA (Individual Typology Angle) value was calculated. Subjects with 28 and above ITA value were positioned comfortablyto be UV irradiated for 60 s and erythema was evaluated 24 hours after application. MED (Minimal ErythemaDose) was investigated where the minimal amount of erythema existed among UVB irradiated area. Statistical analysiswas investigated using Statistical Package the Social Sciences program. As a result, the darker skin color results in thehigher MED value since the higher skin type number results increased MED value and female has higher MED valuethan male since female has darker skin type than male. There was no relation between MED difference by ages in alldifferent ages. However, it is hard to draw a conclusion as above since the number of subjects were not sufficient to support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MED values by different ages. However, MED values by skin types obtainedthrough this study can be used as a standard when MED value is expected to evaluate efficacy of sunscreen productand as basic data for further safety of clinical researches.

저자
  • 석장미(피엔케이피부임상연구센타) | Jang Mi Suk
  • 박신영( 피엔케이피부임상연구센타) | 박신영
  • 최미라( 피엔케이피부임상연구센타) | 최미라
  • 안송이( 피엔케이피부임상연구센타) | 안송이
  • 김인수(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피부과학교실) | 김인수
  • 김범준(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피부과학교실) | 김범준
  • 박진오( 대봉엘에스(주)) | 박진오
  • 정상욱( 피엔케이피부임상연구센타) | 정상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