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유역 모형과 하천 모형의 연계를 통한 낙동강 본류 흐름 예측 KCI 등재

Numerical Estimations of Nakdong River Flows Through Linking of Watershed and River Flow Model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68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한국수자원학회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초록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유역을 대상으로 유역-하천 흐름 연계 모형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하천 흐름 및 수질 영향 분석을 위한 전단계의 연구이다. 낙동강 유역을 대상으로 유역 수문 모형인 SWAT 모형을 구축하고 낙동강 본류 EFDC 모형에 유량 경계자료를 제공하여 본류 흐름을 예측하였다. 유역 모의를 통해 계산된 유출량을 본류 13개, 지류 30개 지점에서 2004년부터 2009년까지의 환경부8일 자료를 이용하여 검보정하였다. 모형의

In this study, the watershed and water body models were linked for the simulation of the Nakding river flow. This is a pre-step study for the estimation of the effect of the flow and water quality on the climate change. For models of watershed and river f

저자
  • 강형식(Div., of, Water, and, Environment Korea, Environment, Institute) | Kang Hyeong-Sik
  • 장재호(Div., of, Water, and, Environment Korea, Environment, Institute) | Jang Jae-Ho
  • 안종호(Div., of, Water, and, Environment Korea, Environment, Institute) | Ahn Jong-Ho
  • 김익재(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물순환연구실) | Kim Ik-J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