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임계수준 방법을 이용한 하천수 가뭄지수의 적용

Application of Streamflow Drought Index using Threshold Level Metho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787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방재학회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초록

하천수 가뭄을 평가하기 위하여 임계수준 방법을 이용한 하천수 가뭄지수 (streamflow drought index)를 소개하고 섬진강댐의 유입량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사용한 임계수준은 고정, 월별 및 일별로써 연도별 가뭄의 1순 ~3순위 분석결과, 1984년, 1988년과 1995년이 수문학적 가뭄의 크기도 컸고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총 물 부족량과 지속기간의 극한값을 연도별로 비교해 본 바, 1984년, 1988년, 1995년과 2001년에 발생하였던 사상이 심각한 수준이었다. 연구결과, 고정 임계수준은 계절 변동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어서 최소한 계절 이하의 임계수준 사용이 요구되었지만 월별과 일별로 정해진 임계수준은 적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론은 갈수예보 및 저수지 용량결정에 활용될 수 있겠다.

저자
  • 성장현(국토교통부 영산강홍수통제소 예보통제과 시설연구사) | Jang-Hyun, Sung
  • 정은성(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설시스템디자인공학과 교수) | Eun-Sung, Chung
  • 김양수(국토교통부 영산강홍수통제소장) | Yang-Su Kim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