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Vol.13 (통권 제13호) (2014년 2월) 421

전문분과위원회 연구발표

1.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재해가 발생하면 각국은 재해위험도저감 및 복원력 향상을 위해 복구 혹은 지역수요를 반영한 지속가능한 예방 사업을 수행한다. 이러한 대책들이 국가 혹은 지역에 적합하게 적용되었는지 또는 사업으로 인한 재해저감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는 재난위험도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현재 이를 위한 세부항목이나 프레임웍이 정립되지 않아 효율적인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업의 재해저감 효과를 평가하고 효율적인 저감대책수립을 지원하기 위한 모니터링 및 평가 시스템을 개발한다. 국가단위 시스템 개발을 위하여 최근 6년(2007-2012) 동안의 글로벌 재해저감사업 내용과 사업에 따른 재해위험도 변화 등을 분석하여 지표항목들을 개발하였다. 지표의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수행목표와 유사한 항목은 지표에서 제외하였다. 효고행동계획에 반영된 성과나 기타 조사보고서에 반영된 성과는 성과지표로 반영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2014-2016년 동안 수행된 캄보디아, 아이티, 과테말라, 말라위, 에티오피아, 이지부티, 스리랑카, 네팔 그리고 베트남 사업에 시스템을 적용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2.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고속도로 저토피 구간을 횡단하는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한 PRS공법의 적정성 및 시공 중, 후의 안정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PRS공법은 비개착 특수터널 공법으로서 상부 지장물과 이격거리 0.5D 이내에서 강관추진에 의한 루푸 형성 및 지보재 등을 시공하는 공법이다. 시공단계별로 사전에 수치해석을 실시하여 예상 침하량을 산정한 후 안전한 시공을 확보하였으며 또한 실시간 계측관리 시스템을 도입하여 비교 분석하여 단계별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터널 굴진에 의한 막장 전방의 지반변화에 따른 터널 거동양상을 사전에 예측하였으며 이를 통해 인접지반 및 지표면의 변위억제에 대한 대책의 수립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3.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에서의 산불은 대부분 인간에 의해서 발생하며, 최근 그 피해가 산림과 관련산업에만 국한되지 않고, 도시와 근교의 산불 유입과 그로 인한 도시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2013년 봄철, 도시근교에서 발생하여, 산림 인접 가옥과 시설물에 피해를 발생시킨 포항시와 울주군의 사례를 모의 재현하고, 그 피해 강도와 범위를 비교함으로써, 산불의 피해 재현과 산림 내, 산림 인접지의 위험지 예측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4.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진 피해 상황을 살펴보면 중소 규모의 지진이 발생하였을 때 구조물의 붕괴에 의한 직접적인 피해가 아닌 화재와 같이 소화 설비, 전력설비, 통신설비 등 주요 기간설비의 기능상실로 인한 피해가 많이 일어나고 있다. 이와 같은 2차 피해를 줄이기 위해 소화설비의 내진설계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계소화설비의 내진성능 평가를 위하여 골조 구조물에 옥내소화전설비(배관, 펌프, 수조, 소화전)를 설치하여 진동대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일반시설물과 내진시설물의 거동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각 설비는 기존 건축물에 시공되어 온 일반형 시설물과 내진형 시설물을 동시에 시공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시설물의 거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설별 변위응답, 가속도 응답, 가속도 응답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시설물에 대한 내진성능을 평가하였다.
5.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강우관측소 설치의 다양한 목적 중 면적평균강우량의 정도 있는 추정을 고려하면 강우관측소는 공간적으로 균등하게 설치된 경우가 가장 이상적이다. 아울러 산지효과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강우관측소의 고도별 설치밀도 파악이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강우관측소의 공간적 분포특성과 강우관측소의 고도별 특성을 동시에 고려하기 위해 유클리디언 거리를 이용하여 2개의 목적함수를 통합하였다. 강우관측소의 공간적 특성은 최근린지수를 이용하여 정량화하였으며, 관측소의 고도별 설치밀도의 특성은 변동계수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이를 4대강 유역에 대해 적용하여 유역별 강우관측망을 평가 및 비교하였다.
6.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기상자료에 의하면 연평균 3개 정도의 태풍이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며, 연중 8월, 7월, 9월 순으로 3개월 동안 대부분의 태풍이 내습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기상청 국가태풍센터, 웹페이지: typ.kma.go.kr). 대부분 이로 인해 항만구조물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최근 발생한 대형 태풍 사례를 보면, 2012년 8월 제15호 태풍 볼라벤(Bolaven)의 내습으로 서귀포항 외곽방파제에 대규모 피해가 발생하였다. 서귀포항의 경우에 2003년 9월 제14호 태풍 매미(Maemi) 내습시에도 유사피해가 발생한 이력이 있다. 2003년 태풍 매미 내습시에는 외항방파제의 곡부(볼록부)를 중심으로 피해가 발생하여 72ton급 테트라포드(T.T.P) 및 기초사석 유실과 상치콘크리트의 일부 파손이 발생하였으며 공사중에 있던 방파제 내측 접안시설의 상치콘크리트 및 블록이 일부 파손유실 되었다. 또한 1999년 태풍 올가 내습시에도 시공중이었던 방파제 제두부 및 볼록부에 거치된 72ton급 테트라포드가 이탈 및 유실되는 피해가 발생하였다. 2012년 태풍 볼라벤의 내습시에는 2003년에 비해 더 큰 피해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며, 외곽방파제의 볼록부를 포함한 제간부의 대부분에서 피복재(72ton급 T.T.P) 및 기초사석이 유실되었다. 또한 항내측 안벽 일부 및 외항방파제 보강 BOX 기초부 등의 파손 및 유실피해가 발생하였다.
7.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미래 경제성장 원동력으로서 해양 자원 및 해양 공간의 개발은 필수적이다. 또한, 인류 생활 영역의 확장 및 해양 자원의 개발을 위하여 해저 공간 개발이 필요하며, 해양 공간의 개발과 해양 영토 주권 수호를 위한 전초 기지로서 해저 기지의 확보가 필요하다. 고압/저온의 극한 환경인 해저 기지 건설 기술 및 운영 기술의 개발은 극지 및 우주공간 구조물 개발 시 활용되는 원천 기술 확보로 이어지며, 미래에 발생 가능한 전 지구적 재난 시, 인류 생존을 위한 필수 거주 공간 확보 기술로도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래 해저기지의 건설과 운영을 위한 필수 기술을 조사하였으며, 1단계 기술과 2단계 기술로 구분하였다. 조사 결과 해저기지의 건설을 위해서는 건설 신재료의 개발과 에너지 공급 기술들이 필수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운영시 거주자의 안전을 위한 기술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8.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빈번한 재난이 발생하는 일본은 다양한 방법의 대응계획을 세우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2011년 3월 11일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 이후의 일본정부의 대응전략을 살펴보면 재해대책기본법에 따라 방재도로 선정기준을 개선하였다. 일본의 방재도로는 크게 두 가지로 ‘긴급교통로’와 ‘긴급수송로’로 분리하여 운영되고 있다. ‘긴급교통로’는 이재민의 피난 및 구출·구조 및 소화활동 등 재해 직 후의 단기적 목적으로 사용되는 긴급차량(군부대, 소방, 경찰) 및 이 활동을 지원하는 차량(복구작업차량)을 위한 교통 네트워크이다. 반면에 ‘긴급수송로’는 재해 발생 시 이재민의 피난 및 이재민의 생활안전을 위한 물자수송계획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비교적 장기적인 복구와 부흥에 초점을 두고 있다. 특히, ‘긴급수송로’는 지역내부는 공안위원회(해당지자체)가, 지역간은 중앙방재위원회(중앙정부)가 지정하며, 미시적, 거시적 관점에서 접근하게 된다. 이원화 운영되는 방재교통계획은 긴급상황 발생 직 후의 피난과 구조상황과 재해복구를 위한 기능을 분리한 것이며, 그 목적에 따라 정보수집의 우선순위와 복구우선순위를 갖게 된다. 세계적으로 재난의 거대화가 진행되고, 임의의 재난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교통방재 실현을 위해서는 체계적 방재도로 선정이 시급하다. 특히, 재난 시 방재도로의 교통정보 수집을 위한 민,관,공사의 다차원적 협조가 필요하고, 정부와 연구기관의 노력으로 방재도로의 기능성을 높여 임의의 재난에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9.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1세기에 들어 크고 작은 재난의 증가가 지속되고 있으며 농어촌 위주의 피해 지역에서 인구가 밀접되어 있는 도시 지역으로 재난 피해의 위험성이 확대되고 있으며 그 피해 또한 심각한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도시의 재난에 대한 평가는 풍수해에 대비한 홍수지도 작성정도에 머무르고 있으며 사회적 재난 및 인적재난 등 자연재난 이외의 발생요소를 감안할 필요가 증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연재난과 인적재난, 사회적 재난을 포함하는 재난의 전반적인 영향을 분석하여 개별 건축물 대상으로 재난의 대응성 및 안전성을 평가하고 이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건축물의 계획을 면밀히 분석하고 각 공간에서 일어나는 행위와 작업의 종류를 파악하고 발생 가능한 위험요소를 복합적으로 평가한다. 평가결과를 반영하여 각 평가항목의 만족도를 측정하고 이에 대한 개선사항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건축물의 관리자는 물론 사용자의 안전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향후 유사한 사례를 통하여 건축물 재난 및 안전성 평가의 프로토타입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10.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진재해대책법(2008년 제정)은 국내 31종 시설물에 대한 내진대책을 보장하는 법령이다. 여기서 31종 시설물은 건축물은 물론 교량, 철도, 항만, 댐 등 거의 모든 토목건축 시설물을 포함한다. 여기에는 라이프라인 시설물도 포함되어 있는데, 도로, 가스, 상하수도, 전기, 통신 등 대도시 및 지역사회를 운용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네트워크 시설물을 일컫는다. 원자력발전소가 1960년부터, 건축물이 1988년부터 내진설계를 반영하였고, 도로교설계기준은 1992년부터 내진설계를 반영하였던 것에 비해, 상수도는 1999년, 터널은 2000년, 공공하수처리시설은 2007년, 가스배관은 2008년에 내진설계가 반영되는 등 라이프라인에 대한 내진설계기준은 비교적 늦게 제정되었다. 내진설계가 반영되기 이전에 건설된 라이프라인 시설물은 내진성능평가를 통해 부족한 내진성능을 보완하는 내진보강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를 위한 내진성능평가 기준은 건축물, 교량, 터널, 댐, 상수도시설 등 국토교통부 소관시설을 중심으로 마련되어 있고, 가스, 전기, 통신시설 등 나머지 시설물에 대한 내진성능평가 기준은 제대로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도로, 가스, 상하수도, 전기, 통신의 라이프라인은 각각 다양한 세부시설로 구성되어 있다. 도로시설물은 도로, 교량, 고가도로, 터널로 구성되어 있고, 상수도시설물은 상수관로, 정수시설, 펌프장, 하수도시설물은 하수관거, 하수처리장, 하수펌프장, 가스시설물은 천연가스생산기지, 천연가스배관, 도시가스배관, 정압시설, 전력시설물은 발전소, 변전소, 송배전설비, 통신시설물은 방송국, 전화국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하나의 라이프라인에 대한 내진대책은 다양한 개별 시설물에 대한 내진대책을 각각 수립하여 통합하는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2011년말 기준으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가 고시한 내진율은 도로시설물이 59.7%, 가스시설 100%, 수도시설 0%, 하수처리시설 23.3%, 발전, 송전, 배전 및 변전설비 86.3%, 통신설비 37.0%로 조사되었다.
11.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상시진동을 이용하여 철도교량의 동적특성을 추출할 경우 열차와 구조물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열차 통과시의 진동보다는 열차 통과 후의 자유진동 측정값을 이용하나, 진동의 지속시간이 충분치 않아 정확한 산정이 어려울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철도교의 상시진동을 이용한 모달해석 시 동적특성 산정값의 정확도와 진동 지속시간 간의 상관 관계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충분한 정확도를 갖기 위한 최소 진동 측정시간을 제시하였다. 또한 다수의 자유진동 측정값을 이용하여 측정시간과 모달해석의 정확도를 제고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모달해석기법은 현재 가장 널리 적용되는 기법을 선별하여 비교·검토하였으며, 수치해석은 현재 국내에서 운용중인 다양한 열차하중을 적용하여 수행하였다.
12.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매년 우리나라는 돌발홍수나 게릴라성 폭우 등으로 인한 피해가 반복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산지 및 하천 주변 등 자연재해에 취약한 지역뿐 아니라 비교적 방재대책이 잘 갖춰져 있다고 볼 수 있는 도심지역까지 확대되고, 그 피해도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재난상황관리는 기상 특보에 따른 상황대기와 피해상황 발생에 따른 긴급 대응 및 복구 체계로, 선제적 재난대응을 통한 피해저감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를 극복하고자 소방방재청에서는 “재해상황분석판단시스템”을 구축하여 과학적이고 선제적인 재난대응을 도모하고 있다.재해상황분석판단시스템에서는 피해 발생이전에 재난대응을 위해서 기존의 실황자료 외에 초단기 강우예측자료(MAPLE), 동내예보 등을 활용하며, 상황관리에 사용할 수 있는 정확도를 확보하기 위해 예측강우를 다양한 형태로 보정하여 활용하고 있다.기존 기법과 재난관련 경험을 융합한 강우보정을 통해 정확도를 검증한 결과, 최대 3시간전 예측된 강우량의 정확도가 오차 ±20% 이내에서 70% 수준으로 분석되어 재난상황관리에 활용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13.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학교폭력은 매우 오래된 현상이다. 1897년 Burk에 의한 학교폭력에 대한 최초의 연구“Teasing and Bullying”이후, 학교폭력과 관련된 연구는 거의 수행되지 않았다. 많은 사람들이 학교폭력이 존재한다는 것에 대한 인식하고 있었지만, 심각한 문제로 인식하지 않았고 결과적으로 과학적인 연구 또한 수행되지 않았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이르러서야 구미 일부 지역에서 학교폭력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가 시도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미국과 일본 등 선진 국가들에서 학교폭력에 대하여 관심이 비상하게 증가하였다. 나아가 2000년 이후부터는 학교폭력에 연구는 미디어에 대한 관심, 순수한 연구, 학교폭력 방지와 해결을 위한 정책적 측면을 포함한 다양한 목적에 의해 폭발적으로 증가해 왔다. 이와는 달리 우리나라의 학교폭력 연구는 정초기에 놓여 있으며, 평면적 분석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면에서 이 연구는 설문조사에 바탕한 집합자료를 중심으로 학교폭력 방재를 위한 단초로 계량적 분석을 시도하여 그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14.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건축물에서의 성능기반 화재안전 설계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구획 내에서의 화재성장 및 크기를 예측하고 이 결과를 통하여 연기제어 및 피난 활동 등을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규모의 구획 화재실험을 통해 구획 공간에서의 화재성장 및 크기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15.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응답성이 우수한 반도체 스위칭 소자들을 이용하여 선로전압을 항상 피드백 받고 있다가, 아크나 스파크가 발생하면 전압파형의 순간적인 감쇠 또는 전압 왜형을 감지하여 전기를 차단하는 고속 고정밀의 전압센싱형 아크차단기를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제안한 아크차단기는 전기사고 발생 시 상전압과 접지간의 강제적인 단락회로를 형성하여, 기존에 설치된 RCD를 누전 또는 과전류로 인식시켜 신속히 RCD를 차단시키는 신개념의 제어기법을 채택하였다.

국제세션

16.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lthough flood and drought have ceaselessly taken place, recently the scale of disasters by them has become incomparably bigger than that of the past, and frequency of flood has rapidly on the increase (Harim et al, 2013). According to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the frequency of torrential downpours over 30mm per hour was average 3.8 times for last 30 years and average 5.2 times for recent 5 years. Number of days with localized torrential downpour over 80mm per day has increased by 1.5 times for the same period. In addition, recently with the change of climate in Korea, the severity of drought has intensified in 6- to 7-year cycle and, with such reasons as excessive intake of stream water, streams are drying up, especially during spell of dry weather (Maeng, Seung Jin et al, 2013). Even though the government, as countermeasures for these problems, has made efforts to prevent disasters by establishing Water Resources Integrated Development 10-year Plan and Water Resources Long-term Integrated Development Plan, implementing Stream & River Improvement Projects and constructing multi-purpose dams, there are difficulties to promptly cope with rapidly changing weather conditions, requiring urgently measures to minimize damages from droughts and floods. This study developed Portable Multi-purpose Water Barrier (Pocket Dam) which can promptly cope with floods and localized torrential downpour, secure agricultural water by temporarily blocking irrigational channel and drainage during drought and has wide applicability to various areas. To develop Portable Multi-purpose Water Barrier, this study i) selected ultra-light materials for easy mobility ii) chose optimum standards applying MIDAS program iii) verified safety features through field applications. For the maximization of blocking effect as well as the lightening of product, Sol Tarpaulin (PVC-coated polyester) was selected that has endurance against water pressure and excellent gripping force on irregular ground bottom. In addition, by using 3-dimensional structural program MIDAS, the barrier was designed in such a structure that it will not be destroyed or pushed behind by water pressure. As the result of the application of developed barrier on Dorim stream in Gwanak-gu and underground parking lot in Kwangjin-gu, Seoul, the barrier was not destroyed or pushed behind, and, instead, it maintained constant standing position and blocked water, proving that it has diverse applicability in addition to safety features in structure and material.
17.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ir is installed across a river with the general purpose of controlling water level and water intake. Most weirs installed on rivers are fixed weirs and hinder water flow to bring about sedimentation of earth and sand and deterioration of water quality causing destruction of the river environment. Due to such reason, movable weir which can control reservoir capacity has been developed recently and increasingly installed instead of existing fixed weir and various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to develop methods for self-purification effect and reducing sedimentation of earth and sand.<br>From movable weir, rubber dams have been used in many construction sites due to ease of maintenance administration but if the rubber sheet is damaged artificially or by natural disaster, harm is done to the river and high maintenance and repair costs are incurred if neglected for a long time. Also, the life expectancy of a rubber dam is over 30 years so appropriate management and maintenance administration are required to secure safety of the river and proper water procurement.<br>This study developed rubber sheet for improvement of maintenance and repair for rubber dam which is repaired most often for purpose of irrigation and water intake in rivers and such results are as follows.<br>As a result of investigating repair cases when operating rubber dams, repair cases for poor assembly of rubber panel was only about 3.5% of all cases while there were no reported cases of self-defect of rubber dams. From a total of 19 cases of rubber dam repairs, 12 cases (63.2%) were due to external conditions so it is determined that rubber sheet development is needed for improving the durability and safety of rubber dams. Regarding such finding, this study developed a rubber dam enabling bullet resistance/cut resistance by adding aramid sheet when producing rubber sheet and enabled abrasion check by coating the outer layer with colored synthetic rubber.<br>As a result of developing rubber sheet for improving maintenance and repair of rubber dams, durability and safety were found to be better than existing rubber dam while there were effects of ease of maintenance administration and greater economic efficiency as well. For continuous and permanent use of rubber dams, it is determined that systematic research and continuous development are necessary.
18.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urve number (CN), originally developed, compiled by ‘The 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NRCS)’, and has been widely used throughout the world. However, there is the uncertainty of CN derived from the use of antecedent moisture condition (AMC)/Antecedent Runoff Condition (ARC). As in Korea where nearly 70% covered by mountainous area, it is still not sufficient handbook precedent to guide or support the estimation of AMC/ARC. The failure to develop formal criteria of applying AMC/ ARC will be a gaping profession and results not only in uncertainty of CN estimation in particular, but also in designing appropriate structures in Korea as a whole. This paper is aiming at presenting a critical review of AMC/ARC and deriving a procedure to deal more realistically with event rainfall-runoff over wider variety of initial conditions. Proposed methods have been developed. It is based on modifying estimated runoff to observed runoff with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and then applying different algebraic expression with the verification of AMC by antecedent rainfall table of NEH-1964. Clearly indicated from 12 years period analysis and 2 years period of verification, normalized root mean square error, RE and E are best described by the application of algebraic expression by Arnold et al. at the value of 0.8950, 0.9460, and 0.0244 respectively for AMC condition and 1.3799, 0.9642 and -0.0197 respectively for ARC condition. Therefore, Arnold et al. algebraic equation is the best representation criteria of AMC and ARC. This algebraic expression might be applied properly considering South Korea condition.
19.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est management practices (BMPs) are a continuous cycle of implementation, monitoring and refinement. Lack of perception on BMPs that are implemented based on the literature impedes the system`s capacity to fulfil its purpose to regulate stormwater volume and peak flows and attenuate pollutants. In this study, a series of monitoring in hybrid multi-functional BMP system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performance as well as the irregularities during actual storm events. This system was connoted as hybrid wherein it is defined as a technology that integrates and incorporates several functions such as, infiltration, filtration and retention in a single system to overcome spatial constraints. It has two adjacent treatment tanks serving the infiltration and retention functions. The infiltration function of the hybrid BMP aims to treat stormwater runoff for groundwater recharge while the retention function allocates treated water to a subsurface extended detention basin. Moreover, it has an overflow tank adjacent to the retention tank to allow bypass of excess stormwater runoff. Based from the results, TSS is the most removed pollutant parameter for both infiltration and retention followed by the organics and appreciable load reductions were observed in nutrient and heavy metal parameters. Loads discharges at the infiltration and retention function were 68-92% lower compared to inflow loads. It has also been found out that regardless of sudden increase and decrease in loading rates during a storm event, the discharge of most pollutants in the infiltration, retention and overflow continuously decrease with respect to time. However, problems were uncovered during monitoring. It has been identified on the water balance as the rainfall depth increases the water entering the infiltration and retention tank decreases while larger the amount of water was being bypassed to the overflow. Based from the results, it can be recommended to renovate the facility to reduce the water being bypassed out of the system in order to allow more stormwater runoff to pass through the infiltration and retention unit. The results obtained can provide guidelines for this newly developed system and will render valuable information to allow the system top perform at its optimum.
20.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Urban stormwater runoff was considered to be more contaminated than the runoff from other land uses due to vehicle and human activities. Specifically, road runoff was commonly regarded as the primary pollutant (e.g. particulates and heavy metals) in the urban environment. Effectiveness of stormwater management strategies and treatment facilities in treating road runoff were highly based on the accuracy of the stormwater quantity and quality estimation. Although direct sampling of runoff during a storm event effectively quantifies the contaminant contributions in a specific area, it is expensive and time consuming. In order to efficiently design these treatment facilities based from the typical pollutant and hydrologic processes, the operation of modelling techniques were recommended. In this research,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n existing tree box filter treating road runoff were adjusted using stormwater management model (SWMM) to determine the most suitable design configuration for better volume and pollutant reduction. The catchment area (CA), storage volume (SV) and surface area (SA) of the facility was increased or decreased by an increment of 25%. These changes were simulated by SWMM and would predict the influence of larger or smaller CA, SV or SA with respect to the facility performance. The hydrologic, hydraulic and water quality data used in the modelling were gathered from the 10 storm events monitored from July 2012 to July 2013. The total suspended solids were considered as the main target pollutants for this research however, the results will be correlated with the common heavy metal constituents present in the sampled runoff. Various design installations (e.g. series and parallel installation of tree box filter) were also modelled to accurately justify the obtained design configurations. Among the different configurations simulated, increasing the original values of the CA, SV and SA between 0.75% and twice the original value would result to better performance for the system. As for the installations being modelled, a centralized system would provide better volume and pollutant reduction than a divided system.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