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이동상 실험에 의한 웅덩이형수제의 기능 평가

Movable Bed Experiment for Function Evaluation of Closed Type Dik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793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방재학회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초록

안정된 이동상 하상으로 대변되는 자연 하상에 보, 수제, 낙차공과 같은 인위적 교란이 작용할 경우 기존의 이동상 시스템이 무너져 하상의 거동 특성이 변화하게 되며, 이는 결국 수생태의 건상성을 근본적으로 훼손하게 된다. 따라서 수생태계에 미치는 교란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자연하상복원 기술이 요구되며, 본 연구에서 적용한 웅덩이형 수제공법은 이와 같은 자연하천의 흐름 특성과 이동상 특성을 고려함과 동시에 공간적 변화의 제어를 실현할 수 있는 기능을 지니고 있다. 웅덩이형 수제공법은 세굴로부터 보호가 필요한 하안 구간에 적합한 공법으로 수제 전면부가 폐쇄형으로 구성되어 복단면에서 고수위 시에 수제 웅덩이부 내에 저유속 구간을 형성하여 자연스러운 하안 형성을 유도하고, 소류력 복원을 통해 자연적으로 하도 중앙의 하상재료 이동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웅덩이형 수제공법의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일반 개방형 수제와 웅덩이형 수제의 모형을 제작하여 동일 조건에서 이동상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지형 계측에 사용되는 지상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를 활용하여 하상변동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웅덩이형 수제공법은 기존의 개방형 수제에 비하여 하안부의 흐름에너지가 효율적으로 저감됨으로써 세굴 방지와 함께 보다 많은 퇴적이 발생하였고, 하도 중앙의 하상재 이동이 안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지상 LiDAR 결과 자료를 통해 보다 정확하게 확인 할 수 있었다. 추후 연구 결과 자료는 3차원 CAD를 이용한 모델링 및 정밀한 하상 등고 그래프에 활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정확하게 공법의 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세굴-퇴적 지형 분석이 가능 할 것으로 기대한다.

저자
  • 김영주(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천해안연구실 연구원) | Kim, Young Joo 교신저자
  • 김명환(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천해안연구실 전임연구원) | Kim, Myounghwan
  • 이두한(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천해안연구실 연구위원) | Lee, Du H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