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내풍 취약시설 구성항목 분류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방안 연구

Study on Configuration Items of the Facility Vulnerable to Wind and Construction of the Databas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809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방재학회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초록

최근 급격한 도시의 재해환경변화와 기후변화로 인해 자연재해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태풍 및 돌풍 등 강풍을 동반한 피해가 도시지역에 광범위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도시지역의 풍해는 원활한 바람길 형성의 저해나 빌딩풍으로 대표되는 국지성 동풍과 같은 도시풍환경 악화에 따라 발생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도시지역의 쾨적하고 안전한 풍환경 구축을 위해 강풍이나 돌풍과 같은 풍환경 악화에 따른 풍해위험도 분석모형과 전산해석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시점이다. 풍해위험도를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풍해위험도 분석모형의 개발 외에 높은 정밀도를 갖는 지형, 시설물, 바람 등 풍해위험도 분석시 필요한 자료에 대해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의 구축이 필수적이며, DB의 품질은 풍해 위험도 분석 결과의 정확성 및 신뢰도와 직결되므로 정확한 산정방법의 결정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풍해위험도 분석을 위한 DB를 사용 목적에 따라‘위험요인 DB’,‘적응 DB’,‘취약도 DB`로 구분하여 구축하고 각각의 항목에 대해 DB 구축방법을 정의하였다.

저자
  • 정대명((주)방재안전기술원 부장) | Jeong, Dae Myoung 교신저자
  • 최성열((주)방재안전기술원 전무) | Choi, Sung Yeul
  • 안광찬((주)방재안전기술원 차장) | Ahn, Kwang Chan
  • 변천일((주)방재안전기술원 과장) | Byeon, Chun Il
  • 김승주((주)방재안전기술원 대리) | Kim, Seung J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