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리게티와 펜데레츠키의 음색 기보법 비교 연구

Ligeti and Penderecki: Comparative Study of the Tone Color Not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828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400원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Broadcasting & Arts Research Institute)
초록

리게티와 펜레데츠키는 공통점이 많다. 둘 다 구 공산권 국가 출신이며 , 전후 작곡가 세대를 아방가르드적 작곡 양식을 통해 이끌었다고 할 수 있다. 그들 의 미학적 경향은 음악적 재료 선택과 작곡 과정, 그리고 형식적 구성에 대 한 태도 등에서 드러날 뿐만 아니라, 이를 종이 위에 기호화시킨 기보 방식에서도 읽 을 수 있다. 작곡 경향과 기보 방식에 있어서의 차이점은 총렬음악과 우연음악에 대한 그들의 비판과 수용적 측면에서 살필 수 있다. 리게티는 작품의 전체를 일정한 법칙과 질서 안에서 엄격하게 통제하고 관리하는 총렬음악의 작곡 방식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접근한다 . 반면, 작곡 원칙에 대하여는 일부분 수용하는 측면이 보이는데 , 그는 작곡 과정뿐만 아니라 형식까지도 통제할 수 있는 작곡 방식으로 "미크로폴리포니 "를 제시 한다. 이 기법을 통해 소리의 결과는 미세한 "망형성체 "로 구체화된다 . 펜데레츠키는 연주 시에 일어나는 의도하지 않은 우연성에 대한 고려를 작곡 과정에서 놓치지 않는 다. 그의 그래픽 기보법은 바로 이러한 의도가 담긴 악보이다 .

In the 20th century, Ligeti and Penderecki were the most representative composers of Tone-Color-Composition(Klangfarbenkomposition). Their concepts of the tone color depend on with Arnold Schoenberg. He has identified the Tone Color as a pitch and timbre dimension. For that, the tone color is not more adscititious, but first component of for sound. Ligeti and Penderecki, their modification of cluster aims to change the tone color. Based on their music we can understand that they have the same concept. This paper examined the influence of Serial Music on Ligeti, for all his criticism on it, and the influence of Aleatorik on Penderecki. I focused on their differences that can be recognized on scores. While Ligeti used traditional notation method, Penderecki has introduced a graphical notation. Ligeti was trying to manage the whole process of music performance strictly. In contrast to Ligeti, Penderecki considered for contingency that may arise in this process. Aside from that, he thought, the vision of a new tone material is important for visual shaping. And Penderecki's compositional concept was reflected strictly in his scores. His unique musical notation that has taken place is very important in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modern musical notation will be able to tell.

저자
  • 정혜민(부산대학교 시간 강사) | Jeong, Hye M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