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Inquiry on the Application of Visual Communication Research of Phenomenology and Semiotic Phenomenological Communication
본고는 현대 사회에서 그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영상 중심의 사회적 소통방식이자 결과인 영상커뮤니케이션을 연구하는데 있어 현상학과 기호현상학의 적용가능성을 하나의 이론적 관점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고찰했다. 이를 위해 본고는 커뮤니케이션이 특정 표현형식과 의미내용을 담고 있는 기호 체계를 통해 이루어질 경우, 커뮤니케이터의 내적 경험세계를 바탕으로 형성되는 인식 체계를 연구방법으로 활용 할 수 있기 때문에 개별 현상과 상황마다 각기 다른 시각의 상호주관성이 개입될 수 있음을 전제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영상커뮤니케이션 연구는 커뮤니케이션의 주체와 객체 사이에서 영상이 지향되는 방식에 대한 커뮤니케이터 내부의 인식과 영상기호를 통한 일상적인 경험세계를 이론적 배경으로 하는 현상학과 기호현상학의 범주 안에서 전개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연구자와 연구대상 사이에 최소한의 정보적 공유나 정서적 공감이 없다면 커뮤니케이션이 쉽지 않다는 점을 영상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전제로 설정할 수 있으며, 영상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해와 해석의 과정이란 결국 영상을 중심으로 발생하는 특정 현상에 대한 이해의 불확실성과 해석의 불완전성을 해소하는 것이라는 점을 논증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르면, 영상커뮤니케이션에서 영상으로 재현되는 연구대상의 현실감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발견되거나 발생된 현상 자체를 설명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has attempted to inquiry on the application of visual communication research of phenomenology and semiotic phenomenological communication. Visual communication is one of the way of social communication and its result at the modern society. Especially, this paper also studied a research method of visual communication in that each inter-subjectivity is intervened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because the principle method of communication use the perceptive system based on the inner-experience world of communicator when communication is made by structure of sign with specific form and meaning. The following is the research things. First of all, a method of visual communication has to premise the perception how visual image points to the way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Secondly, to grasp the point of meaning of specific visual sign based on the experience world through visual image, the process of the subjective understanding and interpreting of researcher must be worked within the category of semiotic phenomenological communication. And this research suggested that visual communication mediated between visual images is difficult to communicate if there are not the informational share and emotional consensus at least. Therefore,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interpreting visual communication is to solve the uncertainty of understanding and the incompleteness of interpreting about the specific phenomenon which occur with the centering visual image. As a result, this paper has conducted a investigation of the understanding, interpretation, and explanation about the phenomenon itself discovered and arisen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to inquiry about the object of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