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연안 해역의 와편모조류 시스트의 연구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한국 연안과 내만은 물론 제주도 남부와 황해 일부해역을 포함한 동중국해를 대상으로 수행한 45편의 학술연구논문을 분석하였다. 결과 한국의 와편모조류 시스트는 1980년대 후반부터 연구가 시작되었고, 대상 해역은 적조발생 등 부영양화 해역이나 연안 개발이 이루어지는 해역에 집중되었으며, 동해를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는 없었다. 연구 내용도 단순한 출현 종분석에서 부영양화 진행 등 해양환경의 변화과정 추적, 적조 발생에서 종자군으로서 역할, 세디맨트 트랩을 이용한 시스트의 형성과 변화양상 추적, 수소이온 농도 등 해양환경 변화에 따른 형태변화, 실험실에서 특정 종의 발아 특성 등 국제적 수준의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었다. 출현종이나 출현 세포밀도 역시 해역에 따라 매우 다양한 특성을 보인다. 그러나 한국의 와편모조류 시스트 연구는 아직 체계적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고, 단편적이면서 개별적 내용으로 매우 제한적인 연구 성격을 나타내었다. 특정 해역에 편중된 연구결과와 특정 연구 연구 집단에 의해 산발적인 연구가 수행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해양에서 표층퇴적물의 와편모조류 시스트는 표영 환경의 누적지표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양 환경 변화를 효율적으로 추적하는 데 유용한 지표가 되고 있음을 고려할 때, 국내에서도 조직적인 인력양성과 함께 해양생태계의 구성인자로서 필수 해양생물 분야로 취급하는 연계적인 연구 추진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To investigate the research state and characteristics of dinoflagellate cyst along theKorean coastal waters, this work analyzed 45 studies conducted in the Korean coasts and basin,the south of Jeju, East China Sea including some part of the Yellow Sea. It was found that theresearch on dinoflagellate cyst began in the later half of the 1980s in Korea, and that the researchareas focused on eutrophied regions where a red tide occurred or on the seas where coastal develop-ment occurred. In other words, no research on the East Sea was found. In terms of research contents,there were various studies on analysis of cyst assemblage, tracking of the changes in marine environ-ment like process of eutrophication, roles as a seed population in occurrence of a red tide, creationof cyst by use of sediment trip and tracking of its changes, morphological changes by the changeof pH concentration in the hypoxia zone of eutrophied region, germination of a specific species, andother international-level studies. Species composition and cell density also varied in the Koreancoastal waters. However, much research on dinoflagellate cyst in Korea is not systematic, and isfragmentary and individual and hencesuffers from great limitations. The research results so farhave focused only on specific regions, and sporadic research had been conducted by specific researchgroups. Dinoflagellate cyst of surface sediments represents the accumulation index of pelagic environ-ment in the sea and is a useful index to understand the marine environment efficiently. In conclu-sion, Korea requires organized human resources and collaborative research on dinoflagellate cystwhich in turn should be considered as a component of marine ecosystem and as an essential aspectof marine bi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