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소셜게임 이용시간이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해석수준 이론을 중심으로 - KCI 등재

Effect on Social Game Use on the Degree of Social Capital - Based on Construal Level Theory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886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한국게임학회 (Korea Game Society)
초록

사회자본과 같은 소셜게임의 사회적 영향에 관한 연구들은 다수 있었으나 연구 간의 상반된 결과로 인해 그 영향력을 명확히 할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셜게임 이용이 사회자본을 증가시킬 것이라는 가설을 해석수준 이론을 도입하여 확인하였다. 해석수준과 사회자본, 게임이용시간/종류 등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여 각 수치간의 상관관계와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상위해석수준 사람들에게서 교량형 자본과 소셜게임 이용시간 사이에서만 긍정적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특징은 타 온라인 게임에서는 나타나지 않아 소셜게임의 관계망적 특성이 이용자들 간의 긍정적인 관계의 증가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으로는 해석수준이론이 매체의 긍정적 활용연구에 있어 중요한 관점임을 확인하였다.

There are a number of studies about the impact of social games' social network. But because of conflicting results, the game's effect isn't ascertained. In this study, we defined that using social games makes increase the social capital with construal level theory. The survey results on construal level, social capital, game using time, etc, are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and interact. As a result, growing bridging social capital shows on the people who use high level of construal and more social game time use. This phenomenon did not appear in other online games, so that makes a social games' feature unique characteristic. And we discovered that high level construals is key point for defining the practical use of media.

저자
  • 이대영(건국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 Lee, Dae Young First auther
  • 유승호(강원대학교 영상문화학과) | Ryu, Seoung Ho Co-Auther
  • 정의준(건국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 Jeong, Eui Jun Corresponding Author